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치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3동 429호
•
행정실 전화번호 : 02-880-6156
1. 전공 수업 규정
(1) 전공교과목목록
전필 12학점 + 전선 27학점 → 총 39학점
1학기 | 2학기 | |
1학년 | ‘언어와 언어학(100.129)’
‘말소리의 세계(100.131)’* | ‘언어와 컴퓨터(100.130)’
‘세계의 언어(100.132)’ |
2학년 | ‘만주어(108.223)’
‘언어학사(108.225)’
‘형태론(108.226)’ | ‘음운론(108.208)’
‘역사비교언어학(108.312)’*
‘통사론(108.315)’* |
3학년 | ‘의미론(108.311)’
‘심리언어학(108.320)’
‘특수언어특강(108.321)’
’컴퓨터언어학(108.413A)’*
‘언어학을 위한 통계(M1246.001000)’
‘심화통사론(M1246.001500)’
‘심화음운론(M1246.001700)’ | ‘사회언어학(108.317)’
‘언어조사 및 분석(108.319)’
‘인도유럽언어학(M1246.000600)’
‘언어와 정보처리(108.417)’
‘실험언어학(M1246.000900)’
‘언어습득(M1246.001200)’
‘추론과 언어직관(M1246.001600)’ |
4학년 | ‘알타이언어학(M1246.000500)’
‘언어학연습(108.414A)‘
‘언어장애 및 치료(1108.419)’
‘수어언어학(M1246.001300)’ | ‘응용음성학(108.415)’
‘언어학연습(108.418)’
‘화용론(2108.420)’
‘언어데이터과학(M1246.001400)’ |
•
* 표시는 전공필수과목입니다.
•
전공필수과목은 ‘말소리의 세계(100.131)’, ‘컴퓨터언어학(108.413A)’, ‘역사비교언어학(108.312)’, ‘통사론(108.315)’입니다. 복수전공 및 부전공의 경우도 전공 필수 교과목은 모두 이수해야 합니다.
•
학번은 입학 연도 기준 규정을 따릅니다. 학과 진입 시기와 상관없이 자신의 학번에 해당하는 규정을 적용 받습니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6월 28일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행정실의 유선상의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2) 타학과 개설 인정 교과목
•
공식적인 타학과 개설 인정 교과목 리스트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언어학과 전공과목과 유사한 수업을 들은 후, 수강 내역을 제출하면 교수 회의를 거쳐 최대 6학점까지 언어학과 전공과목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6월 28일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행정실의 유선상의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
절차: 본인의 수강내역(이수학기, 개설학과, 담당교수, 성적)과 강의계획서를 학과 이메일로 발송 → 교과과정위원회에서 승인 여부 결정 → 승인 시 포털에서 교과 구분 정정 신청 → 신청서를 출력하여 학과 사무실에 제출
•
복수전공은 6학점, 부전공은 3학점까지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3) 선이수/후이수
강제된 선이수/후이수는 없습니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6월 28일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행정실의 유선상의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2. 졸업 교양 규정
•
자유전공학부 졸업 규정과 인문대 졸업 규정을 모두 따라야 한다고 합니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6월 28일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행정실의 유선상의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
인문대 졸업 규정에 따라 ‘소그룹고전원전읽기’를 수강해야 합니다.
•
인문대 졸업 규정에 따라 제2외국어 과목을 9학점 이상 이수하되, 최소 1괌고은 중급 이상을 이수해야 합니다. 단, 타 단과대학 소속학생의 인문대학 복수전공자는 교양 제2영역에서 영어를 제외한 제2외국어를 1과목 이상 이수하여 C- 이상이면 논문제출자격을 가집니다.
•
외국어 진행 강의를 3과목 이상 수강해야 합니다. 전공/교양 구분과 무관하게 인정되며, 영어, 스페인어, 일본어 등 어떤 언어로 진행되는 강좌든지 한국어 외의 언어로 진행되는 3개 교과목이면 됩니다.
•
‘삶과 인문학(100.165)’ 과목은 수강할 필요가 없습니다.
3. 추가 특별 규정
•
졸업논문을 작성해야 합니다. 언어학과 전공선택과목인 '언어학연습 1(108.414A)', ‘언어학연습 2(108.418)’ 수강을 통해 논문작성을 진행하기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
'언어학연습 1(108.414A)', ‘언어학연습 2(108.418)’ 를 수강할 수 없는 경우 졸업논문 주제와 희망하는 논문지도교수 2인(언어학과 교수님)을 작성하여 학과 사무실에 신청해야 합니다.
4. 전탐 추천 교과목
•
학과에서 지정한 전공탐색용 과목은 ‘언어와 언어학(100.129)’, ‘말소리의 세계(100.131)’, ‘언어와 컴퓨터(100.130)’, ‘세계의 언어(100.132)’입니다.
•
“[언어와 언어학]은 고희정 교수님의 명강입니다. 로드 빡세고 힘든 강의지만 이거 하면서 언어학과 들어오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많아요. 언어학의 여러 분야 (형태론/통사론/음운론/의미론 등)를 다뤄주십니다. 그리고 교수님이 정말 세상에서 제일 좋으세요. 이 강의 듣고 고희정 교수님 연구실에 대학원생으로 가고 싶다는 생각까지 들었어요. [언어의 세계]와 [언어의 이해]는 교양수업인데 [언어와 언어학]보다는 훨씬 가벼운 느낌입니다.” (18학번 이영호 진입자)
5. 전공 리뷰
•
언어학은 인간의 언어를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학문입니다. ‘과학’이라는 정체성이 강해서 인문대학에 속해 있지만, 여타 전공들과는 성격이 조금 다르다고 볼 수 있는데요. 그런 점이 혼란과 충격으로 다가올 수도 있지만, 반대로 언어학도로서 자부심으로 여길 수도 있는 부분입니다. 과학과 인문학의 접점에서 언어를 통해 인간을 탐구하고자 하신다면 언어학을 공부해 보시는 건 어떨까요? :) (17학번 김은혜 진입자)
•
모든 언어를 관통하는 언어의 보편적 특성(universal)이 있다? 없다? 신기하다! (17학번 정서영 진입자)
•
정말 매력 있는 전공이고 매일매일이 새로운 지적 자극이지만... 결정적으로 영어를 좀 해야 합니다ㅠ 전공책이 전부 영어라서 영어 없이는 할 수가 없고, 문법적인 예시로 영어가 가장 많이 쓰여요. (18학번 이영호 진입자)
•
공학과 함께 전공하기 좋은 학문이다. (14학번 진입자)
•
한 과목이 한 학기에만 열리므로 수강신청 때 유의해야 한다. (익명의 진입자)
•
전필 수강신청이 굉장히 어렵다. (익명의 진입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