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회
home
학생회 소개
home

화학부

행정실 위치
501동 303호
분류
자연과학대학
행정실 전화번호
02-880-6634~5
위치 : 자연과학대학 500동
행정실 전화번호 : 02-880-6634~5

1. 전공 수업 규정

(1) 전공교과목목록

21학번 이후
학년
1학기
2학기
비고
2학년
3343.205 유기화학 1(*) 3343.207 물리화학 1(*) M2173.004400 분석화학 M1409.000100 현대화학세미나
3343.206 유기화학 2(**) 3343.301A 물리화학 2(**) M1409.001300 분석화학2M1409.001600 무기화학 1: 구조와 결합(**)
3학년
886.034 화학생물학입문M1409.001700 무기화학 2: 반응과 메커니즘  3343.307 물리화학 3(**) 3343.310 기초생화학(**) 3343.312 물리분석실험(*)
3343.304 고분자합성 3343.311 대사생화학 3343.313 유기무기실험(*) 3343.410 양자화학
4학년
300.314 생화학실험 886.404 고분자화학개론 3343.308 물리유기화학개론3343.406 화학연구실험 3343.412 계산화학
3343.402A 나노소재화학 3343.406 화학연구실험 3343.409 분자생화학 3343.411 분자설계 및 합성
(*)표시는 핵심전공필수 교과목으로 모두 이수해야 합니다. (**)표시는 전공필수 교과목입니다. 전공필수 4과목 및 (**)표시된 전공선택 6과목 중 2과목 이상 이수해야 합니다. (6과목 18학점 이상) 이외는 전공선택 교과목입니다.
20학번 이전
학년
1학기
2학기
비고
2
300.219A 분석화학 I(**) 3343.205 유기화학 1(*) 3343.207 물리화학 1(**)
3343.206 유기화학 2(*) 3343.301A 물리화학 2(*) 3343.404A 분석화학 II
3
3343.306 무기화학 1(**) 3343.307 물리화학 3(*) 3343.310 기초생화학(**) 3343.312 물리분석실험(*)
3343.304 고분자합성 3343.309 무기화학 2 3343.311 대사생화학 3343.313 유기무기실험(*) 3343.410 양자화학
4
300.314 생화학실험(**) 886.404 고분자화학개론 3343.308 물리유기화학개론 3343.406 화학연구실험 3343.412 계산화학
3343.402A 나노소재화학 3343.406 화학연구실험 3343.409A 분자생화학 3343.411 분자설계 및 합성
(*)표시는 전공필수 교과목으로 모두 이수해야 합니다. 이외는 전공선택 교과목입니다. 단, (**)표시된 전공선택 교과목 6과목 중 2과목 6학점 이상을 이수해야 합니다.
학년 구분은 편의상 구분한 것으로 2학년 때 3학년 과목을, 3학년 때 2,4학년 과목이나 4학년 때 3학년 과목을 자유롭게 택할 수 있습니다.
화학연구실험은 총 3회 반복수강 가능하며 2회까지 주전공 전선으로 인정됩니다. 반복이수 교과목이므로 재수강처리가 되지 않습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화학부 공식 홈페이지 > 교육/학사 > 교육과정 > 학부 교과과정 > 학사과정 전공교과목 이수 표준 형태 / https://chem.snu.ac.kr/academics/undergraduate/standard-form (검색일: 2024년 6월 28일)

(2) 타학과 개설 인정 교과목

타학과 개설 인정 교과목은 다음 과목들 중 심화전공일 경우 15학점, 주전공이지만 심화전공이 아닐 시 6학점까지 인정해 주며, 추가로 화학부에서 개설한 석·박사과정 이론 교과목은 심화전공 6학점, 주전공이지만 심화전공이 아닐 시 3학점까지 전공선택 학점으로 인정해줍니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5월 7일 서울대학교 화학부 행정실의 이메일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① 화학부에서 개설한 석/박사 과정 교과목 (단, 대학원 과정 중 ‘화학세미나(3343.510)’, ‘산학화학세미나(3343.729)’, ‘고급화학연구1~4(3343.711~714)’, ‘화학특수연구1~6(3343.701~706)’, ‘고급화학(3343.724)’, ‘화학연구학생 콜로퀴엄(M1409.000200)’은 제외)
② 본교 자연대, 약대 및 공대에서 제공하는 타전공 과목들 (단, 세미나, 각종 연구과목들은 1학점에 한하여 주전공 전선과목으로 인정한다.)
[출처] 서울대학교 화학부 공식 홈페이지 > 교육/학사 > 교육과정 > 학부 교과과정 > 학사과정 전공교과목 이수 표준 형태 / https://chem.snu.ac.kr/academics/undergraduate/standard-form (검색일: 2024년 6월 28일)

(3) 선이수/후이수

1, 2, 3 과목들 사이에 선이수 관계가 없습니다. 예를 들어 ‘물리화학2(3343.301A)’, ‘물리화학3(3343.307)’는 핵심전공필수라 들어야 하지만 ‘물리화학1(3343.207)’을 들을 필요는 없다고 합니다.
선이수 관계는 없으나 물리화학1은 21학번부터 핵심전공필수이므로,
[ ‘물리화학2(3343.301A)’, ‘물리화학3(3343.307)’을 수강하고 ‘물리화학1(3343.207)’을 수강하여도 관계없습니다. ]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7월 1일 서울대학교 화학부 행정실의 이메일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4) 로드맵

