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정실 위치: 14동 201호
•
행정실 전화번호: 02-880-6175
1. 전공 수업 규정
(1) 전공교과목목록
공통 전공교과 12학점 + 한국사학전공 전공교과 12학점 + 동양사학전공 전공교과 6학점 + 서양사학전공 전공교과 6학점 + 공통교과목/동양사학전공/서양사학전공 3학점 → 총 39학점
교과구분 | 과목번호 | 학년 |
교과목명 | 학점 | |
전선(전공탐색) | M3544.002100 | |
한국사를 보는 관점과 자료
Korean Historiography and Sources | 3 | |
전선(전공탐색) | M3544.002200 | |
20세기 한국사
Korea in the 20th Century | 3 | |
전선(전공탐색) | M3544.000100 | |
한국사를 이끈 사상가들
Leading Thinkers in Korean History | 3 | |
전선(전공탐색) | M3544.002300 | |
한국사와 생활문화
History of life Style in Korea | 3 | |
전선 | M3544.000200 | |
한국고대사
Ancient History of Korea | 3 | |
전선 | M3544.002400 | |
한국근세사
Early-modern History of Korea | 3 | |
전선 | M3544.000300 | |
한국근대사
Modern History of Korea | 3 | |
전선 | M3544.000400 | |
한국중세사
Medieval History of Korea: Koryo | 3 | |
전선 | M3544.000500 | |
한국고대사상사
Intellectual History of Ancient Korea | 3 | |
전선 | M3544.000600 | |
한국사특강 1
Topics in Korean History 1 | 3 | |
전선 | M3544.002500 | |
한국사회경제사
Socio-economic History of Korea | 3 | |
전선 | M3544.002600 | |
한국현대사특강
Topics in Contemporary History of Koera | 3 | |
전선 | M3544.000700 | |
한국근세사상사
Korean Pre-modern Intellectual History | 3 | |
전선 | M3544.002700 | |
한국사세미나 1
Seminar in Korean History 1 | 3 | |
전선 | M3544.000800 | |
한국과학기술사
Science and Technology in Korean History | 3 | |
전선 | M3544.002800 | |
한국중세사상사
Intellectual History of Medieval Korea | 3 | |
전선 | M3544.000900 | |
한국사특강 2
Topics in Korean History 2 | 3 | |
전선 | M3544.001000 | |
한국독립운동사
History of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s | 3 | |
전선 | M3544.001100 | |
한국정치사회사
Korean Politico-Social History | 3 | |
전선 | M3544.001200 | |
한국현대사
Contemporary Korean History | 3 | |
전선 | M3544.001300 | |
한국사세미나 2
Seminar in Korean History 2 | 3 | |
전선 | M3544.001400 | |
동아시아 문헌과 규장각
East Asian Classical Literature and Kyujanggak |
[출처] 서울대학교 한국사학전공 공식 홈페이지 > 학부 > 교과과정 > 전공과목 https://koreanhistory.snu.ac.kr/학부-전공과목-안내/ (검색일: 2024년 6월 28일)
(2) 타학과 개설 인정 교과목
교과구분 | 과목번호 | 학년 | 교과목개요(Description) |
교과목명 | 학점 | ||
전선 | M3533.001600 | 4 | 오늘날 기후 및 생태 문제는 인류 전체의 삶과 인간-자연 관계의 인식에 대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대전환에 대응하기 위한 역사학의 관점이자 방법으로서 생태환경사가 있다. 이 수업의 목표는 글로벌 시야에서 생태환경사의 주요 연구성과와 방법을 학습하고, 역사가 더 이상 인간의 역사만이 아니라 인간과 다른 생명체, 물질이 상호작용한 역사임을 인식하는 데 있다. 이로써 현대문명의 성과와 한계도 고려하며 역사 인식의 확장을 도모해보고자 한다. |
글로벌 생태환경사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History in Global Perspectives | 3 | ||
