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회
home
학생회 소개
home

사회복지학과

행정실 위치
16동 216호
분류
사회과학대학
행정실 전화번호
02-880-6456
위치: 16동 216호
행정실 전화번호: 02-880-6456

1. 전공 수업 규정

(1) 전공교과목목록

24학년도 이후 입학생
전필 3학점 + 전선 36학점 → 총 39학점
1학기
2학기
교양
045.019 복지국가의 이해
045.018 행복한 삶과 사회복지
1학년
209.112 사회복지개론 209.219*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209.219*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209.222 사회문제론 M1311.002300 사회복지역사
2학년
209.213 사회복지조사 209.312 지역사회복지론
209.304 사회복지정책  209.320 사회복지실천론  209.212 사회복지행정 M1311.000700 복지국가론(격년: 짝수해)
3학년
209.217 빈곤론 209.314 장애인복지론 209.321 사회복지실천기술론 209.327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M1311.002600 청소년복지론
209.319 사회복지현장실습 209.224 사회복지윤리와 철학 209.231 사회보장론(격년: 홀수해) 209.311 노인복지론 209.325 아동복지론(격년: 짝수해) M1311.002200 사회복지법제와 실천
4학년
209.319 사회복지현장실습 209.420 산업복지론 209.331 사회복지자료분석론 209.405A 사회복지특강 209.416 여성복지론 M1311.002500 디지털사회복지론
209.326 가족복지론 M1311.002400 정신건강사회복지론 M0000.000700 의료사회복지(격년: 홀수해)
교과과정해설: 아동복지론, 노인복지론, 장애인복지론, 청소년복지, 여성복지론, 가족복지론, 정신보건사회복지론, 의료사회복지론 등 실천 분야 교과목은 현장실습기관에 따라 사전 이수가 요구되므로 관심 있는 학생들은 학년 구분에 상관없이 이수를 권장합니다. 
*표는 전공필수과목
~23학년도 입학생
전필 18학점 + 전선 21학점 → 총 39학점
1학기
2학기
교양
045.019 복지국가의 이해
045.018 행복한 삶과 사회복지
1학년
209.112* 사회복지개론 209.219*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209.112* 사회복지개론 209.222 사회문제론 M1311.002300 사회복지역사
2학년
209.213* 사회복지조사 209.312 지역사회복지론
209.304* 사회복지정책 209.320* 사회복지실천론 209.212 사회복지행정 M1311.000700 복지국가론(격년: 짝수해)
3학년
209.217 빈곤론 209.314 장애인복지론 209.321 사회복지실천기술론 209.327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M1311.002600 청소년복지론
209.319* 사회복지현장실습 209.224 사회복지윤리와 철학 209.231 사회보장론(격년: 홀수해) 209.311 노인복지론 209.325 아동복지론(격년: 짝수해) M1311.002200 사회복지법제와 실천
4학년
209.319* 사회복지현장실습 209.420 산업복지론 209.331 사회복지자료분석론 209.405A 사회복지특강 209.416 여성복지론 M1311.002500 디지털사회복지론
209.326 가족복지론 M1311.002400 정신건강사회복지론 M0000.000700 의료사회복지(격년:홀수해)
*표시는 전공필수 교과목
[출처]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 공식 홈페이지 > 학부 > 교과 > 표준교과 https://socialwelfare.snu.ac.kr/학부/교과/표준교과/ (검색일: 2024년 6월 28일)

