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치: 인문대학 1동 326호
•
행정실 전화번호: 02-880-6058/6031
1. 전공 수업 규정
(1) 전공교과목목록
전필 12학점+전선 27학점 → 총 39학점
1학기 | 2학기 | 비고 | |
1학년 | 한국어연구입문(100.100)(필)
한국문학과 한국사회(100.103) | 한국어연구입문(100.100)(필)
한국문학연구입문(100.102) | 전공탐색교과목 |
2학년 | 한국고전시가강독(101.215)
한국어문법론(101.303A)
한국현대시론(101.309A) | 한국현대희곡론(101.218)(*)
한국고전산문강독(101.223)
한국현대소설론(101.311A)
한국영상문학론(101.428)(*) | (*)은 매년 개설되지는 않음 |
3학년 | 한국고전문학사(101.221)(필)
한국어의 역사(101.301A)(필)
한국현대작가론(101.312)
한국한문학론(101.315)
한국어어휘론(101.426)
한국고전소설강독(M1232.001500) | 한국어음운론(101.212A)
한국현대문학사(101.222)(필)
한국어의 역사(101.301A)(필)
한국고전소설론(101.308)
한국현대시인론(101.310)
한국고전시가론(101.316)
한국어방언학(101.401A) | |
4학년 | 한국어 정보의 전산처리(101.317)(*)
한국어학사(101.402A)
한국구비문학론(101.405)
한국현대소설강독(101.410)(*)
한국현대문학비평(101.419)(*)
한국현대시강독(101.424)(*) | 한국어의미론(101.404A)
한국어학자료읽기(101.477)(*)
세계 속의 한국문학(M1232.000200)
K문학의 이해(M1232.002000)(*) | (*)은 매년 개설되지는 않음 |
(2) 타학과 개설 인정 교과목
연계전공 고전문헌학 고전문헌번역연습1 (매년 2학기 개설)
(3) 선이수/후이수
특별히 없습니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5월 8일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행정실 답변에 기반하여 구성되었습니다.
(4) 로드맵
[출처]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공식 홈페이지 > 교육·학생지원 > 예비대학 > 예비대학 수강가이드 > 국어국문학과 https://ctl.snu.ac.kr/didimdol/liberalarts_korean.html (검색일: 2024년 7월 18일)
2. 졸업 교양 규정
<전공과목 이수 규정>
(1) 전필 4과목(한국어연구입문,한국어의역사,한국고전문학사,한국현대문학사) 포함하여 총 39학점 이상 이수
(2) 전공 평점 평균 2.0 이상
<인문대학 졸업이수 의무사항>
(1) 외국어 진행 강의 3개 이수
•
전공/교양/일선/타과전공 여부 무관
•
교환학기에 국외 대학에서 수강한 과목은 인정 안 됨
•
대학영어 과목도 외국어 진행 강의로 인정 가능
(2) 제2외국어 1과목 이상 이수하여 성적 C- 이상 취득
(3) 소그룹고전원전읽기 1 또는 2 이수
<국어국문학과 내규>
(1) 졸업논문 작성 및 발표(졸업학기에 발표하는 것이 원칙임)
•
3월/9월 중 지도교수 면담, 4월/10월 말 요약문 제출, 6월/12월 초 발표회, 6월/12월 말 최종본 제출
•
고전문헌번역연습1 과목 역주 과제로 논문 대체 가능
(2) 학과 정기 학술답사 1회 이상 참석
•
매년 1학기(4월 말~5월 초 정도)에 실시
3. 추가 특별 규정
•
국어국문학과 전공탐색 과목(한국어연구입문, 한국문학연구입문, 한국문학과 한국사회) 중 1개 과목 이상을 수강해야 하며, 이중 한 과목은 반드시 A~F 등급제로 이수해야 합니다.
•
수강한 전공탐색 과목의 평점 평균이 B-(2.7)이상이어야 합니다. 단, 전공탐색과목을 3과목 이상 수강하였을 경우 본인이 2과목을 지정하여 평점평균을 산출합니다.
4. 전탐 추천 교과목
•
[한국어 어휘와 표현]: 국어학과 국문학을 공부하는 국어국문학과에서 어떤 공부를 하는지, 즉 ‘어학’이 어떤 느낌인지 알려면 가볍게 들을 수 있습니다.