전선 | M3533.000300 | 1 | 이 강의에서는 디지털 인문학의 정의와 현황, 그리고 역사학에서 디지털 인문학이 갖는 의미 등을 살펴볼 것이다. 먼저 디지털 인문학이 기존 인문학에 비해 갖는 차별성, 장점과 단점 등을 논의하고, 21세기 디지털 시대에서의 역할과 가치를 고찰할 것이다. 또 현재 역사학에서 디지털 기술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디지털 인문학적 방법론을 활용한 연구 현황, 그리고 디지털 역사학이 전통적인 역사학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인지 등을 살펴볼 것이다. 수강생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디지털 인문학에 대한 기본적인 소양을 갖추고, 역사학과 디지털 인문학의 접목과 그 발전 가능성을 모색해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질 것이다. |
역사와 디지털 인문학
History and Digital Humanities | 3 | ||
전선 | M3533.001000 | 1 | 유네스코 세계 유산에 등재된 각국의 세계 유산에 대하여 그 특징과 가치, 역사적 의미 등을 탐구하는 과목이다. 유네스코에서 지정한 세계 유산의 개념과 내용을 이해하고, 한국, 아시아, 유럽 등 각국의 세계 유산 중 대표적인 사례를 선정하여, 해당 유산이 탄생하게 된 배경과 과정, 그리고 역사적 · 문화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
세계 유산으로 보는 역사
Exploring history through the world heritage sites | 3 | ||
전선 | M3533.001500 | 4 | 본 강의는 역사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역사학 논문을 작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다양한 방법을 익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논문 작성에 필요한 연구방법론을 검토하고, 직접 사료를 다루고 해석하여 실제로 역사학 논문을 작성하는데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
역사학 논문쓰기 1
Writing a History Thesis 1 | 3 | ||
전선 | M3533.001400 | 3 | 한국사 기본 사료로서의 한문 자료를 다양하게 접하고, 역사학부 학생들에게 필요한 사료 독해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한다. 역사학을 전공한 학생들이 본 수업에서 한문 원전 사료를 직접 강독하면서 추후 역사학 연구자로서의 소양을 기를 수 있다. |
한문사료강독 1
Readings in Chinese Source Materials of History 1 | 3 | ||
전선 | M3533.000600 | 4 | 학부 졸업논문의 주제 선정과 연구 성과 및 관련 자료의 탐색, 제목 및 논문 구조의 구체적인 제작 방법 등의 방법론을 지도하여 역사학도로서 논문 작성에 필요한 능력과 기술을 배양한다. |
역사학 논문쓰기 2
Writing a History Thesis 2 | 3 | ||
전선 | M3533.000500 | 3 | 본 수업은 사학도에게 필요한 원전사료, 특히 한문사료의 독해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기본적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동아시아의 여러 한문원전사료를 읽고 해석할 수 있는 기초적인 독법을 위주로 하여 강의한다. 따라서 초급자가 쉽게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는 간단한 원전사료를 선택하여 문장 내의 용어 사용 등을 비롯한 기초적인 원전이해능력을 배양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당 사료가 보여주는 역사적 배경과 사건에 대해 생각해보고 분석해 보는 시간을 가진다. 이러한 훈련을 통해 보다 진전되고 발전된, 사학도로서의 기본 능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
한문사료강독 2
Readings in Chinese Source Materials of History 2 | 3 | ||
전선 | M3533.001200 | 4 | 고대에서 현대까지의 국제관계의 역사를 탐구하고자 하는 과목이다. 동서양의 각 문명, 지역 간 상호 교류와 영향을 고찰하는 것에서 출발하여, 학생들에게 통합적인 역사 연구 자세를 함양하고 세계사적 관점을 배양하여 역사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목적을 둔다. |
국제관계사특강
Topics in Hist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 3 | ||
