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치: 16동 208호
•
행정실 전화번호: 02-880-6360~1, 6385
1. 전공 수업 규정
(1) 전공교과목목록
전필 15학점 + 전선 24학점 → 총 39학점
1학기 | 2학기 | |
1학년 | 200.105 경제원론 1 | 200.106 경제원론 2 |
2학년 | 212.201* 미시경제이론
212.203* 경제사
212.214* 경제수학
212.215 정치경제학입문
212.216 시장경제의 이해 | 212.202* 거시경제이론
212.204* 경제통계학
212.209 마르크스경제학
212.213 국제경제론 |
3학년 | 212.301 계량경제학
212.305 재정학
212.307 국제무역론
212.309 국제금융론
212.313 동양경제사
212.317 산업조직론
212.326 노사관계론
212.337A 주식, 채권, 파생금융상품 2 : 제도
212.339 게임이론 및 응용
212.345 산업경제세미나
212.349 미시금융론
M1314.000200 북한경제론
M1314.000800 보건의료경제학
M1314.001100 행태경제학
M1314.001200 수치계산법 개론
M1314.001700 경제학연습 | 212.206 노동경제학
212.302 수리경제학
212.303 화폐금융론
212.314 한국경제사
212.316 경제학사
212.322 현대마르크스경제학
212.338A 주식, 채권, 파생금융상품 1 : 이론
212.342 인구와 경제
212.343 조세론
212.346 금융경제세미나
212.347 경제성장론
212.350 정치경제의 이해
M1314.000100 응용계량경제학
M1314.001400 경제학을 위한 선형대수학
M1314.001500 고급 경제학을 위한 수학
M1314.001600 산업의 혁신과 경제
M1314.001900 거시 금융 경제학
M1314.002000 경제학을 위한 머신러닝
M1314.002100 경쟁 경제학 |
4학년 | 212.461 환경경제학
212.467A 경제추격론
212.471 동태적 거시경제이론
212.472 이행기경제와 경제체제론
M1314.000500 메커니즘 디자인
M1314.000600 실험경제학
M1314.000900 실증금융경제학
M1314.002500 주식, 채권, 파생금융상품3 : 실증 | 212.412 한국경제론
212.436 중국경제론
212.474 경제예측 및 시계열 분석
212.475 수리금융경제학
212.476 정보경제학
212.478 금융 중개와 규제
M1314.000400 시장설계 이론 및 응용
M1314.002200 디지털 경제
M1314.002600 경제 분석을 위한 데이터 사이언스 |
[출처] 서울대학교 경제학 공식 홈페이지 Undergraduate > Academic Information > Course Information https://econ.snu.ac.kr/undergraduate/academic-information (검색일: 2024년 6월 28일)
(2) 타학과 개설 인정 교과목
개설 학과(부) | 교과목 번호 | 교과목명 | 개설 학과(부) | 교과목 번호 | 교과목명 |
정치외교학부 | 216A.210 | 행정학서론 | 지리학과 | 208.205 | 경제지리학 |
정치외교학부 | 216A.304 | 한국정치론 | 지리학과 | 208.401A | 법제지리학과 도시지역정책 |
정치외교학부 | 216B.302 | 국제정치이론 | 경영학과 | 251.101 | 경영학원론 |
정치외교학부 | 216B.223 | 국제정치경제론 | 경영학과 | 251.209 | 조직행위론 |
인류학과 | 206.331 | 문화와 경제 | 경영학과 | 251.205 | 회계원리 |
사회복지학과 | 209.232 | 복지국가원론 | 경영학과 | 251.320 | 생산관리 |
사회복지학과 | 209.304 | 사회복지정책 | 경영학과 | 251.301 | 재무관리 |
언론정보학과 | 211.227A | 커뮤니케이션, 문명, 사회변동 | 경영학과 | 251.423 | 노사관계론 |
경영학과 | 251.401 | 회계감사 | |||
법학부 | 273.201 | 헌법1 | 수리과학부 | 881.003 | 미분방정식 |
법학부 | 273.202 | 헌법2 | 수리과학부 | 881.007 | 선형대수학 |
법학부 | 273.101 | 민법총칙 | 수리과학부 | 881.008 | 해석개론 |
법학부 | 273.205 | 상법총론 | 수리과학부 | 3341.201 | 해석개론1 |
법학부 | 273.306 | 행정법1 | 수리과학부 | 3341.202 | 해석개론2 |
법학부 | 273.307 | 행정법2 | 수리과학부 | 881.003 | 미분방정식 |
법학부 | 273.208 | 국제법1 | 수리과학부 | 300.204 | 미분방정식 및 연습 |
법학부 | 273.209 | 국제법2 | 수리과학부 | 881.007 | 선형대수학 |
법학부 | 273.310 | 노동법1 | 수리과학부 | 300.203A | 선형대수학1 |
법학부 | 273.317 | 노동법2 | 수리과학부 | 881.301 | 현대대수학1 |
법학부 | 273.001 | 행정학 | 수리과학부 | 881.302 | 현대대수학2 |
법학부 | 273.420A | 법경제학 | 수리과학부 | 881.401 | 위상수학개론1 |
통계학과 | 326.211 | 확률의 개념 및 응용 | 수리과학부 | 881.402 | 위상수학개론2 |
통계학과 | 326.311 | 수리통계1 | 수리과학부 | 881.425 | 실변수함수론 |
통계학과 | 326.313 | 회귀분석 및 실습 | 수리과학부 | 881.420 | 수치해석개론 |
통계학과 | 326.415 | 시계열분석 및 실습 | 산업공학과 | 406.401 | 선형계획 |
•
경제학전공에서 인정하는 타학과 개설 전공선택 인정 교과목은 2007학번까지는 최대 15학점까지, 2008학번부터는 최대 12학점까지 인정합니다.
