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회
home
학생회 소개
home

고고미술사학과

행정실 위치
5동 331호
분류
인문대학
행정실 전화번호
02-880-6210
위치: 인문대학 5동 331호
행정실 전화번호: 02-880-6210

1. 전공 수업 규정

(1) 전공교과목목록

진입하는 전공에 따라 교과과정이 상이합니다.

고고학 전공

전필 9학점 + 전선 30학점 → 총 39학점
학년
1학기
2학기
비고
1
043.042 고고학개론
100.158* 고고학연구의 기초
전공탐색 교과목
2
M1264.000300 한국고고학1 116.204* 고고학사
M1264.000400 한국고고학2 116.430A* 고고학방법론
3
M1264.000500 한국고고학3 M1264.000700 고고학과 자료분석 ○ 116.313 인류문화와 환경 ○ 116.422A 동아시아의 선사시대 ● M1264.000200 고고학과 사회복합화 ●
M1264.000100 생계경제고고학 ○ 116.303 고고학실습 ○ M1269.004600 지역고고학특강 ○ M1264.000600 한국고고학4 ● 116.222 문화유산관리와 박물관 ●
4
116.206A 인골고고학 ○ 116.316 현대고고학특강 ●
116.414B 고고학연습
교과목 번호 뒤에 * 표시가 된 과목은 전공필수이며, 이 외에는 모두 전공선택 과목입니다. ○ 표시는 홀수년 개설교과목, ● 표시는 짝수년 개설교과목입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공식 홈페이지 > 학부 > 교과과정 > 졸업이수과정 https://archaeology-arthistory.or.kr:6043/?c=user&mcd=sab0002a/ (검색일: 2024년 6월 27일)
고고학 연습(116.414B) 과목은 전공필수과목은 아니지만, 이수 여부가 졸업요건에 포함됩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공식 홈페이지 > 학부 > 입학/졸업 > 졸업이수규정 https://archaeology-arthistory.or.kr:6043/?c=user&mcd=sab0001#adm7/ (검색일: 2024년 6월 27일)

미술사학 전공

전필 6학점 + 전선 33학점 → 총 39학점
학년
1학기
2학기
비고
1
100,159* 한국의 미술문화
100.160 미술사와 시각문화
전공탐색 교과목
2
116.215A 중국의 미술 116.218 서양고대 및 중세미술
116.216B 일본미술사 ○ 116.219 르네상스와 바로크미술
3
116.317 박물관학입문 ○ 116.322 동양의 도자 ●
116.217B 인도의 미술 ● 116.323 한국의 도자 ● 116.324 미술사실습 ○
4
116.406A 중국의 회화 ● 116.420A* 미술사연습 116.425A 불교미술 : 개념과 지역적 전개 ○ 116.433 한국의 근현대미술 ○ 116.434 19세기의 서양미술 ●
116.405A 한국의 회화 ● 116.424A 한국의 불교미술 116.427A 미술사연구이론 116.435 현대미술과 시각문화 ●
교과목 번호 뒤에 * 표시가 된 과목은 전공필수이며, 이 외에는 모두 전공선택 과목입니다. ○ 표시는 홀수년 개설교과목, ● 표시는 짝수년 개설교과목입니다.
미술사연습(116.420A)는 전공필수 교과목이지만 미술사학 부전공자는 제외됩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공식 홈페이지 > 학부 > 교과과정 > 졸업이수과정 https://archaeology-arthistory.or.kr:6043/?c=user&mcd=sab0002a/ (검색일: 2024년 6월 27일)