전선 | M3533.001100 | 3 | 본 수업은‘역사학의 역사’를 통합적으로 검토, 조망하여 역사학의 학문적 전통을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다양한 역사기록과 역사서술을 검토하여, 이를 통하여 역사상을 추출하고 더 나아가서는 학생 각자의 역사관을 정립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표를 둔다. |
역사학의 역사
History of Historical Studies | 3 | ||
전선 | M3533.001300 | 1 | 이 수업은 역사학부 전공을 희망하는 학생들에게 일상에서 접할 수 있는 역사 콘텐츠를 비판적으로 독해하는 훈련을 제공하고, 동시에 다양한 콘텐츠의 생산과 수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역사 해석과 재현 문제를 고민하며 역사학의 사회적 역할을 성찰할 기회를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학생들은 역사 콘텐츠 속에서 특정한 역사 인식과 해석을 발견하고 분석하는 작업을 통해 역사적 지식이 학술적·사회적 논의 속에서 구성되는 과정을 학습하고, 나아가 역사 콘텐츠를 직접 만들어 보기도 하면서 과거를 재현할 때 개입되는 다양한 역사 인식론과 방법론을 고찰하게 될 것이다. |
대중문화 속의 역사 읽기
History in Popular Culture | 3 | ||
전선 | M3533.000100 | 3 | 이 수업은 영문으로 작성된 1차 및 2차 자료의 독해를 통해 현대 역사학의 주요 주제를 탐구한다. 영미권 지역에서 생산된 역사적 문헌은 물론, 영어로 작성된 세계사 사료 및 연구서도 함께 읽는다. 수강생들은 영문 사료를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기록의 도구로서 영어가 지닌 특징을 탐구할 것이다. 나아가 다양한 지역을 연구하는 역사가들이 영어라는 언어를 통해서 어떻게 소통하고, 그러한 소통에 기반해 어떠한 공통의 역사적 주제들을 함께 발굴하는지 또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교과목은 학술어로서 영어에 관한 역사학도의 기본적인 소양을 함양하고, 세계 역사학계가 주목하는 주요 주제를 소개한다. |
영어로 역사 읽기
Reading History in English | 3 | ||
전선 | M3533.000200 | 3 | 이 수업은 유럽 내 여러 지역의 역사를 각자의 고유 언어로 탐구하는 교과목이다. 강독의 성격을 띠는 본 수업은 수강생이 프랑스어와 독일어는 물론이고, 러시아어, 이태리어, 스페인어, 라틴어 등 다양한 유럽어로 쓰인 여러 종류의 문헌을 스스로 심층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돕는다. 해당 학기의 개설 현황에 따라 수강생은 특정 언어로 작성된 1차 및 2차 자료를 독해하고, 유럽인들의 역사를 그들의 언어를 통해 이해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다변화된 언어적 접근을 통해 수강생은 그간 일부 지역에 의해 과다 대표된 유럽의 다채로운 면모를 발굴하고, 유럽이라는 공간이자 장소의 역사적 다양성에 더 생생하게 접근하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
원어로 읽는 유럽사
Western History in European Languages | 3 | ||
전선 | M3533.000800 | 4 | 이 교과목은 역사학부 4학년 학생들이 스스로 졸업 논문 주제를 선정하고 순차적으로 논문 작성의 단계를 밟아가며 논문을 완성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수업이다. 그 과정에서 사료를 읽고 해석하고, 최신 연구 동향을 파악하며, 학생들 간의 활발한 토론을 통해 다양한 관점에서 자신의 논문을 검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그동안의 학습 과정을 종합하고 학부 과정의 총화로서 역사학 논문을 완성하는 것이 이 수업의 목표이다. |
역사학 논문쓰기 3
Writing a History Thesis 3 | 3 | ||
전선 | M3533.000900 | 4 | 본 교과목은 젠더라는 분석 범주를 통해서 세계사를 통시적으로 살펴본다. 여기서는 젠더의 개념적 정의뿐만 아니라 젠더 관념 자체가 불변하는 실체가 아니라 사회적 구성물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젠더가 어떻게 다양한 시공간에서 형성되고 변형되었는지 파헤친다. 젠더를 역사적 형성물로 바라보면 개인 및 집단의 정체성이 자연적으로 주어진 것이 아니라 성별의 사회적 관계 속에서 부단히 만들어져 왔다는 점이 드러난다. 그리고 이는 사적인 영역과 공적인 영역 모두에서 개인 및 집단의 지위가 무엇보다도 젠더의 언어로 쓰여져 왔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교과목은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젠더를 둘러싼 언어, 이념, 제도 등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살펴보고, 나아가서 오늘날의 젠더관을 뒷받침하는 물적토대 및 권력관계의 역사적 궤적을 규명한다. |
