학생회
home
학생회 소개
home

동양사학과

행정실 위치
14동 205호
분류
인문대학
행정실 전화번호
02-880-6190
위치 : 서울대학교 14동 205호 
행정실 전화번호 : 02-880-6190

1. 전공 수업 규정

(1) 전공교과목목록

전필 9학점 + 전선 30학점 → 총 39학점
단일전공(심화전공) : 전필 9학점 + 전선 51학점 → 총 60학점
(위 내용은 2008년 이후의 학번에 적용됩니다.)
구분
1학기
2학기
1,2학년
역사학부 공통 과목군
'역사 공부의 기초(M3533.000400)' '세계 유산으로 보는 역사' '역사와 디지털 인문학(M3533.000300)’
'역사학 세미나(M3533.000700)' '대중 문화 속의 역사 읽기(M3533.001300)'
동양사학 전공 과목군
'아시아사입문(M3545.002300)' '중국고대사(M3545.000900)’
'중국중세사(M3545.001200)' '개관일본사(100.138)' '몽골세계제국사(100.139A)’
3학년
역사학부 공통 과목군
'한문사료강독1(M3533.001400)' '한문사료강독2(M3533.000500)' '원어로 읽는 유럽사(M3533.000200)' '영어로 역사 읽기(M3533.000100)' '역사학의 역사(M3533.001100)’
'한문사료강독1(M3533.001400)' '한문사료강독2(M3533.000500)' '원어로 읽는 유럽사(M3533.000200)' '영어로 역사 읽기(M3533.000100)' '역사학의 역사(M3533.001100)’
동양사학 전공 과목군
'중국근세사(M3545.001100)' '일본고중세사(M3545.000800)' '개관 베트남사(M3545.001600)' '동남아시아의 역사와 해상무역(100.140)' '아시아사특강(M3545.000400)’
'중국근대사(M3545.001000)' '중국현대사(M3545.001300)' '일본근현대사1(M3545.000500)' '근세무슬림제국과 그 유산(M3545.001800)’
4학년
역사학부 공통 과목군
'역사학 논문쓰기 1(M3533.001500)' '역사학 논문쓰기 2(M3533.000600)' '역사학 논문쓰기 3(M3533.000800)' '젠더로 이해하는 역사(M3533.000900)' '글로벌 생태환경사(M3533.001600)’
'역사학 논문쓰기 1(M3533.001500)' '역사학 논문쓰기 2(M3533.000600)' '역사학 논문쓰기 3(M3533.000800)' '국제관계사 특강(M3533.001200)’
동양사학 전공 과목군
'전통중국의 사상과 종교(M3545.002100)' '일본근현대사2(M3545.000600)' '일본사특강(M3545.000700)' '서아시아사 특강(M3545.001900)' '세계사 속의 중앙유라시아사(M3545.000200)’
'동아시아 사회경제사 특강' '동남아시아 및 주변의 역사와 기억' '아시아사 세미나(M3545.000300)' '동아시아역사고전독해(M3545.002200)’
[출처]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공식 홈페이지 >교양과정 > 학부전공 이수표준 학부전공 이수표준 - 인문대학 동양사학과 (snu.ac.kr) (검색일 : 2024년 6월 28일)
졸업 이수 요건은 기본적으로 입학 연도를 따르게 됩니다. 즉, 22학번까지의 경우 동양사학과 졸업요건을, 23학번부터의 경우 역사학부 동양사학전공 졸업요건을 따릅니다. 다만 22학번까지의 동양사학과 학생의 경우 역사학부 동양사학전공으로의 학적 이관 신청이 가능합니다. 이 경우 졸업요건도 역사학부 동양사학전공 졸업요건이 적용됩니다. 자유전공학부 학생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합니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7월 12일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행정실의 이메일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2) 타학과 개설 인정 교과목

[17학번까지]
국사학과 혹은 서양사학과 전공과목중 6학점까지 인정
중문과 : ‘시경,초사(102.421)’
철학과 : ‘중국근현대철학(113.454)'(‘유가철학강독’, ‘근대유가사상’, ‘중국철학사 2’는 ‘중국근현대철학’의 대체 교과목으로 인정, 이하 동일), ‘한국불교철학(113.357)'(‘불교철학강독’, ‘불교철학특강(113.369)’, ‘불교와 선’), ‘신유학특강(113.371)(‘제자백가강독’, ‘도가및제자백가강독’, ‘제자백가철학특강(113.370)’, ‘동양철학특강’)
고고미술사학과  : ‘동양고고학’
정치학과  : ‘중국정치론(216A.308)’
[18학번-22학번]
아래 교과목 중 9학점까지 전공 이수 학점으로 산입할 수 있습니다.
역사학부 ①공통과목군 중 ⑴국사학과와 ⑶서양사학과의 기존 과목을 개편한 과목 및 ⑷역사학부 신설 과목, ②한국사과목군, ④서양사과목군
중문과 : ‘시경,초사(102.421)’
철학과 : ‘중국근현대철학(113.454)'(‘유가철학강독’, ‘근대유가사상’, ‘중국철학사 2’는 ‘중국근현대철학’의 대체 교과목으로 인정, 이하 동일), ‘한국불교철학(113.357)'(‘불교철학강독’, ‘불교철학특강(113.369)’, ‘불교와 선’), ‘신유학특강(113.371)(‘제자백가강독’, ‘도가및제자백가강독’, ‘제자백가철학특강(113.370)’, ‘동양철학특강’)
고고미술사학과  : ‘동양고고학’
정치학과  : ‘중국정치론(216A.308)’
[19학번-22학번]
19학번, 20학번, 21학번, 22학번의 경우 다음 과목도 전공 이수 학점으로 산입할 수 있습니다.
아시아언어문명학부 : ‘일본문명의 이해(100.171)’, ‘일본문헌강독1(1003.275)’, ‘일본문헌강독2(1003.276)‘,’전후 일본사회와 영화(M2753.000200)’, ‘일본의 사상과 문명(1003.373A)’, ‘인도사1(1003.212)’,’인도사2(1003.213)’, ‘고대 서아시아문명(1003.231)’, ‘이슬람 문명의 기원과 전개(1003.232)’, ‘중동현대사의 쟁점들(1003.432)’, ‘세계사 속의 동남아시아(1003.351)’
[출처]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공식 홈페이지 >교양과정 > 학부전공 이수표준 학부전공 이수표준 - 인문대학 동양사학과 (snu.ac.kr) (검색일 : 2024년 6월 28일)

