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치: 제 1 공학관 301동 319호
•
행정실 전화번호: 02-880-1801
1. 전공 수업 규정
(1) 전공교과목목록
전필 21학점 (선택적 전공필수 포함) + 전선 18학점 (전공선택 인정 교과목(3학점까지) 포함) → 총 39학점
전공과목 이수표준형태
1학기 | 2학기 | 비고 | |
2학년 | 430.306 신호 및 시스템
300.203A(1) 선형대수학 1
881.007(1) 선형대수학
430.213A 기초회로이론 및 실험 | 430.216(1) 전기시스템선형대수
430.217(2) 자료구조의 기초
M1522.000900(2) 자료구조 | - 300.203A(1),
881.007(1),
430.216(1) 택1
- 430.217(2),
M1522.000900(2) 택1 |
3학년 | 430.203(3) 전자기학
884.301(3) 전자기파와 광학
430.314 확률변수 및 확률과정의 기초
M3495.000300 정보통신정책의 이해
4190.411(5) 컴퓨터네트워크 | 300.214(3) 전기와 자기
430.317(4) 통신의 기초
M1522.002100(4) 데이터통신
M2608.001200(5) 데이터통신망의 기초 | - 430.203A(3),
884.301(3),
300.214(3) 택1
- 430.317(4),
M1522.002100(4) 택1
- 4190.411(5),
M2608.001200(5) 택1 |
4학년 | 430.452A(6) 로봇공학개론
M2794.002700(6) 로봇공학입문
430.466 통신시스템
4190.408(7) 인공지능
406.315(8) 경영과학 1
M3495.000200 고급 이동통신 시스템의 이해
M3495.000100 이동통신 표준 및 상용망의 이해 | M1522.002300 인터넷 보안
M2177.004300(7) 딥러닝의 기초
430.469(8) 네트워크 프로토콜 설계 및 실습
M2794.003300(8) 자동차공학
108.417(8) 언어와 정보처리 | - 430.452A(6),
M2794.002700(6) 택1
- 4190.408(7),
M2177.004300(7) 택1
- 406.315(8),
430.469(8),
M2794.003300(8),
108.417(8) 택1 |
[출처] 서울대학교 홈페이지>교육>대학>교과과정>Undergraduate_Course_List_2022 https://www.snu.ac.kr/academics/undergraduate/curriculum (검색일: 2024년 06월 25일)
•
2022년도 자료임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전공필수 교과목
영역 구분 | 교과목번호 | 교과목명 | 주관학과(부) | 학점 | 비고 |
영역1 | 430.317 | 통신의 기초 | 전기.정보공학부 | 3 | 택1 |
M1522.002100 | 데이터통신 | 컴퓨터공학부 | 3 | ||
영역2 | M2608.001200 | 데이터통신망의 기초 | 전기.정보공학부 | 3 | 택1 |
4190.411 | 컴퓨터네트워크 | 컴퓨터공학부 | 3 | ||
영역3 | 300.203A | 선형대수학1 | 자연과학대학(공동) | 3 | 택1 |
881.007 | 선형대수학 | 수리과학부 | 3 | ||
430.216 | 전기시스템선형대수 | 전기.정보공학부 | 3 | ||
영역4 | 430.314 | 확률변수 및 확률 과정의 기초 | 전기.정보공학부 | 3 | 필수 |
영역5 | 430.306 | 신호 및 시스템 | 전기.정보공학부 | 3 | 필수 |
영역6 | M3495.000200 | 고급 이동통신 시스템의 이해 | 연합전공 지능형통신 | 3 | 택2 |
M3495.000100 | 이동통신 표준 및 상용망의 이해 | 연합전공 지능형통신 | 3 | ||
M3495.000300 | 정보통신정책 | 연합전공 지능형통신 | 3 |
전공선택 교과목
영역 구분 | 교과목번호 | 교과목명 | 주관학과(부) | 학점 | 인정 |
전자기학 | 300.214 | 전기와 자기 | 물리.천문학부 | 3 | 1과목 |
884.301 | 전자기파와 광학 | 물리.천문학부 | 3 | ||
430.203A | 전자기학 | 전기.정보공학부 | 3 | ||
신호처리 | 430.461 | 디지털신호처리의 기초 | 전기.정보공학부 | 3 | 1과목 |
4190.416A | 디지털신호처리 | 컴퓨터공학부 | 3 | ||
로봇공학 | M2794.002700 | 로봇공학입문 | 기계공학부 | 3 | 1과목 |
430.452A | 로봇공학개론 | 전기.정보공학부 | 3 | ||
인터넷보안 | M1522.002300 | 인터넷보안 | 컴퓨터공학부 | 3 | 1과목 |
통신시스템 | 430.466 | 통신시스템 | 전기.정보공학부 | 3 | 1과목 |
자료구조 | M1522.000900 | 자료구조 | 컴퓨터공학부 | 3 | 1과목 |
430.217 | 자료구조의 기초 | 전기.정보공학부 | 3 | ||
알고리즘 | 4190.417 | 알고리즘 | 컴퓨터공학부 | 3 | 1과목 |
430.329 | 알고리즘의 기초 | 전기.정보공학부 | 3 | ||
인공지능 | M2177.004300 | 딥러닝의 기초 | 전기.정보공학부 | 3 | 1과목 |
4190.408A | 인공지능 | 컴퓨터공학부 | 3 | ||
자동차공학 | M2794.003300 | 자동차공학 | 기계공학부 | 3 | 1과목 |
경영과학 | 406.315 | 경영과학1 | 산업공학과 | 3 | 1과목 |
네트워크 | 430.469 | 네트워크 프로토콜 설계 및 실습 | 전기.정보공학부 | 3 | 1과목 |
언어처리 | 108.417 | 언어와 정보처리 | 언어학부 | 3 | 1과목 |
미선택영역6 | M3495.000200 | 고급 이동통신 시스템의 이해 | 연합전공 지능형통신 | 3 | 1과목 |
M3495.000100 | 이동통신 표준 및 상용망의 이해 | 연합전공 지능형통신 | 3 | ||
M3495.000300 | 정보통신정책 | 연합전공 지능형통신 | 3 | ||
회로이론 | 430.213A | 기초회로이론 및 실험 | 전기.정보공학부 | 4 | 1과목 |
프로그래밍 | 430.211 | 프로그래밍방법론 | 전기.정보공학부 | 4 | 1과목 |
•
영역별로 한 과목씩 인정되는 듯합니다.