젠더로 이해하는 역사Gender History | 3 | ||
전선 | M3533.000700 | 1 | 이 교과목은 역사학부의 신입생과 전공 진입 희망학생을 대상으로 역사학이 무엇이며, 개별 역사연구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안내한다. 그 과정에서 역사학의 방법론과 역사서술 및 사료들을 다루는 기본적인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사, 동양사, 서양사를 아우를 수 있는 역사학의 대표적인 주제를 선택하고, 이 주제를 비교사와 관계사적인 방식으로, 그리고 단일 전공의 경계를 넘어 다양한 시각에서 접근할 기회를 제공한다. |
역사학 세미나
Seminar in Historical Studies | 3 | ||
전선 | M3533.000400 | 1 | 이 수업은 역사학 전공을 선택했거나 역사에 관심 있는 학생들이 심화된 전공 학습 이전에 역사 공부의 기초를 배우고 역사학의 다양한 실천 방식을 접할 수 있게 기획된 입문 과목이다. 우선 학생들은 구체적 연구 사례를 통해 역사학의 기본 탐구방법을 이해함으로써 “역사가처럼 사고하는”법을 익힌다. 또한 공공역사, 박물관와 유물, 역사 컨텐츠, 역사교과서 논쟁 등을 통해 우리 주변에서 만날 수 있는 역사의 다양한 실천 방식을 이해하여 주체적으로 “역사하기(doing history)”과정에 참여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한국사, 동양사, 서양사의 연구와 관점을 두루 살핌으로써 세부 전공 선택 이전 역사의 다양한 지평을 경험할 수 있는 통합적인 입문 수업이 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역사학부 신입생들이 전공에 ‘연착륙’하고 타과 학생들 역시 ‘역사는 사실의 집적과 암기’라는 고정관념을 깨고 역사학에 새롭게 흥미를 느끼도록 돕고자 한다. |
역사 공부의 기초
Foundations of Historical Studies | 3 |
동일교과목 및 대체교과목 안내
– ‘역사학 논문쓰기 1’ (M3533.001500): 기존 ‘한국사논문쓰기’ (109.319B)와 동일교과목
– ‘한문사료강독 1’ (M3533.001400): 기존 ‘한국사한문강독’ (109.321)과 동일교과목
– ‘역사학의 역사’ (M3533.001100): 기존 ‘한국사학사’ (109.412)와 동일교과목
– ‘대중문화 속의 역사 읽기’ (M3533.001300): 기존 ‘한국사와 멀티미디어’ (109.325)와 동일교과목
– ‘한국사회경제사’ (M3544.002500): 기존 ‘한국상공업사’ (109.326)의 대체교과목
– ‘세계 유산으로 보는 역사'(M3533.001000): 기존 ‘역사유적 답사의 기초'(M0.002200)와 동일교과목
– ‘국제관계사특강’ (M3533.001200): 기존 ‘한국대외관계사'(109.308)와 동일교과목
[출처] 서울대학교 한국사학전공 공식 홈페이지 > 학부 > 교과과정 > 전공과목 https://koreanhistory.snu.ac.kr/학부-전공과목-안내/ (검색일: 2024년 6월 28일)
(3) 선이수/ 후이수
특별히 없습니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5월 7일 서울대학교 역사학부 한국사학전공 행정실 답변에 기반하여 구성되었습니다.
2. 졸업 교양 규정
외국어진행강좌 이수규정
•
2008학년도 신입생부터 적용되는 ‘3과목 이상 외국어진행강좌 필수수강’ 규정에 따라 외국어진행강좌를 이수할 때, 2023학년도 이전 입학한 국사학과 학부생은 그 가운데 국사학과 전공 1과목을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2021학년도 2학기부터는 서양사학과, 동양사학과, 고고미술사학과에서 개설한 외국어진행 전공교과목 이수 후 국사학과 전공으로 교과구분변경할 시 위 내규를 충족한 것으로 인정함. 단, 외국어진행 전공교과목을 포함하여 동양사학과, 서양사학과, 고고미술사학과 전공교과목은 총 3과목(9학점)까지만 국사학과 전공으로 교과구분변경이 가능함)
3. 추가 특별 규정
학부과정 답사 의무
•
국사학과에 입학·진입한 학생은 졸업 전까지 반드시 3회 이상 답사에 참여하여야 한다.
•
이 규정은 2008학년도 입학자부터 적용하며, 2007학년도 이전 입학자는 2회 이상으로 한다.
•
23학번 이후: 역사학부 학생은 졸업까지 국내, 해외를 포함하여 역사학부 답사에 2번 참가하여야 한다. (역사학부 내 타전공 주관 답사 포함) (이 규정은 23학번부터 적용하며, 22학번 이전까지는 종전의 국사학과 규정에 따른다)
4. 전탐 추천 교과목
추후 정보 획득 시 추가 예정
5. 전공 리뷰
아직 작성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