(2) 타학과 개설 인정 교과목

24학년도 이후 입학생
(1) 2학년 과목
경제원론1(200.105), 경제원론2(200.106),  심리통계학(207.202), 이상심리학(207.209), 경제통계학(212.204), 노동경제학(212.206), 경제철학개론(212.210A)
(2) 3학년 과목
한국사회사(205.237A), 사회발전론(205.238A), 가족 • 생애 • 현대사회(205.322C), 고전사회학이론(205.341A), 상담심리학(207.315), 재정학(212.305), 노사관계론(212.326), 행정법 I(273.306), 사회연구를 위한 데이터 과학(M1304.002600; 舊 사회통계, 205.202)
(3) 4학년 과목
한국정치사회사(M3544.001100; 舊 109.413), 국가론(216A.413), 정치사회학(205.245A), 노사관계론(251.423), 사회보장법(273.416), 행정법 II(273.307)
~23학년도 입학생
(1) 2학년 과목
경제원론1(200.105), 경제원론2(200.106),  심리통계학(207.202), 이상심리학(207.209), 경제통계학(212.204), 노동경제학(212.206), 경제철학개론(212.210A) 
(2) 3학년 과목
한국사회사(205.237A), 사회발전론(205.238A), 가족 • 생애 • 현대사회(205.322C), 고전사회학이론(205.341A), 상담심리학(207.315), 재정학(212.305), 노사관계론(212.326), 행정법 I(273.306), 사회연구를 위한 데이터 과학(M1304.002600; 舊 사회통계, 205.202) 
(3) 4학년 과목
한국정치사회사(M3544.001100; 舊 109.413), 국가론(216A.413), 정치사회학(205.245A), 노사관계론(251.423), 사회보장법(273.416), 행정법 II(273.307)
[출처]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 공식 홈페이지 > 학부 > 교과 > 표준교과 https://socialwelfare.snu.ac.kr/학부/교과/표준교과/ (검색일: 2024년 6월 28일)

(3) 선이수/후이수

‘인간행동과 사회환경(209.219)’은 ‘사회복지실천론(209.320)’의 선수 과목입니다.
‘사회복지실천론(209.320)’은 ‘사회복지현장실습(209.319)’의 선수 과목입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 공식 홈페이지 > 학부 > 교과 > 표준교과 https://socialwelfare.snu.ac.kr/학부/교과/표준교과/ (검색일: 2024년 6월 28일)

(4) 로드맵

[출처]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공식 홈페이지 > 교육·학생지원 > 예비대학 > 예비대학 수강가이드 > 사회복지학과 https://ctl.snu.ac.kr/didimdol/social_welfare.html (검색일: 2024년 7월 18일)

2. 졸업 교양 규정

자전 교양 규정만 이수하면 됩니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5월 7일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행정실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되었습니다.

3. 추가 특별 규정

복수전공 이수자는 해당 학부·학과에서 정한 전공교과목 학점을 이수하여야 하며, 각 전공에 중복되는 교과목은 다음 각 호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중으로 인정하지 아니합니다. 단, 아래 각호의 경우에도 학생이 이수한 총 학점수의 산정에는 이중으로 계산하지 않습니다. ◦ 가. 소속전공과 복수전공의 전공교과목이 중복되는 경우에는 9학점 이내에서 각 전공학점의 이수를 충족한 것으로 본다. ◦ 나. 소속전공과 복수전공 이외의 학과 교과목을 각 학과에서 전공교과목으로 인정하는 경우에는 3학점 이내에서 각 전공학점의 이수를 충족한 것으로 본다. ◦ 다. 소속전공과 복수전공의 공통적인 필수교과목에 대해서는 한번 이수한 것으로 양쪽의 필수이수를 충족한 것으로 본다.
[출처]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 공식 홈페이지 > 학부 > 교과 > 복수전공 부전공 이수 https://socialwelfare.snu.ac.kr/학부/교과/표준교과/ (검색일: 2024년 6월 28일)

4. 전탐 추천 교과목

‘사회복지개론(209.112)’, ‘복지국가의 이해(045.019)’
: 12학번 노금도, 13학번 강현욱, 익명의 진입자 추천
‘사회복지개론(209.112)’이 전필로 지정되어있기 때문에, 추후 전공진입 시 학점을 세이브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요. 다만 쟁쟁한 전공자들이 들어와서 수업이 조금 빡셀 수 있는데요, 이 부분이 염려되시는 분들은 ‘사회복지개론(209.112)’ 대신 ‘복지국가의 이해(045.019)’를 들어도 충분하실 것 같습니다. 전필은 아니지만(전선) 이 수업도 ‘사회복지개론(209.112)’과 마찬가지로 사회복지학의 다방면을 접해볼 수 있어요. (13학번 강현욱 진입자)
‘사회복지개론(209.112)’ 수업은 교수님 따라 복불복이 커서 추천하기 조금 어렵다고 할 수 있습니다. [045.019 복지국가의 이해]라는 수업이 전공탐색용으로 열린 수업이라 1학년 친구들이 많이 들어요. 학과 분위기를 알고 싶다면 추천입니다. (12학번 노금도 진입자)
‘행복한 삶과 사회복지(045.018)’ (익명의 진입자)