(2) 타학과 개설 인정 과목

고고학 전공

개설학과
교과목번호
교과목명
국사학과
100.136 109.219 109.22 109.301 109.307 109.308 109.316 109.328
한국사와 생활문화 한국고대사 한국근세사 한국중세사 한국고대사상사 한국대외관계사 한국사회경제사 한국과학기술사
동양사학과
111.229 111.402
중국문명과 제국의 형성 동양사회경제사
서양사학과
112.321
서양의 고대문명
종교학과
114.306 114.323 114.324 114.412 114.413 114.311
종교인류학 한국불교 종교의례 고대종교 원시종교 신화학
아시아언어문명학부
1003.231
고대서아시아문명
인류학과
206.204A 206.222 206.224 206.211 206.232A 206.32 206.329B 206.330A 206.331 206.332A 206.336 206.416A 206.42 206.424A 206.425A
혼인과 가족 성과 문화 인류학사 민속학 인체골격인류학실습 문화와 권력 생물인류학 및 실습 생태인류학 문화와 경제 인류학박물관 실습 한국 민속 문화의 이해 문화와 역사 사회집단과 불평등 마음의 진화와 문화 종교문화의 이해
지리학과
208.205 208.222A 208.223 208.226A 208.231A 208.232 208.302 208.317 208.32 208.322 208.326 208.421A
경제지리학 공간정보분석 지형학과 실험 아시아지리 컴퓨터 지도학 기후학과 실험 한국지리 지리정보시스템 생물지리학과 실험 문화지리학 토양환경론과 실험 지리공간의 역사와 사상
지리교육과
713.211 713.214 713.226A 713.315 713.422 713.431 713.437
지형학원론 기후환경론 인구지리학개론 문화역사지리학 자연지리실습 원격탐사와 지리자료분석 토양 및 생태지리학
지구환경과학부
3345.307 3345.308 3345.31 3345.309 3345.311 3345.317 3345.406 3345.424
광물과 암석 및 실험 화석 및 실험 지구물리 구조지질학 및 실험 환경지구학 퇴적학 및 실험 암석학 및 실험 야외지질실습
건축학과
4012.204 4012.403
건축사 1 한국건축
건축학과
4012.204
건축학과
4012.403
한국건축

미술사학 전공

개설학과
교과목번호
교과목명
국사학과
100.136 109.219 109.22 109.301 109.307 109.308 109.316 109.318 109.325 109.406 109.412 109.416
한국사와 생활문화 한국고대사 한국근세사 한국중세사 한국고대사상사 한국대외관계사 한국사회경제사 한국근세사상사 한국사와 멀티미디어 한국중세사상사 한국사학사 한국현대사
동양사학과
111.223B M1249.000200 111.227A M1249.000100 111.229 111.23 111.231 111.232 111.326 111.33 111.331 111.333 111.402 111.413 111.414
중동사회의 전통과 근대 일본의 국가와 문화 일본의 무사사회 중앙아시아사 논저강독 중국문명과 제국의 형성 민족이동과 수당세계제국 전통중국의 사상과 종교 근세무슬림제국과 그 유산 일본근대국가의 성립과 전개 사대부사회의 성립과 신유학 신사와 중국사회 전통중국의 역사인식과 역사서술 동양사회경제사 근대중국의 개혁과 혁명 근현대중국의 사회와 문화
서양사학과
112.206 112.207 112.21 112.211 112.301 112.31 112.311 112.320A 112.321 112.322A 112.323 112.324 112.405 112.433
미국사 영국사 서양근대사 1: 르네상스에서 프랑스혁명까지 서양근대사 2: 긴 19세기의 역사 서양사학사 독일사 프랑스사 역사 속의 여성과 여성문화 서양의 고대문명 서양중세사 20세기전반의 역사 20세기후반의 역사 러시아사 해양팽창과 근대의 형성
종교학과
114.204 114.213 114.214 114.216 114.308 114.318 114.319 114.322 114.323 114.324 114.325 114.402
인도종교  유교개론  이슬람교개론  도교개론  한국민속종교  한국기독교  한국유교  한국종교 한국불교  종교의례  일본종교  신비주의 
미학과
115.215A 115.303 115.309 115.313 115.314 115.317A 115.318A 115.333 115.343 115.402 115.412 115.420A
조형예술미학 예술심리학 예술사회학 미술사론 동양미학사 미와 취미론 예술과 천재론 현대미학특강 현대영미미학 영상미학 미술비평론 한국예술사상
인류학사
206.222 206.224 206.226 204.228A 206.229A 206.307 206.309C 206.32 206.335A 206.338 206.34 206.425A 206.43
성과 문화 인류학사 도시생활과 문화 영상인류학실습 동남아문화의 이해 문화와 언어 러시아 문화의 이해 문화와 권력 중국의 사회와 문화 문화와 의사소통 스포츠, 여가, 문화 종교문화의 이해 라틴아메리카의 민족과 문화
지리학과
208.207 208.21 208.226A 206.231 700.331 208.318A 206.421A
도시지리학 유럽지리 아시아지리 컴퓨터 지도학 한국지리 아메리카지리 지리공간의 역사와 사상
지리교육과
713.303 713.315 713.414A 713.42 713.421 713.426 713.427
도시지리학 문화역사지리학 지리사상사 유럽지역연구 아시아지역연구 아프리카오세아니아지역연구 아메리카지역연구
건축학과
4012.204 4012.303 4012.403 4012.421A 4012.422A 4012.503A 4012.53 4012.531
건축사 1 건축사 2 한국건축 도시문화와 보전 건축과 도시설계 건축이론세미나 아시아건축과 도시 행위와 공간
다음은 고고학 전공과 미술사학 전공의 공통적용사항입니다.
주전공 및 복수전공자는 12학점까지, 부전공자는 6학점까지 선택 가능합니다. 단, 주전공 심화과정생의 경우에는 15학점까지 인정됩니다.
복수전공 이수 시 고고미술사학과와 복수전공 학과의 교과과정에서 전공과목으로 공통으로 인정하는 교과목은 9학점까지, 공통으로 인정하는 타 학과의 교과목은 3학점까지 전공학점의 이수로 중복하여 인정 가능합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공식 홈페이지 > 학부 > 교과과정 > 졸업이수과정 https://archaeology-arthistory.or.kr:6043/?c=user&mcd=sab0002a/ (검색일: 2024년 6월 27일)

