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치: 16-1동
•
행정실 전화번호: 02-880-9049
1. 전공 수업 규정
(1) 전공교과목목록
전필 13학점 + 전선 27학점 → 총 40학점
1학기 | 2학기 | |
3학년 | 언론정보문화특강(211.230)
정보문화기술입문(2114.304) | 언론정보문화특강(211.230)
정보문화기술입문(2114.304) |
디지털 미디어의 이해(211.320B)
디지털영상실습 1(2114.303B)
문화컨텐츠의 이해(2114.305)
미디어 산업과 정책(2114.419A)
정보구조(M1313.000100)
웹프로그래밍 개론(M1313.000200)
데이터 저널리즘(M1312.000800)
미래뉴스실습 I(M1312.001500) | 영상 문화 입문(M1312.001000)
디지털영상실습 2(2114.413A)
정보문화세미나(2114.420)
디지털 에쓰노그래피(M1313.000100)
정보기술 실습(M1313.000100)
커뮤니케이션 질적방법론(M1312.000600)
미래뉴스실습 II(M1312.001600)
HCI와 디지털 패브리케이션(M1317.000500) | |
4학년 | 인터페이스 프로그래밍(2114.301A)
게임의 이해(2114.309)
HCI이론 및 실습(2114.408A)
창의연구실습(2114.409)
디지털음향의 이해(2114.415)
인터랙티브미디어(2114.417)
디지털애니메이션의 이해(2114.418)
사용자중심디자인(2114.419) | 인터랙티브스토리텔링(2114.403A)
가상현실입문(2114.407)
산학연구실습(2114.410)
비주얼라이제이션(2114.411)
인터넷과 지식기술(2114.412)
시리어스 게임(2114.414)
사운드인터랙션(2114.416)
기술비평(M1312.001800)
고급 인터페이스 프로그래밍(M1317.000400)
디자인 사고와 커뮤니케이션(M1317.000600) |
2020년 이후 진입생 기준 전공 필수 교과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보문화기술입문 (1/2학기)
HCI이론및실습 (1/2학기)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 디지털 미디어의 이해 중 택1]
영상문화입문 (1학기)
언론정보문화특강 (1/2학기)
(2) 타학과 개설 인정 교과목
국문 | 한국어 정보의 전산처리(101.317)
한국현대소설론(101.311A) | 심리 | 심리학: 인간의이해(200.109)
인지과정 및 실험(207.304)
언어심리학 및 실험(207.313) |
중문 | 현대중국의문학과사회(102.317A)
중국공연예술(102.415A) | 지리 | 공간정보분석 2: 머신러닝(M0000.028600)
공간정보분석 3: 시공간 데이터사이언스(M1310.001100)
지리정보시스템(218.317) |
영문 | 현대영국소설(100.334)
현대미국소설(M1236.001100) | 언론 | 커뮤니케이션의 이해(200.113A)
HCI와 커뮤니케이션(211.325)
AI와 미디어(M1312.002800)
컴퓨터매개커뮤니케이션(211.420)
미디어 산업과 정책(211.419A)
미디어테크놀러지 역사(211.319)
기술비평(M1312.001800) |
불문 | 현대프랑스문화분석(104.406) | 외교 | 정보세계정치론(216B.328A)
국제문화론(216B.415) |
서문 | 중남미소설(107.327A)
라틴아메리카 영화와 현대 사회(107.437A) | 경영 | 경영정보론(251.326)
소비자행동(251.327)
마케팅사례연구(251.218) |
언어학 | 컴퓨터 언어학(108.413A)
언어와 정보처리(108.417) | 전기 | 논리설계및실험(430.201A)
프로그래밍방법론(430.211) |
국사 | 한국현대사특강(109.317)
한국사와 멀티미디어(109.325)
대중문화 속의 역사 읽기(M3533.001300) | 컴공 | 컴퓨터프로그래밍(M1522.000600) |
철학 | 언어철학(113.365)