5. 전공 리뷰

전공 특성상 실천적인 학문이라 경제, 심리, 철학, 정치 등 융합적인 학문이라 보셔야 해요. 깊게 파고드는 느낌보다는 학부생 수준에서는 얕고 넓게 배웁니다. 전공탐색은 복지국가의 사회과학적 이해->개론->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실천론->관심 있는 분야 과목 (국가론, 법제, 정책, 장애인복지, 노인복지 등) 순으로 대개 들어요. 사회복지시스템이 어떻게 돌아가고 어떻게 클라이언트를 돕는지, 사회공헌, 빈곤 등에 관심이 있다면 진입할 만한 흥미로운 전공인 것 같아요. 진로는 다양한데 전공 커리는 크게 실천분야(미시적, 사회복지사 및 기관 관리자) 혹은 정책분야(거시적, 연구원,교수,사무관)쪽으로 나뉘어 있어요. 대개 서울대 분위기는 실천쪽보단 기자, 로스쿨, 행시, 학계 등으로 많이 간다고 들었네요. 전공과목은 팀플+발표 수업이 타전공에 비해 많은 편인 것 같아요. 수업 픽이 크게 빡센 편은 아니에요. 과사차원에서 타 복부전생 챙기는 행사가 많아요. 특히 2학기 때 전체 총엠이 있는데 거기 참여하고 학과 친구들도쉽게 사귀실 수 있어요. 졸업할때 발목을 은근 잡는게 실습입니다. 타학교보다 실습시간이 좀 더 길기도 하고,방학 때 기관에서 실습하고 보고서도 제출해야 합니다. (익명의 진입자)
사회학이나 인접 학문의 개론 정도를 실천적인 버전으로 접할 수 있습니다. 다양하게 배우지만 역으로관심사나 방향성이 없으면 잡다해질 수 있습니다. (12학번 노금도 진입자)
사회복지학은 1) 실용적이고, 2)공적이며(public), 3)포괄적인 학문입니다. 인간을 생물학적-심리학적-사회학적인 존재로 보는 데에 학문의 출발점을 두고 있고, 그렇기 때문에 상상할 수 있는 모든 다양한 학문분야의 지식을 인간의 욕구(needs) 충족이라는 공적 목표 구현에 접목한다는 점에서 큰 매력을 느끼고 있어요. 전공 특성 상 학과 및 수업 분위기는 매우 화기애애하고(대부분의 수업 첫 시간에 자기소개를 합니다..),자유전공학부 출신도 잘 어울릴 수 있어요. 팀플이 많아서 이번 학기도 허덕이고 있지만, 그래도 재밌게 공부하고 있는 전공입니다. 졸업 후 진로는 1)공무원/공기업, 2)연구직/대학원, 3)대기업CSR부서, 4)사회복지현장 등으로 나뉘는데요, 4번에서도 병원, 복지관, 학교, 군대, 시민단체를 비롯해 정말 다양한 가능성이 있어요. 한국 사회에서 복지 부문이 계속해서확장되어오고 있는 만큼, 무궁무진한 가능성이 있는 전공입니다. 주의사항: 사회복지학은 층위가 매우 다양한 전공입니다. 미시(복지서비스실천), 중시(복지전달체계), 거시(복지정책)로 나누기도 하는데요, 이 셋을 다 공부할 수 있다는 점이 학부 사회복지학의 매력이면서 부담이기도 해요. 간혹 복지정책만을 생각하고 전공진입을 하게 되면, 전공필수인 '사회복지실습'이나 다른 미시 강의들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어요. (13학번 강현욱 진입자)
사회복지학에서는 개인적, 국가적 차원에서 한 개인 혹은 집단의 행복과 역량강화(empowerment)를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공부합니다. 전문적인 상담에서부터 국가 복지정책에 이르기까지 굉장히 다양한 관점에 대해 배울 수 있답니다! (16학번 홍영서 진입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