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치: 6동 205호
•
행정실 전화번호: 02-880-6218
1. 전공 수업 규정
(1) 전공교과목목록
전필 9학점 + 전선 30학점 → 총 39학점
1학기 | 2학기 | |
1학년 | 100.177 서양고대철학 | 100.146A 인도불교철학 113.227* 기호논리학 |
2학년 | 100.178 중국고대철학 113.300 철학교육을 위한 논리학 113.343* 윤리학 113.357 한국불교철학 113.362 서양중세철학 | 113.345 사회철학 113.352 인식론 113.360 서양근대철학 113.455 송명대신유학 M1252.000200 도가철학 |
3학년 | 113.226* 한국철학사 113.318 철학교육론 113.365 언어철학 113.368 현상학 113.371 신유학특강 113.454 중국근현대철학 113.466 형이상학 M1252.000100 문화철학 M1252.000300 역사철학 | 113.319 철학교재연구 및 지도법 113.463 과학철학 113.366 실존철학 113.367 현대프랑스철학 113.369 불교철학특강 113.370 제자백가철학특강 113.464 심리철학 |
4학년 | 113.462 서양현대철학특강 113.467A 윤리학특강 113.470 서양근대철학특강 | 113.461A 서양고중세철학특강 113.465 사회철학특강 |
•
교과목 번호 뒤에 * 표시가 된 과목은 전공필수이며, 이 외에는 모두 전공선택 과목입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철학과 공식 홈페이지 > 학부 > 학부 교과 과정 > 이수 표준 형태 http://phil.snu.ac.kr/board/html/menu3/sub03_3.html/ (검색일: 2024년 6월 27일)
•
졸업 기준은 입학년도를 따릅니다.
[출처] 위 답변은 2024년 7월 1일 서울대학교 철학과 행정실 이메일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2) 타학과 개설 인정 교과목
중어중문학과 | 102.421 시경.초사 |
언어학과 | 108.311 의미론
108.413A 컴퓨터언어학 |
역사학부 | M3544.000700 한국근세사상사
M3544.002800 한국중세사상사
M3544.000100 한국사를 이끈 사상가들
M3545.002100 전통중국의 사상과 종교 |
종교학과 | 114.319 한국유교
114.323 한국불교 |
미학과 | M1262.001500 영미미학특강
M1262.001300 독일미학특강
M1262.001400 동양미학특강 |
철학과 | M2908.000200 시장과 윤리
M2908.000300 정치·경제·철학을 위한 경제적 분석 |
•
타학과의 다음 교과목들을 이수할 경우, 필수 이수학점 수의 1/2 한도 내에서 철학과의 전공선택과목을 이수한 것으로 인정 받을 수 있습니다. 자전 진입생은 20학점까지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철학과 공식 홈페이지 > 공지사항 > 전공선택 인정 교과목에 관한 철학과 내규 https://philosophy.snu.ac.kr/board/html/menu6/sub06_view.html?wr_id=6253&page=/
(검색일: 2024년 6월 27일)
•
2023.06.07.에 신설된 졸업 내규에 따라, 철학과에서 지정한 타학과 전공선택인정 교과목은 A~F 성적평가방법을 통해 학점을 취득한 경우에만 철학과 전공선택 과목으로 인정됩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철학과 공식 홈페이지 > 공지사항 > 타과 전공선택 교과목 S/U 이수 불가 https://philosophy.snu.ac.kr/board/html/menu6/sub06_view.html?wr_id=7040&page=/
(검색일: 2024년 6월 27일)
(3) 선이수/후이수
•
선이수/후이수가 필수인 과목은 특별히 없습니다.
•
113.220 대의 과목들은 초보 단계, 113.300 및 113.400대의 과목들은 중급 단계의 과목들입니다.
중급 단계의 과목들을 수강하기 이전에 먼저 초보단계의 과목들을 수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철학과 공식 홈페이지 > 학부 > 학부 과정 소개 > 어떤 과목들을 들을 것인가 https://philosophy.snu.ac.kr/board/html/menu3/sub03_1_2.html/ (검색일: 2024년 6월 27일)
(4) 로드맵
[출처]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공식 홈페이지 > 교육·학생지원 > 예비대학 > 예비대학 수강가이드 > 철학과 https://ctl.snu.ac.kr/didimdol/liberalarts_philo.html (검색일: 2024년 7월 18일)
2. 졸업 교양 규정
•
제2외국어 1과목 이상을 성적 C- 이상으로 이수해야 합니다.
외국어문계열 전공자는 전공학과 교과목이 제2외국어를 이수한 것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단, 전공진입 전에 수강한 교과목은 제2외국어로 인정됩니다.
•
소그룹고전원전읽기1(054.008), 소그룹고전원전읽기2(054.009) 중 한 과목을 이수해야 합니다.
•
삶과 인문학(100.165) 이수 규정은 인문대학 신입생에게만 해당되므로, 자전 진입생은 들을 필요 없습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철학과 공식 홈페이지 > 공지사항 > 인문대학 졸업이수 의무사항 https://philosophy.snu.ac.kr/board/html/menu6/sub06_view.html?wr_id=6250&page=/
(검색일: 2024년 6월 27일)
[출처] 위 답변은 2024년 7월 1일 서울대학교 철학과 행정실 이메일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3. 추가 특별 규정
•
졸업논문 작성이 필수입니다.
•
교양, 타전공 과목 상관 없이 영어 진행 과목을 3개 이수해야 합니다.
서울대 교양영어 및 서울대 본인학과 영어로 된 전공과목은 영어 진행 과목으로 인정됩니다.