•
[한국문학과 한국사회(1학기)]: 전탐과목으로 적합한 국어국문과 전필 과목입니다. 수업 내용이 흥미로우므로 국문과에 관심이 있다면 꼭 들었으면 하는 수업입니다.
•
[한국어연구입문], [한국문학연구입문(2학기)]: 전필과목이지만 국어국문학과 생각이 있다면 꼭 들어봐야 하는 과목으로, 다른 수업들의 선수과목 역할을 합니다.
•
[한국어문법론], [한국어음운론]: 어학 과목을 경험해보고 싶으신 경우 추천하는 전탐 과목입니다.
[참고] 2024년 업데이트 이전 수록 정보
5. 전공 리뷰
•
국어국문과 수업은 어학/문학 두 종류가 있는데, 대체로는 이론적인 것을 배워서 스스로 공부를 더 하지 않는다면 그 자체로 재밌지는 않은 편이에요. 그러나 그 덕분에 수업 한두 개만 들어봐도 적성에 잘 맞는지 아닌지 판단하기는 쉬운 듯해요. 국어국문과에 관심이 있다면 전탐 과목을 들어보시기를 권장합니다. (18학번 조성영 진입자)
•
자신이 문학 쪽 성향이든, 어학 쪽 성향이든 반대쪽의 과목을 두세 개는 들어야 졸업을 할 수 있어요. 우리말에 대해 공부한다는 자부심과 더불어 평소에 쓰는 말을 알고 쓰게 되는 느낌이어서 보람차기도 합니다! 오히려 맞춤법이나 띄어쓰기 규정 같은 건 국어국문학과에서 크게 배우지 않습니다. 국어학 분야에서는 이미 알고 있는 지식을 마주한다는 느낌으로 공부를 해요. ex> '나는 왕이다' vs '내가 왕이다'의 차이에 대해 생각해 보는 등...! (18학번 이영호 진입자)
•
어학과 문학과 미학과 철학 사이를 헤매며 '우리만의 것'을 찾아나서는 전공입니다. 순수학문을 공부할 수 있는 것이야말로 20대의 특권입니다. 국어국문학과 전공수업을 들으며 '딱 맞는 옷을 입은 느낌'을 받으셨다면 더더욱 선택을 망설이지 마시길 바라요. (14학번 서민주 진입자)
•
문학도 하고 어학도 하기 때문에, 본인이 관심 없는 분야를 전필로 들어야 한다는 건 좀 괴로울 수 있다. 그래도 좋은 소설/시를 접할 기회가 많기에 문학을 하고 싶은 사람에게는 그나마 최적의 전공이 아닐까 싶다. + 신범순 선생님 수업은 졸업 전에 꼭 들어보길 추천합니다. (14학번 진입자)
•
크게 국어학, 고전문학, 현대문학의 세 갈래로 커리큘럼/교수들의 전공을 나눌 수 있습니다. 말인즉 현대시를 공부하고 싶어 국문과에 온다 하더라도, 전공필수로 지정된 어학/고전문학 수업은 반드시 들어야 한다는 것이죠. 하지만 전필 수업을 들어놓고 나면 나머지는 자신이 관심있는 갈래의 수업들로만 채워넣을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를 예시로 들자면 39학점에서 어학/고전문학 관련 전필 수업 3개를 제외하고 나머지 10개의 수업들은 오로지 현대문학으로 채워넣을 예정이고요. 현대문학 관련해서 이야기를 드리자면, 서평 과제가 잦습니다. 유명한 작품들은 다루고 또 다루기 마련입니다. 해서 미리미리 틈날 때마다, 이름난 작품이지만 읽지 않았던 것들을 읽어두시는 것도 좋을 거예요. 시험에 외워서 쓰는 문제들은 거의 등장하지 않고, 대부분 한국 근현대 문학의 흐름, 작가론, 역사성 등에 대한 통시적 고찰을 적을 것을 주문합니다. 해서 시험공부는 어렵지 않으면서도 어렵다고 할 수도 있습니다. 평소에 자기 생각을 활자화하는 습관을 잘 들여 놓는 것이 중요합니다. 어학/고전문학 수업과 시험은 이보다는 다소간 암기를 요구하는 지점들이 빈번하게 출몰하는 편입니다. (14학번 진입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