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회
home
학생회 소개
home

서양사학과

행정실 위치
14동 206호
분류
인문대학
행정실 전화번호
02-880-6200
위치 : 인문대학 14동 206호
행정실 전화번호 : 02-880-6200

1. 전공 수업 규정

➀ 22학번 이전 주전공, 복수전공생의 경우
전필 12학점 + 전선필 3학점+ 3사과통합과목 1과목 3학점 + 역사학부 한국사학전공 혹은 동양사학전공 전공과목 중 1과목 3학점 + 전선 18학점 → 총 39학점
➁ 23학번 이후 주전공, 복수전공생의 경우
공통과목군에서 12학점 + 전공과목군에서 12학점 + 교차이수 15학점 → 총 39학점
[출처]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 공식 홈페이지 > 학부 > 졸업 교과목안내 - 인문대학 서양사학과 (snu.ac.kr) (검색일 : 2024년 6월 28일)
※ 교과구분이 ‘전공선택’이더라도, 실제로는 ‘전공선택필수’인 경우 전선필로 구분하여 표기하고, 교과구분이 ‘전공선택’이더라도, 실제로는 ‘전공필수’인 경우 전필로 구분하여 표기했습니다.

(1) 전공교과목목록

1학기
2학기
1학년
‘서양사를 보는 시각(100.141)’* ‘역사 공부의 기초(M1250.000500)'
‘사료로 보는 서양사(100.142)’* ‘역사학 세미나(M1250.000100)’
2학년
‘서양의 지적전통(100.143)’ ‘서양근대사 1: 르네상스에서 프랑스혁명까지(112.210) ’‘서양의 고대문명(112.321)’ ’20세기전반의 역사(112.323)’
‘서양근대사 2: 긴 19세기의 역사(112.211)’ ‘서양중세사(112.322A)’ ‘20세기후반의 역사(112.324)’
3학년
‘미국사(112.206)’ ‘영문사적강독(M1250.000200)’ ‘독일사(112.310)’ ‘불문사적강독(112.328)’
’영국사(112.207)’ ‘영문사적강독(M1250.000200)’ ‘프랑스사(112.311)’ ‘독문사적강독(112.326)’ ‘러시아사(112.405)’
4학년
‘서양사특강(112.431)’ ‘서양사연습(112.432)’
‘서양사연습(112.432)’ ‘서양사학사(112.301)’ ‘역사속의 여성과 여성문화(112.320A)’ ’서양지역사특강(112.425)’ ‘글로벌 해양사(M1250.000400)’
[출처]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 공식 홈페이지 > 학부 > 졸업 교과목안내 - 인문대학 서양사학과 (snu.ac.kr) (검색일 : 2024년 6월 28일)
22학번 이전의 주전공, 복수전공생의 경우 ‘서양사를 보는 시각’, ‘사료로 보는 서양사’, ‘역사학 논문 쓰기3’, ‘영어로 역사 읽기’를 반드시 수강해야 합니다. 또, ‘원어로 읽는 유럽사’, ‘불문사적강독’, ‘독문사적강독’, ‘노문사적강독’ 중 하나의 과목을 선택하여 반드시 수강해야 합니다. 역사학부 한국사학전공 혹은 동양사학전공 전공과목 중 하나의 과목을 선택하여 반드시 수강해야 합니다.
23학번 이후의 주전공, 복수전공생의 경우 공통과목군에서 ‘원어로 읽는 유럽사’를 반드시 수강해야 하고, ‘역사 공부의 기초’, ‘역사학 세미나’ 중 하나의 과목을 선택하여 반드시 수강해야 합니다. 또, ‘역사학 논문 쓰기 1,2,3’ 중 하나의 과목을 선택하여 반드시 수강해야 합니다. 다음으로, 전공과목군에서 ‘서양사를 보는 시각’, ‘사료로 보는 서양사’ 중 하나의 과목을 선택하여 반드시 수강해야 합니다. 교차이수로, 한국사학전공에서 6학점, 동양사학전공에서 6학점, 서양사학전공을 제외하여 선택할 수 있는 3학점 총 15학점을 이수해야 합니다.
18~22학번의 경우, 삼사과 통합과목 1과목을 반드시 이수해야 합니다. 18년 2학기 삼사과 통합과목은 ‘’한국사특강 2(109.408)’이고, 19년 2학기부터는 신설 교과목 ‘역사학 세미나(M1250.000100)’로 합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 공식 홈페이지 > 학부 > 졸업 교과목안내 - 인문대학 서양사학과 (snu.ac.kr) (검색일 : 2024년 6월 28일)
학번은 입학 연도 기준 규정을 따릅니다. 학과 진입 시기와 상관없이 자신의 학번에 해당하는 규정을 적용 받습니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6월 28일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 행정실의 이메일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2) 타학과 개설 인정 교과목