단, 해외수학 학점은 영어 진행 과목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철학과 공식 홈페이지 > 공지사항 > 자유전공학부 및 복수전공 졸업규정 https://philosophy.snu.ac.kr/board/html/menu6/sub06_view.html?wr_id=6251&page=/
(검색일: 2024년 6월 27일)
4. 전탐 추천 교과목
•
학과 차원에서 권장하는 전공탐색과목은 서양고대철학(100.177), 인도불교철학(100.146A), 중국고대철학(100.178) 입니다.
[출처] 위 답변은 2024년 7월 1일 서울대학교 철학과 행정실 이메일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
철학개론(043.053), 기호논리학(113.227), 형이상학(113.466)을 추천합니다. (17학번 김명진 진입자)
•
많은 사람들이 철학과 교양 수업을 듣고 진입하는 것 같습니다. 저는 성의 철학과 성 윤리(043.069), 기호논리학(113.227), 서양근대철학(113.360) 수업을 듣고 진입했습니다.
서양근대철학(113.360)을 추천합니다. 저도 추천받고 들은 수업인데, 로드는 꽤 빡센 편이지만(매 주 수업 내용과 관련한 5줄 정도의 코멘트, 분량 제한 없는 논술형 중간/기말고사, 기말 레포트 6~8매) 얻는 것도 그만큼 많습니다! 데카르트, 스피노자, 흄, 버클리, 칸트 등을 배우고, 교수님이 너무 좋으시고, 토론하고 질문하면서 자기 생각도 해볼 수 있는 전형적인 철학과 수업입니다. (18학번 박예슬 진입자)
•
서양고대철학(100.177), 서양근대철학(113.360), 인식론(113.352), 현상학(113.368), 언어철학(113.365)과 같은 과목들은 다른 철학의 토대가 되는 과목들이라 먼저 들으면 좋습니다! 그리고 대체로 서양 철학에 비해 동양 철학 과목들은 적게 듣는 경향이 있는데, 그래도 중국고대철학(100.178), 인도불교철학(100.146A)은 기본적으로 듣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16학번 여민수 진입자)
•
일반인에게 추천: 서양고대철학 등 철학과 1학년 전공. 심화한 수준의 공부를 요하지 않고 학점도 후한 편. 철학에 진심인 이에게 추천: 이행남-서양근대철학. 이행남 교수님 수업은 난이도가 있는 편이라 자기가 정말 학문으로서의 철학에 적합한 사람인지 확인할 수 있음. (23학번 김지성, 2024-1 진입자, 2024.07 작성)
5. 전공 리뷰
•
제가 좋아하는 것은 철학인데, 이게 무엇인지는 여전히 잘 모르겠습니다. 쉽사리 어떤 답을 고수하기 어렵습니다. 사실 '철학이 무엇이냐'하는 질문은 또한 하나의 중요한 철학적 물음이며, 누군가 확신에 찬 대답으로 사람들을 끌어들일 수 있다면 그는 이미 철학자라고 보아야 할 것입니다.
제가 이해하는 바, 철학과에서 배우는 것은 철학을 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며, 이는 우선 성현들의 작업을 이해하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따라서 수업 자료는 일반적으로 고전과 그 주석들로 구성되며, 보통의 수업 목표는 이 자료들을 최대한 자기 것으로 만든 후 자신의 생각이 담긴 페이퍼를 작성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철학 전공자는 기본적으로 텍스트를 읽는 시간이 정말 깁니다. 다만 적은 양의 텍스트를 깊게 읽는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실례로, 직전 학기에 수강한 특강 수업에서는 1주에 많아야 20페이지 정도를 다루었습니다.
이제 '철학과에 오길 잘했다!' 하고 생각했던 점 하나를 말씀드리고 마치자면, 철학과 사람들은 학생분들도, 교수님들도 모두 자유전공학부 사람들을 좋아하시고 잘 챙겨주십니다! ㅎㅎ 철학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한번 진지하게 고민해보시기를 적극 추천드립니다! (23학번 김지성, 2024-1 진입자, 2024.07 작성)
•
(1) 철학은 모든 학문들의 뿌리입니다. 그래서 참 깊이 있고, 재미있고, 도움이 많이 되는 학문입니다. (2) 하지만 뿌리에 매달리는 것보다 과일을 채집하는 게 중요한 것이 현실입니다. 이 점에서는 철학이 다른 실용적인 학문들을 도저히 따라갈 수 없습니다. 그래서 철학과에 진입할지 고민할 때 (1)과 (2)를 잘 견주어 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16학번 여민수 진입자)
•
철학은 인간이 살면서 한 번쯤은 마주할 수밖에 없는 질문들을 다룹니다. 좋은 삶이란 무엇인지, 어떻게 살아야 할지, 존재란 무엇인지. 누구나 대답할 수 있는 질문들이지만, 동시에 누구나 잘 대답할 수 있는 질문들은 아닙니다. 철학을 통해 본인의 의견을 논리적으로 개진할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습니다. (17학번 김명진 진입자)
•
제 전공선택 사유서 마지막 부분을 인용하겠습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철학의 두 가지 매력을 알게 되었습니다. 누구나 자유롭게 생각을 펼칠 수 있다는 것과, 그 생각이 ‘논리적’이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논리학이 철학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서, 이과 학생들에게도 추천하고 싶습니다. 같이 @학부에서@ 철학해요~~~^^ (18학번 박예슬 진입자)
•
이과 전공에 비해 리딩은 많지만, 배운 것만 딱 공부해도 시험에서 다른 굇수들에게 밀리지 않고 A학점 획득 가능. (15학번 진입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