(2) 타학과 개설 인정 교과목
타학과 개설 인정 교과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교과목번호 | 교과목명 | 주관학과(부) | 학점 | 인정 |
M1522.001800 | 데이터베이스 | 컴퓨터공학부 | 3 | |
M2794.002200 | 응용열역학 | 기계공학부 | 3 | |
406.317 | 경영과학2 | 산업공학과 | 3 | |
430.414 | 컴파일러의 기초 | 전기정보공학부 | 3 | 컴파일러의 기초와 컴파일러 중 1과목 |
4190.409 | 컴파일러 | 컴퓨터공학부 | 3 | |
4190.210 | 프로그래밍의 원리 | 컴퓨터공학부 | 3 | |
406.311 | 시뮬레이션 | 산업공학과 | 3 | |
430.417 | 임베디드시스템설계 | 전기정보공학부 | 3 | 임베디드시스템설계와 임베디드시스템과 응용 중 1과목 |
4190.303C | 임베디드시스템과 응용 | 컴퓨터공학부 | 3 | |
430.318 | 운영체제의 기초 | 전기정보공학부 | 3 | 운영체제의 기초와 운영체제 중 1과목 |
4190.307 | 운영체제 | 컴퓨터공학부 | 3 | |
M1522.002500 | 양자 컴퓨팅 및 정보의 기초 | 컴퓨터공학부 | 3 | |
M1522.002800 | 블록체인의 이해 | 컴퓨터공학부 | 3 | |
M1522.001400 | 데이터마이닝 개론 | 컴퓨터공학부 | 3 | |
430.464A | 전파공학 | 전기정보공학부 | 3 |
(3) 선이수/후이수
•
선이수 과목은 없다고 합니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6월 27일 서울대학교 연합전공 지능형 통신 행정실의 이메일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4) 로드맵
[출처]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학생회 공식 인스타그램 > 공과대학 전공로드맵 ver. 2023 게시 > 지능형통신 (검색일: 2024년 7월 13일)
2. 졸업 교양 규정
자전 교양 규정만 이수하면 됩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홈페이지>교육>대학>교과과정> Explanation_kor_2022 https://www.snu.ac.kr/academics/undergraduate/curriculum (검색일: 2024년 6월 25일)
3. 추가 특별 규정
연합전공 성적평균 2.0 이상
졸업논문 제출
•
연합전공 지능형 통신 개설 프로젝트 강좌에서 졸업 프로젝트 진행
•
해당 프로젝트 강좌 담당교수 평가 및 전공주임교수 승인
•
일정은 전기·정보공학부와 공히 진행 예정
4. 전탐 추천 교과목
•
선이수로 추천하는 교과목은 다음과 같다고 합니다.
1.
수학1/수학2
2.
공학수학1/ 공학수학2
3.
물리학1/물리학2
4.
컴퓨터의 개념 및 실습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6월 27일 서울대학교 연합전공 지능형통신 행정실의 이메일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
신호 처리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과 통신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에 다음의 과목들을 수강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1. 전기정보공학부의 "신호 및 시스템" (3학년) : 신호 처리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쌓을 수 있습니다.
2. 전기정보공학부의 "데이터 통신망의 기초" (3학년) : 통신의 여러 단계에서 Application Layor부터 Link Layor까지의 내용을 배울 수 있습니다.
3. 컴퓨터공학부의 "데이터통신" (3학년) : "데이터 통신망의 기초"가 high level을 위주로 다루었다면, Link Layor부터 Physical Layor에 대해 더욱 심도있게 배울 수 있습니다. (19학번, 2023-1 진입자, 2024.07 작성)
5. 전공 리뷰
•
LTE, 4G와 같은 무선 통신에 대해 깊이있게 배울 수 있습니다.
더 정확히는 무선 통신의 여러 단계에서 신호를 어떻게 만들고 encoding하여 전달할지를 다루는 low level에 대해서 배우게 됩니다. 전기정보공학부의 "신호 및 시스템"을 통해 신호 처리의 기초를 쌓게 되며, "데이터 통신망의 기초"를 통해 인터넷 통신 프로토콜 전반에 대한 지식을 쌓을 수 있습니다. 앞선 과목들을 통해 쌓은 지식들을 기반으로 전기정보공학부의 "통신시스템"과 지능형통신의 "고급 이동통신 시스템의 이해"를 통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무선 통신 기술들에 대해 배울 수 있습니다.
통신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을 배울 수 있을 뿐더러. 석사까지 지원받을 수 있는 삼성전자의 산학장학금도 신청할 수 있습니다. (19학번, 2023-1 진입자, 2024.07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