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회
home
학생회 소개
home

경영학과

행정실 위치
58동
분류
경영대학
행정실 전화번호
02-880-6908
위치: 경영대학 58동
행정실 전화번호: 02-880-6908

1. 전공수업 규정

단일전공 : 전필 30학점 + 전선 30학점 => 총 60학점 이상 다전공 : 전필 30학점 + 전선 9학점 => 총 39학점 이상

(1) 전공교과목목록

1학기
2학기
1학년
M2171.002000* 경영학과 나의 미래 (1) M2171.002100* 경영철학과 윤리 M2171.001900* 경영을 위한 경제학
251.205* 회계원리
2학년
251.204A 중급회계1 251.207A* 경영과학 251.209* 조직행위론 251.214 기업법 251.218 마케팅사례연구 251.301* 재무관리
251.215 조직구조론 251.324A 중급회계2 251.326* 경영정보론 M2171.001800 협상전략
3학년
251.355 재무제표분석 및 기업가치 평가 251.306* 관리회계 251.401 회계감사 251.422 투자론 251.340 기업지배구조의 이론과 실제 251.339 보험과 위험관리 M1338.002000 고객경험디자인과 컨택츠 전략 M1338.001200 문화예술마케팅 M1338.001600 전자상거래 M1338.003300 전략과 조직 251.338 기업과 경력개발 (1) (
251.305 원가회계 251.402 세무회계 251.323 기업재무론 251.317 금융기관경영론 251.321* 마케팅관리 251.327 소비자행동 M2171.002700 전략적 브랜드 관리 251.334 신제품개발 및 제품관리 251.303* 인사관리 251.332 현대경영이론 M1338.003000* 생산서비스운영 M2171.000600 비즈니스 분석학의 이해와 활용 251.331B 네트워크비지니스경영 M1338.001500 경영빅데이터분석개론 251.322 국제경영 251.328 경영학특강 251.336 공급사슬관리 M1338.002800 재무와 기계학습
4학년
251.325 고급회계 M2171.000900 회계정보와 경영의사결정 251.445 회계학특강 (1) 251.434 기업경영특강 251.420 파생금융상품론 M2171.000400 위험과 경영 M1338.001700 재무사례연구 251.411A 마케팅조사론 M2171.001300 마케팅 모형 M1338.002400 경영정보연구 (1) 251.424* 경영전략 251.426 국제기업환경 251.436 서비스운영관리 M1338.002100 디지털 마케팅
251.432 특수경영론 M2171.001000 자본시장과 회계정보 251.448 채권분석 251.430 국제금융관리론 251.450 기업가치금융 M1338.002700 핀테크 사례연구 251.425 광고관리론 M2171.001400 마케팅 애널리틱스 M1338.002100 디지털 마케팅 251.423 노사관계론 251.443 인사조직특강 (1) 241.442 생산특강 (1) 251.435 정보시스템특강 241.439 경영정보특강 (1) 251.440 국제경영특강 (1) M1338.002600* 졸업 세미나 (2)
*은 전공필수입니다.
괄호 안의 숫자는 학점으로, 표시가 없다면 3학점입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공식 홈페이지 > 교육 > 학부 > 교과과정 > 전공교과목 이수표준형태 https://cba.snu.ac.kr/academics/undergraduate/curriculum/01 (검색일: 2024년 6월 29일) [출처]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공식 홈페이지 > 교육 > 학부 > 교과과정 > 교과목 일람 https://cba.snu.ac.kr/academics/undergraduate/curriculum/03 (검색일: 2024년 6월 29일)
18학번 이후는 아래 전공분야별 전필 2과목 중 택1 하여 수강해야 합니다.
전공분야
선택가능전필
회계학
회계원리
관리회계
인사조직
조직행위론
인사관리
생산서비스운영
경영과학
생산서비스운영(구 생산관리)
[출처]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공식 홈페이지 > 교육 > 학부 > 교과과정 > 전공교과목 이수표준형태 https://cba.snu.ac.kr/academics/undergraduate/curriculum/01 (검색일: 2024년 6월 29일)

(2) 타학과 개설 인정 교과목

경제학부
212.201
미시경제이론
212.202
거시경제이론
212.204
경제통계학
212.214
경제수학
212.301
계량경제학
212.302
수리경제학
212.303
화폐금융론
212.309
국제금융론
212.317
산업조직론
212.337A
주식, 채권, 파생금융상품 2: 제도
212.339
게임이론 및 응용
사회학과
205.204
사회조사방법
205.301
현대사회학이론
205.324
사회조직론
205.326
기업사회학
심리학과
207.202
심리통계학
207.230
사회심리학 및 실험
207.304
인지과정 및 실험
지리학과
208.205
경제지리학
법학부
273.205
상법총론
273.304
회사법
273.317
노동법2
273.318
경제법
273.429A
국제통상법
273.432
산업재산관법
273.438
증권거래법
자연과학대학
300.203A
선형대수학1
300.206A
선형대수학2
수리과학부
881.001
응용해석1
881.002
응용해석2
881.007
선형대수학
881.008
해석개론
통계학과
326.311
수리통계1
326.312
수리통계2
326.313
회귀분석 및 실습
326.314
이산자료분석 및 실습
326.316
다변량자료분석 및 실습
326.411
베이즈통계 및 실습
326.412
생존자료분석 및 실습
326.414
비모수통계 및 실습
326.415
시계열분석 및 실습
산업공학과
406.315
경영과학1
406.317
경영과학2
406.319
기술경영
406.426
데이터베이스분석 및 설계
406.429
데이터마이닝
[출처]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공식 홈페이지 > 교육 > 타학과 과목 중 전공선택 인정 https://cba.snu.ac.kr/academics/undergraduate/curriculum/02 (검색일: 2024년 6월 29일)