[출처]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학생회 Notion > 학과 소개 및 전공 로드맵 > All about 자연대 https://snucns.notion.site/S-N-U-C-N-S-368ed6cd2089493289055d2636580b6c?pvs=4 (검색일: 2024년 7월 20일)

2. 졸업 교양 규정

자유전공학부 화학전공 학생은 ‘과학적 사고와 실험’ 영역에서 총 5과목을 이수해야 합니다. 우선 ‘물리학1(034.001), ‘물리학2(034.002)’, ‘물리학(034.007)’ 중 한 과목을 필수로 이수해야 합니다. 또, ‘화학1(034.016)’, ‘화학실험1(034.022)’, ‘화학2(034.017)’, ‘화학실험2(034.023)’ 또는 ‘고급화학(L0443.000100)’, ‘화학실험(034.024)’을 필수로 이수해야 한다고 합니다.
나머지는 자전 교양을 따르시면 됩니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7월 1일 서울대학교 화학부 행정실의 이메일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3. 추가 특별 규정

졸업논문을 제출해야 합니다. ‘화학연구실험(3343.406)’ 이라는 졸업논문작성교과목이 있지만 필수가 아니고, 개별적으로 연구실과 연락해서 작성해도 무방합니다. 졸업 논문은 총 3 회에 걸쳐 예비(학기 2주), 중간(학기 6주), 최종(학기 15주)에 제출해야 한다고 합니다. 또한 정해진 겉표지가 있는 점 등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영어로 진행되는 강의를 수강하는 것은 권장되나 필수는 아니라고 합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화학부 공식 홈페이지 > 교육/학사 > 교육과정 > 학부 학위취득과정https://chem.snu.ac.kr/academics/undergraduate/standard-form (검색일: 2024년 6월 28일)

4. 전탐 추천 교과목

‘화학1/2(034.016/034.017)’, ‘화학실험1/2(034.022/034.023)’
: 15학번 이미영, 17학번 이지예 진입자 추천
전탐용으론 화학 1, 2 과목이랑 화학실험 과목이 제일 좋은 것 같아요! 다른 전공들이 정말 일반화학의 연장선이기 때문이에요. (15학번 이미영 진입자)
고등학교 때 일반화학을 접해볼 기회가 없으신 분들은 우선 일반화학을 “통년 과목”으로 들으시기를 추천합니다. (단학기 화학 말고 화학1 혹은 2) 그 이유는 전공 수업에서는 일반화학에서 소개한 개념을 세부적으로 들어가는 경우가 많아 통년 과목으로 들어야 수업을 수월하게 따라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고등학교 때 실험하고 레포트를 작성한 경험이 많지 않으신 분들은 화학실험1이나 2를 들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화학부 진입 후에 전필 실험과목들 수강, 연구실 인턴 등 실험을 많이 하는 만큼 실험이 내 적성에 맞는지 보는 것도 꽤 중요합니다. 화학실험을 들으면서 얻은 레포트 작성 경험도 나중에 큰 도움이 되고요. (대나무숲에 종종 등장하는 그 ‘화실’ 맞습니다 허허.. 화학실험 듣는 학기엔 다른 수업들은 부담없는 걸로 들으시길..) (17학번 이지예 진입자)
‘물리화학1/2(3343.207/3343.301A)’, ‘분석화학1(300.219A)’, ‘유기화학1(3343.205)’
: 17 이지예 진입자 추천
화학부 전공과목으로는 물리화학1/2 , 분석화학1, 유기화학1 중에서 두 과목 정도는 들으시는 걸 추천합니다. 화학은 정말 넓은 분야라서 같은 화학부 전공수업이더라도 과목의 내용과 특성이 정말로 상이하기 때문에 한 과목만으로는 전공탐색에 조금 부족한 감이 있습니다ㅠㅠ.
화학은 그 분야가 넓고 깊은 만큼 공부할 것도 많지만 공부하면서 점점 그 매력에 빠지게 된답니다! :) (17학번 이지예 진입자)

5. 전공 리뷰

화학은 물질을 분자적 수준에서 이해해, 거시적 차원에서의 현상을 해석해보고 물질을 합성하기도 해요. 크게 물리화학, 무기화학, 유기화학, 분석화학, 생화학으로 나뉘고, 다양한 전공들과 접목시킬 수 있어요. (15학번 이미영 진입자)
화학은 원자부터 고분자까지 미시세계의 원리와 응용에 대해 총체적으로 다루는 학문으로, 물리학, 생물학, 지구환경과학 등 다른 자연과학 분야와도 밀접하게 관련이 있느 정말 넓고 깊은 학문 분야입니다. 마치 자연과학의 자전과 같아서, 과학의 여러 분야를 골고루 공부해보고 싶으신 분들께도 정말 꼭 맞는 전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화학부 내에 학부생을 위한 연구실 소개 행사, 어울림 한마당, (교수님들도 참여하시는) 체육대회, 지도교수-학부생 상담 및 식사 등 자전생들도 참여 가능한 여러 행사가 마련되어 있는 것도 하나의 큰 장점입니다. 화학부 친구들과도 교류할 기회가 많고, 교수님들께서 진로나 연구 관련하여 많은 조언도 해주십니다. (17학번 이지예 진입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