과학철학(113.463) | 서양화 | 미술과 문화이론(M1766.000200) |
고고미술사 | 현대미술과시 각문화(116.435) | 디자인 | 디자인사(600.220A)
사진1(602.236)
애니메이션(6125.2202)
디자인과 문화(611.2006A) |
미학 | 예술사회학(115.309)
영상미학(115.402) | 교육학 | 이러닝과 원격교육론(701.433)
교육공학(701.308) |
경제 | 산업조직론(212.317) | 작곡 | 음향학개론1(650.4421)
서양음악사1(650.2241)
서양음악사2(650.2242) |
사회 | 과학기술사회학(205.244A) | 농업생명과학 | 컴퓨터프로그래밍개론(500.405) |
인류 | 전지구화와 문화변동(M1307.000700)
문화와 의사소통(206.338) | 통계학 | 전산통계 및 실험(326.212)
데이터 마이닝 방법 및 실습(326.413)
통계계산(M1399.000100) |
[출처] 서울대학교 연합전공 정보문화학 홈페이지 > 교과 과정 > 전공선택 인정교과목 https://isc.snu.ac.kr/전공선택-인정교과목1/ (검색일: 2024년 6월 26일)
(3) 선이수/후이수
따로 없지만 타학과에서 개설되는 교과목은 해당 학과의 선이수를 지키면 좋을 것 같습니다.
(4) 로드맵
[출처]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공식 홈페이지 > 교육·학생지원 > 예비대학 > 예비대학 수강가이드 > 연합전공 정보문화학 https://ctl.snu.ac.kr/didimdol/social_inform.html (검색일: 2024년 7월 18일)
2. 졸업 교양 규정
자전 교양 규정만 이수하면 됩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홈페이지>교육>대학>교과과정> Explanation_kor_2022 https://www.snu.ac.kr/academics/undergraduate/curriculum (검색일: 2024년 06월 25일)
3. 추가 특별 규정
•
전공선택과목 중 ‘산학연구실습’과 ‘창의연구실습’은 졸업논문 대체과목으로, 둘 중 한 과목을 반드시 수강하여야 합니다.
•
졸업사정의 기준은 진입학번이 아니라 실제 학번 기준이고 극히 예외적으로 진입학번을 기준으로 졸업사정이 가능하나 이 경우엔 타과 전선인정교과목의 경우도 진입학번을 기준으로 한다고 합니다.
[참고] 2024년 업데이트 이전 수록 정보
4. 전탐 추천 과목
‘HCI 이론 및 실습(2114.408A)’
•
별다른 스킬셋이 없어도 들을 수 있는, HCI 연구분야와 서비스 디자인의 가장 기초적인 수업. 인간중심 디자인에 관심 있다면 추천합니다.
‘게임의 이해(2114.309)’
•
(프로그래밍/아트 가능자에 한해 추천) 프로그래밍이나 아트 경험자라면 직접 게임을 만들어보는 즐거운 경험을 하면서 정문 팀플의 체험과 내손으로 뭔가 ‘만들어본다’는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영상실습(2114.303B)’
•
쉽고 로드가 적다는 것이 장점이고, 영상의 기초 이론과 기초적인 영상제작을 배우고 부담 없이 들어볼 수 있습니다.
‘웹프로그래밍개론(M1313.000200)’
•
프로그래밍을 잘 할 줄 모르거나 많이 해 본 적 없어도 직접 내 손으로 웹사이트를 만드는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난이도는 중간 정도입니다. (16학번 김해수 진입자)
신청할 수 있다면 ‘정보문화기술입문(2114.304)’, 아니라면 제작실습이 포함된 각자 원하는 분야의 1학기 개설 수업을 추천합니다. (17학번 김민균 진입자)
[참고] 2024년 업데이트 이전 수록 정보
5. 전공 리뷰
•
내 손으로 뭔가를 만들어 내는 경험, 협력과 함께 돈독해지는 경험을 해보고 싶은 사람을 위한 전공 (16학번 김해수 진입자)
•
하고 싶은 것이 명확한 사람일수록 잘 맞는 전공 (17학번 김민균 진입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