•
단, 주전공간 학점 중복 인정은 9학점까지만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수리과학부와 경제학부를 전공한다면 선형대수학(881.007), 해석개론(881.008), 미분방정식(881.003), 수치해석개론(881.320) 4개의 전공(12학점)을 들었다 해도 그것이 중복으로 인정되는 것은 9학점까지입니다.
•
시장과 윤리(M2908.000200) 교과목의 경우, 2021-1학기 이수부터 전선 인정합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경제학 공식 홈페이지 Undergraduate > Academic Information > Course Information https://econ.snu.ac.kr/undergraduate/academic-information (검색일: 2024년 6월 28일)
(3) 선이수/후이수
선이수 교과목은 권장이 아닌 필수이고, 선이수 교과목과 본 교과목의 동시수강은 불가하오니 수강 신청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국제금융론 (212.309) 선이수 교과목 : 거시경제이론 (212.202) , 거시경제이론 (M2649.001400)
거시 금융경제학 (M1314.001900) 선이수 교과목 : 거시경제이론 (212.202) , 거시경제이론 (M2649.001400)
화폐금융론 (212.303) 선이수 교과목 : 거시경제이론 (212.202) , 거시경제이론 (M2649.001400)
동태적 거시경제이론 (212.471) 선이수 교과목 : 거시경제이론 (212.202) , 거시경제이론 (M2649.001400)
이론 거시경제 분석 (M1314.003700) 선이수 교과목 : 거시경제이론 (212.202) , 거시경제이론 (M2649.001400)
•
명시된 선이수 교과목 이외에도, 전공과목 이수 표준 형태에 따라 정해진 학년 순으로 수업을 수강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그리고 교수님에 따라 강의계획서에 선이수 권장과목을 안내해주시기도 합니다.
•
처음 경제를 배우는 학생이라면 전공선택 과목인 ‘경제원론 1(200.105)’을 듣고 전공필수 과목인 ‘미시경제이론(212.201)’을 듣는 것이 좋고, 마찬가지로 ‘거시경제이론(212.202)’을 듣기 이전에는 ‘경제원론 2(200.106)’ 과목을 듣는 것이 좋습니다.
•
고학년의 수학과 연관이 깊은 과목은 수리과학부 전공과목인 ‘선형대수학(881.007)’혹은 ‘해석개론(881.008)’등을 먼저 듣는 것을 추천하는 교수님도 계십니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5월 8일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행정실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되었습니다.
(4) 로드맵
[출처]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공식 홈페이지 > 교육·학생지원 > 예비대학 > 예비대학 수강가이드 > 경제학부 https://ctl.snu.ac.kr/didimdol/social_econ.html (검색일: 2024년 7월 18일)
2. 졸업 교양 규정
자전 교양 규정만 이수하면 됩니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5월 8일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행정실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되었습니다.
3. 추가 특별 규정
졸업논문 심사가 필요합니다.
가. 논문심사 항목은 크게 형식심사와 내용심사로 구분됩니다. 그리고 항목에 대해서 교 수님들이 합당.불합당을 평가하게 됩니다.
나. 형식심사의 경우에는 제출된 논문이 논문으로서 합당한 규격과 형식을 갖추고 있는 지를 평가하게 됩니다.
1 논문의 형식은 “경제논집 투고요령”에 준하고. 분량은 A415~20매(표지, 서약서, 목차, 참고문헌 제외) 정도로 합니다. (단, 영문 논문의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Seoul Journal of Economics의 투고요령”에 따름) - 「졸업논문 작성요령」 참고하여 작성
또한, 수학적 논문 등 논문 주제의 특성상 논문분량이 15~20매에 미달해도 무방한 경우 에는 지도교수 또는 심사예정교수의 사전서면동의를 첨부하여 심사하게 됩니다.
2 논문 서두에 논문 개요를 간단히 작성해야 합니다. 내용심사의 경우에는 기존과 같이 논문 내용, 수준이나 주제선택에 대한 합당.불합당 여부를 평가하게 됩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경제학 공식 홈페이지 Undergraduate > Academic Information > 졸업논문https://econ.snu.ac.kr/undergraduate/academic-information (검색일: 2024년 6월 28일)
4. 전탐 추천 교과목
•
경제원론 1
•
경제원론 2
•
미시경제이론
•
거시경제이론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7월 10일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행정실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되었습니다.