(3) 선이수/ 후이수

추후 정보 획득 시 추가 예정

(4) 로드맵

[출처]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공식 홈페이지 > 교육 > 학부 > 교과과정 > 전공교과목 이수표준형태 https://cba.snu.ac.kr/academics/undergraduate/curriculum/01 (검색일: 2024년 7월 13일)

2. 졸업 교양 규정

추후 정보 획득 시 추가 예정

3. 추가 특별 규정

경영학과는 영어강의를 무조건 3개 이상 들어야 합니다
졸업논문은 없지만, 졸업논문이 졸업세미나로 대체되었습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공식 홈페이지 > 교육 > 학부 > 졸업안내 https://cba.snu.ac.kr/academics/undergraduate/graduation/requirements (검색일: 2024년 6월 29일)

4. 전탐 추천 교과목

추후 정보 획득 시 추가 예정

5. 전공 리뷰

경영을 선택하는 친구들이 많아서 외롭지 않고 뭔가에 특출난 재능이나 흥미가 없어도 잘 해낼 수 있는 무난한 전공이라는 생각이 든다. 다만, 경영대는 워낙 학점 괴물들이 많기 때문에 최고득점을 하기 위해서는 정말 작은 실수도 용납되지 않고 최선을 다해야 함. (익명의 진입자)
팀플이 많은 편이라서 속 터지는 일이 종종 발생하기도 하고 인류애를 상실하기도 해여 ㅠㅠ (익명의 진입자)
배우다 보면 학문이 엄청 깊이 있다는 느낌을 받지는 못 했어요. 나쁘게 말하면 유사학문 같은 느낌이기도 해요. 하지만 그럼에도 자신이 꼭 하고 싶은 친구들이 들어온다면 열정을 가지고 즐겁게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익명의 진입자)
학부에서의 경영학은 깊이 있는 이론 자체에 대한 탐구보다는 사례를 통한 공부와 팀 프로젝트 위주로 수업들이 진행됩니다. 따라서 회계원리 하나만 미리 이수해두면 나머지 전필 과목들은 전부 순서 상관없이 마음대로 들어도 되기 때문에 시간표를 짤 때 자유도가 높으며, 특정 분야에 대한 기본 지식을 많이 요구하지 않는 장점이 있습니다. (15학번 진입자)
나중에 어떤 일을 하게 되든 두루두루 활용도가 높을 학문입니다. 어떤 분야에서든 기본적으로 갖고 있으면 도움이 될 역량들을 (인사, 회계, 재무, 전략 등) 키워준다는 느낌이어서 사람을 만나고 협업하는 것에 거부감이 없는 학생이라면 누구든 무난하게 배울 수 있는 학문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어떤 분야에서든 활용 가능하다는 말이 다르게 보면 전문성이 떨어지는 학문이라는 말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제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대학원에 진학하지 않는 이상 모든 학부 수준의 학문이 이에 해당할 것이고 그 중 경영학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을 가르쳐주는 실용적인 학과라고 생각해 만족합니다. 뭐, 실무에서의 활용이나 리얼 케이스 스터디보다 이론적이고 학제적인 접근법을 추구하는 사람이라면 다르게 생각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유사학문이라는 꼬리표를 달고 있음과 동시에 가장 많은 학생들이 다전공하고 있는 학과인 만큼 본인이 어떤 부분에 우선순위를 두는지를 잘 생각해보고 결정을 내리길 바랍니다. (18학번 진입자)
서울대에서 공부를 해보고 싶다면 비추입니다 단순히 사회에서 유용한 것을 찾는다면 경제학을전공하고 경영 수업(회계원리, 재무관리 등)을 전공인정과목으로 듣는 것을 더 추천합니다. (14학번 진입자)
경영은 인사관리, 조직행위, 마케팅, 회계, 생산관리, 경영전략/국제경영의 주요 과목을 필두로 기업내부 시스템부터 산업/국제시장 아우르는 미시적+거시적인 학문입니다. 각 과목이 분절된 분야처럼 느껴지지만 배워보면 중첩된 부분이 많아, 처음엔 어렵더라도 시간이 갈수록 누적되며 이해도가 올라갑니다! (15학번 진입자)
문과에서 가장 입결이 높은 학과이기도 하고, 고등학교 때까지 학교에서 경영학과와 관련된 수업을 들을 기회가 전무하기 때문에 경영학과에 대한 환상을 가지기 쉽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경영학과를 진입하기 전에 경영학과 수업을 다양하게 들어보고 진입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대부분의 경영학과 수업이 수강반 제한이 있어서 수강신청하기 쉽지 않겠지만, 수강신청 변경기간과 초안지를 활용하면 수업을 들을 수 있으니(필자도 수변기간에 경영학과 수업을 3개나 주운 경험이 있습니다) 경영 전공을 고민하시는 분이라면 수업을 들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학부 수준에서 배우는 내용들은 얕고 광범위하기 때문에, 수업마다 배우는 내용이나 평가방식의 차이가 클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 가지 수업만을 듣고 경영학과 수업의 특성을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점을 기억해 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18학번 진입자)
공부한 만큼 배우는 점도 있고, 성적도 나오는 곳. 어딜 가나 경영학이 유용하게 쓰인다는 점에서 진입을 후회하지 않습니다. (17학번 진입자)
‘전공을 정하긴 해야하는데, 딱히 끌리는 것도 없고 그냥 무난한 전공 없나?’ 라는 생각으로 많이 선택하는 경영. 물론 구직과 취업에 도움이 되겠지만 그건 모두 자기 하기 나름이라는것. 저런 생각으로 진입했다가 후회할 수도 있는 그런 전공. (17학번 진입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