(3) 선이수/후이수

선이수/후이수가 필수인 교과목은 특별히 없습니다.
[참고] 2024년 업데이트 이전 수록 정보

2. 졸업 교양 규정

영어를 제외한 제2외국어를 3학점 이상 성적 C- 이상으로 이수해야 합니다.
소그룹고전원전읽기 교과목을 이수해야 합니다.
[참고] 2024년 업데이트 이전 수록 정보

3. 추가 특별 규정

평점평균이 2.0 이상이어야 합니다.
두 전공 모두 고고학/미술사 연습 과목 이수 및 졸업논문 제출이 필수입니다.
외국어 진행강의를 3과목 이상 이수해야 합니다. 단, 학과에서 개설이 된다면 듣되, 전공교과목을 반드시 포함하지는 않아도 됩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공식 홈페이지 > 학부 > 입학/졸업 > 졸업이수규정 https://archaeology-arthistory.or.kr:6043/?c=user&mcd=sab0001#adm7/ (검색일: 2024년 6월 27일)

4. 전탐 추천 교과목

학과 차원에서는 고고학 개론(043.042)과 고고학 연구의 기초(100.158) 과목을 전탐 과목으로 추천하고 있습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공식 홈페이지 > 학부 > 교과과정 > 졸업이수과정 https://archaeology-arthistory.or.kr:6043/?c=user&mcd=sab0002a/ (검색일: 2024년 6월 27일)

5. 전공 리뷰

역사책에 적힌 역사만으로 만족할 수 없고 평소 박물관에 더욱 매력을 느낀다면 흥미로운 학과입니다. 다만 고고학은 생각보다 ‘과학적’인 사고방식을 많이 요구하고, 미술사학과는 생각보다 ‘암기’가 많아요! 두 전공의 성격이 많이 다르니 전공선택을 할 때는 개론 등을 먼저 듣고 결정하세요. 생계경제고고학(M1264.000100)은 나중에 들으세요 어렵습니다. 고고학사(116.204)와 고고학 연구의 기초(100.158)는 제일 먼저 듣는 것이 좋습니다. 고고학 방법론(116.430A)은 먼저 들어놓으면 좋지만 그리 쉽지 않으니 앞에서 말한 두 과목을 먼저 들은 후에 듣는 것을 추천합니다. 한국(선사/역사)고고학 1,2,3(M1264.000800, M1264.000900, M1264.000500)이 있긴 하지만 그냥 시대 순으로 나눈 것이고 각각 그 전의 강의가 이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그 외의 수업들은 크게 순서가 상관없을 듯합니다. (15학번 현우경 진입자)
미술사학 전공은 미술작품을 통해 그것이 제작되었던 시대의 정치, 사회, 문화적 배경을 탐구하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삼고 있습니다. 미술작품과 사료를 바탕으로 논리적인 해석을 도출하고 이를 조리 있게 서술하는 글쓰기 능력이 특히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15학번 박윤수 진입자)
미술사는 회화, 조각, 사진 등 다양한 시각 이미지를 통해 과거를 재구성하는 ‘역사’의 한 장르입니다. 오늘날 우리를 둘러싼 이미지들의 기원을 찾아 올라가는 과정을 연습할 수 있어요. (15학번 최수빈 진입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