역사학부 서양사학전공(23학번 이후)과 서양사학과(23학번 이전)에 다르게 적용됩니다. 역사학부 통합 이후(23학번 이후)로 타학과 개설 인정 교과목 관련해서 세 전공이 협의하고 있어 아직 정해지지 않아, 역사학부 서양사학전공에게 해당되는 내용은 추후 결정되는 대로 말씀주신다고 합니다. 서양사학과(23학번 이전)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서양사학과, 국사학과, 동양사학과 개설 교과목 : 모든 학부 전공 교과목 인정
역사 및 철학(서양사, 동양사, 국사, 고고미술사, 미학, 철학, 종교) 계열 전탐과목: 9학점 이내(1학년 수강 시)
철학과 서양고대철학, 서양중세철학, 현대프랑스철학, 서양근대철학특강: 3학점 이내
종교학과: 세계종교
정치외교학부 정치학전공: 서양정치사상1, 서양정치사상2
정치외교학부 외교학전공: 국제관계사개설, 국제정치사상
경제학부: 경제사, 국제경제사
사회학과: 고전사회학이론
지리학과: 유럽지리, 아메리카 지리
언론정보학과: 현대 저널리즘 이론과 분석
자연과학대학: 과학혁명과 근대과학의 탄생
연계전공 미국학: 미국학개론
연계전공 러시아학: 노문사적강독(전공선택필수 과목 중 하나입니다)
교직자 한정 전선 인정 과목: 역사교육론, 세계사 교재연구 및 지도법, 국사교재연구 및 지도법, 역사적 사고와 논술(역사교육과)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6월 28일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 행정실의 이메일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3) 선이수/후이수

강제된 선이수/후이수는 없습니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6월 28일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 행정실의 이메일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2. 졸업 교양 규정

자유전공학부의 교양 규정을 따른다고 합니다. 변경 사항이 있을 수 있으니, 서양사학과 행정실과 자유전공학부 행정실에 모두 문의를 해보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6월 28일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 행정실의 이메일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3. 추가 특별 규정

(20학번 이후부터 해당) 졸업 전까지 2회 이상 국내외 답사에 참여해야 합니다. 학과 차원에서 답사를 하지 않을 경우, 이 규정을 적용하지 않습니다. 단, 역사학부 답사 규정을 통일하려는 논의가 진행 중이므로 위 규정은 잠정적인 것으로 합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 공식 홈페이지 > 학부 > 졸업 교과목안내 - 인문대학 서양사학과 (snu.ac.kr) (검색일: 2024년 6월 28일)
졸업논문을 써야합니다. 22학번 이전의 학생은 졸업논문과목인 ‘서양사연습(112.432)’ 또는 ‘역사학 논문 쓰기3(M3533.000800)’을 반드시 이수하여 F 성적을 제외한 성적을 받아야 합니다. (단, 두 과목의 교과구분은 전선입니다.) 역사학부 서양사학전공 학생(23학번 이후)은 <역사학 논문쓰기 1>, <역사학 논문쓰기 2>, <역사학 논문쓰기 3> 중 하나를 이수하고 졸업논문을 제출해야 합니다. 서양사 주제의 논문 작성 수업은 <역사학 논문쓰기 3> 수업이므로 가능하면 세부전공에 따라 수업을 이수하시기 바랍니다.
졸업논문제출자는 졸업눈문을 작성하여 제출 후 심사를 통과해야 하고, 졸업학기의 종강일 이전에 제출을 마쳐야 합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 공식 홈페이지 > 학부 > 졸업 교과목안내 - 인문대학 서양사학과 (snu.ac.kr) (검색일: 2024년 6월 28일)

4. 전탐 추천 교과목

학과에서 지정한 전공 탐색용 교과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서양사를 보는 시각(100.141)’
‘역사 공부의 기초(M1250.000500)'
‘사료로 보는 서양사(100.142)’
‘역사학 세미나(M1250.000100)’
‘서양의 지적전통(100.143)’
[출처]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 공식 홈페이지 > 학부 > 졸업 교과목안내 - 인문대학 서양사학과 (snu.ac.kr) (검색일 : 2024년 6월 28일)

5. 전공 리뷰

역사적으로 사고하는 방법을 터득하고 언어적 능력을 기르면서도, 학업 이외의 다른 일을 병행하고 싶다면 서양사학과를 추천합니다. (13학번 이동현 진입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