(3) 선이수/후이수

강제된 선이수 후이수는 없습니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7월 12일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행정실의 이메일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2. 졸업 교양 규정

17학번까지 전공필수과목’ 111.154A’, ‘100.137(M2169.004700)’, ‘111.404‘ 3과목을 들어야 했습니다. 18학번 이후로는 전공필수 3과목 ‘동양사학입문’, ‘동양사한문사료강독’, ‘동양사학연구지도’ 와 삼사과통합과목 1과목을 필수로 이수해야 합니다. 삼사과 통합 과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개설학기
개설학과
과목
2018-2학기
국사학과
한국사특강2
2019-2학기
서양사학과
역사학 세미나
2020-2학기
동양사학과
역사학 세미나
[출처]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공식 홈페이지 >교양과정 > 학부전공 이수표준 학부전공 이수표준 - 인문대학 동양사학과 (snu.ac.kr) (검색일: 2024년 6월 28일)
22학번 이후의 교과목 이수 규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공통과목군] ‘역사 공부의 기초’ 또는 ‘역사학 세미나’ 중 한 과목을 이수해야 한다.
② [공통과목군] ‘역사학 논문쓰기 1’, ‘역사학 논문쓰기 2’, ‘역사학 논문쓰기 3’ 중에 한 과목을 이수해야 한다.
③ [공통과목군] ‘한문사료강독1’, ‘한문사료강독2’ 중에 한 과목을 이수해야 한다.
④ [전공과목군] ‘아시아사 입문’ 과목을 이수해야 한다.
⑤ 동양사학전공의 주전공은 ①~④를 충족해야 한다. 심화전공은 ①~④에 더해, ‘아시아사 세미나’ 또는 ‘아시아사 특강’ 중 한 과목을 이수해야 하며, 중국사와 일본사 이외의 교과목을 이수해야 한다.
⑥ 역사학부 소속 학생이 역사학부 내 다른 전공을 복수전공 또는 부전공하는 경우에는 각 전공의 졸업 요건을 중복 교과목 없이 각각 충족해야 한다.
예컨대, 국사학을 전공하고 동양사를 복수전공하는 학생이 주전공 공통과목군 졸업요건 ①로서 ‘역사 공부의 기초’를 이수한 경우, 복수전공 졸업요건으로는 ‘역사학 세미나’를 추가로 이수해야 함.
[출처]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공식 홈페이지 >교양과정 > 학부전공 이수표준 학부전공 이수표준 - 인문대학 동양사학과 (snu.ac.kr)(검색일 : 2024년 6월 28일)
인문대의 졸업이수 의무사항을 따라야 합니다.
인문대의 규정에 따라 ‘소그룹고전원전읽기’ 과목을 05학번부터 의무 수강해야 합니다.
인문대의 규정에 따라 제2외국어 과목을 9학점을 이수하되, 최소 1과목은 중급 이상을 이수해야 합니다. (단, 타 단과대학 소속학생의 인문대학 복수전공자는 교양 제2영역에서 영어를 제외한 제2외국어를 1과목 이상 이수하여 C- 이상이면 논문제출자격을 가집니다.)
인문대의 규정에 따라 외국어진행강좌 3과목 이상을 의무 수강해야 합니다. 대학영어 또는 중국어회화 등 외국어로 진행되는 교양 및 전공교과목이 포함됩니다.
‘삶과 인문학’ 수업은 들을 필요가 없습니다.
[출처] 위 내용은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공식 홈페이지 >교양과정 > 학부전공 이수표준 학부전공 이수표준 - 인문대학 동양사학과 (snu.ac.kr)(검색일 : 2024년 6월 28일)의 내용과 2024년 6월 28일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행정실의 유선상의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3. 추가 특별 규정

동양사학과(22학번 이전)는 주전공/복수전공/부전공 모두 졸업논문 작성이 필수입니다. 기존 ‘동양사연구지도’ 수업이 변경된 '역사학 논문쓰기 2(M3533.000600)' 수업을 이수하여 논문을 작성해야 합니다.
역사학부 동양사학전공(23학번 이후)의 경우 주전공/복수전공은 필수, 부전공은 선택입니다. ‘역사학논문쓰기 1, 2, 3’ 수업 중 하나를 이수하여 논문을 작성하면 됩니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7월 12일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행정실의 이메일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4. 전탐 추천 교과목

'아시아사입문(M3545.002300)', '개관일본사(100.138)', '몽골세계제국사(100.139A)’, '동남아시아의 역사와 해상무역(100.140)'가 전공 탐색 교과목으로 제시되어 있습니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7월 12일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행정실의 이메일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5. 전공 리뷰

아직 작성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