•
경제학을 다뤄본 적이 있다면 두 과목을 건너뛰고 미시경제이론, 거시경제이론부터 들어도 좋지만, 경제학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싶다 하면 경제원론 수업들을 추천합니다. 경제학의 내용과 흐름을 보다 쉬운 수준으로 설명해줍니다. 그리고 원론 수업을 암기식으로 공부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내용을 완전히 이해하고 넘어가야 후에 이수할 과목들을 이해하는 데에 지장이 없을 겁니다. (22학번, 2023-1 진입자, 2024.07 작성)
5. 전공 리뷰
•
여러 분야를 경제학적으로 분석해서 흥미로운 주제들이 많고, 학문 외적으로도 서울대는 계절이든 정규학기든 수업이 풍부하게 열려서 수강신청의 부담이나 열리는 학기 이런 걸 고민할 필요가 없습니다! 교수님들 풀도 상당히 좋은 것 같아요 ㅎㅎ (23학번, 2024-1 진입자, 2024.07 작성)
•
경제학은 '균형'과 '최적화'에 대해 주로 연구한다고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주어진 조건에서 사람들이 어떠한 결정을 하고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조건을 설정해야 하는지를 깊이있게 다룹니다. 그리고는 이를 경제정책, 금융시장 등 다양한 상황에 적용합니다. 그래서 수학이 정말정말 많이 쓰이기도 합니다. 논리력이 정말 중요한 과목인 것 같습니다. 팀플, 발표는 거의 없고 과제가 있더라도 문제풀이 혹은 레포트 형식이 많습니다. (22학번, 2023-1 진입자, 2024.07 작성)
•
다양한 경제 주체들의 선택에 대해서 관찰하고 분석하는 학문입니다. 수학에 거부감이 없으시고, 무언가를 분석하는 것을 좋아하신다면 분명히 잘 맞으실 겁니다! 경제학부 교과목들에서 평가는 주로 시험으로 이루어지고, 과제가 있다면 보통 연습문제를 풀이하는 것입니다. 리딩, 발표, 팀플 등이 거의 없기 때문에 귀찮은 것을 싫어하는 분들께 잘 맞을 것 같습니다. (제가 그렇습니다...) 일반적인 경우만 다루는 학부 수준에서 배운 것만으로는 쓸데가 없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들지만 그건 대부분의 문과 학문이 가진 특성인 것 같아 어쩔 수 없는 것 같습니다. 경제학부는 이수 요건을 채우기가 까다롭지 않고 다른 전공과의 시너지도 좋은 편이라고 생각해서 고민하고 계신다면 적극 추천합니다! (23학번, 2024-1 진입자, 2024.07 작성)
•
같은 수업이여도 교수님들마다 강의 방식이 상이하셔서 본인에게 맞는 교수님을 찾는 것을 추천합니다! 또, 경제학 수학을 싫어한다면 전공 수업들을 들으면서 조금 고생할 수 있습니다! 전공 필수 과목이 많지 않아 원하는 전공선택 과목을 골라서 들을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인 것 같습니다! 전공선택 과목 중에서 S&U 과목도 있으니 잘 찾아보고 들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익명의 진입자)
•
경제학부는 자기가 생각하는 진로에 따라 따라갈 수 있는 커리가 다양합니다. 그렇기에 1~2학년 때 어느 한 방향에 치우친 과목을 듣기보다는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과목 (경제원론1,2 등)을 먼저 듣고 다른 전선 과목들을 듣는 것을 추천해요. ‘경제수학(212.214)’은 수기응 끝나고 빨리 듣는 걸 개인적으로 추천합니다. 경제수학에서 배우는 툴이 다른 과목에서 유용하거든요. (익명의 진입자)
•
전공과목이 학기구분없이, 심지어 계절학기에도 잘 열려서 다른 전공에 비해 전공수업을 듣기가 수월해요. 그래서 오히려 경제전공을 나중에 진입해도 괜찮을 것 같아요. 다른 전공은 한 학기만 열리는 수업들도 많으니까 그런 것 위주로 시간표를 짜고 남는 시간에 틈틈히 경제전공을 듣는 걸 추천해요. (18학번 진입자)
•
팀플은 거의 없는 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른 전공에 비해 프로젝트나 리포트 과제를 주는 수업이 적습니다. 학기 중에 열심히 공부하고 시험을 잘 보면 성적이 잘나오는 전공 수업들이 많아요. 하지만 무조건 독강에 최고라고 보기도 힘든데, 스터디를 만들어서 공부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물론 팀플 수업보다야 독강하기 좋지만, 가끔 스터디를 만들라고 요구하시는 교수님도 계시니 참고하세요. (18학번 진입자)
•
고등학교 당시 이과를 전공했던 사람의 경우 소위 문과 전공 중에는 부담없는 축에 속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수학적인 측면이 강해 수학을 꾸준히 해온 사람에게 유리한 면이 있습니다. 그러나 공대, 자연대 등 이과 전공에 비해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을 기반으로 논리를 구성하는 과제 등이 상당 수 있어 아예 부담이 없지는 않습니다. (18학번 진입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