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치 : 자연과학대학 56동 216동
•
행정실 전화번호: 물리학 02-880-8143
1. 전공 수업 규정
[2025학년도 신입생 이전]
단일전공 : 전공필수 과목 11개(25학점) + 전공선택 과목(35학점) => 총 60학점
다른전공 병행 이수(주전공, 복수전공) : 전공필수 과목 11개 (25학점) + 전공선택 과목 (14학점) => 총 39학점
다른전공 병행 이수(부전공) :역학1(또는 역학), 전기와 자기(또는 전자기학), 양자물리1(또는 양자물리), 열과 통계물리를 포함하여 전공 선택 인정 교과목 중 21학점 이상을 이수해야 한다.
[2025학년도 신입생부터 적용]
단일전공 : 역학, 전기와자기, 양자물리, 열과통계물리는 필수과목이다. 아울러 실험과목 중급물리실험1, 중급물리실험2 중 한과목을 필수 과목으로 선택해야 한다.
다른전공 병행 이수(주전공, 복수전공) :전공선택인정 교과목 중 39학점을 이수해야 한다. 단 필수이수과목은 물리 단일전공 학생과 동일하다
다른전공 병행 이수(부전공) : 역학1(또는 역학), 전기와 자기(또는 전자기학), 양자물리1(또는 양자물리), 열과 통계물리를 포함하여 전공 선택 인정 교과목 중 21학점 이상을 이수해야 한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6월 25일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행정실의 이메일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1) 전공교과목목록
학년 | 1학기 | 2학기 | 비고 |
2 | M2173.004300 역학(*)(†)
M1419.001400 역학 연습(*)
300.214 전기와 자기(*)(†)
3348.217 전기와 자기 연습
3342.201A 현대물리학의 기초
881.007 선형대수학 | M2173.004500 고급 역학(†)
M1419.001700 고급 역학 연습
884.301 전자기파와 광학(†)
3348.309 전자기파와 광학 연습
3348.203 기본물리수학
M1419.000500 기초현대물리실험 | |
3 | M1419.001300 양자물리 1(*)(†)
M1419.001500 양자물리 연습
884.306 물리수학
884.307A 중급물리실험 1(*)
881.004 복소변수함수론 | 884.302 열과 통계물리(*)
M1419.001800 고급 양자물리 (†)
M1419.001900 고급 양자물리 연습
884.308A 중급물리실험 2(*)
884.310 전산물리 | |
4 | 884.401A 상대론과 시공간
884.403 고체의 성질
884.404 유체역학
884.405A 고급광학
884.409 고급물리실험
3348.401 생물계물리 입문
3348.408 물리연구
M1419.000300 물리연구 3 | 884.402 핵과 기본입자
884.404 유체역학
884.406A 물리학과 신기술
3348.402 응집물질과 집단현상
3348.410 물리연구 2
M1419.000400 물리연구 4 |
•
(*)표시는 전공필수 교과목, 미표기 교과목은 전공선택 교과목입니다
•
2019학년도를 포함한 이전 학년도의 입학생은 ‘중급물리실험 2(884.308A)’가 전공필수 교과목이 아닙니다.
•
‘전자학 및 계측론(3342.202)’은 2020년부터 개설되지 않으며, 2019학년도를 포함한 이전 학년도의 입학생은 동일교과목인 ‘기초현대물리실험(M1419.000500)’을 수강해야 합니다.
•
“†”표가 되어 있는 과목의 경우 관련연습과목을 같은 학기에 동시에 이수해야 합니다. (단, 학기별 취득가능학점 상한초과, 재수강 등 연습과목을 수강하지 못할 특별한 사유가 있으면 강의담당교수의 허락을 받아 다른 학기에 수강 가능합니다.
•
‘복소변수함수론(881.004)’의 경우 수리과학부 개설 교과목으로 타학과 개설 교과목 인정 한도인 15학점 내에서 학점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 물리학 전공의 경우 대부분의 과목이 3학점이지만 실제 수업 시수는 4,5시간 이상으로 특히 중급물리 실험 1,2는 3학점이지만 6시수를 자랑합니다. 이를 고려하여 수강계획을 짜야 합니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6월 25일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행정실의 이메일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2) 타학과 개설 인정 교과목
•
물리전공 개설과목은 모두 전공 선택으로 인정하되 단학기 역학, 단학기 전자기학 및 단학기 양자물리는 각각 역학1(혹은 역학), 전기와자기 및 양자물리1(혹은 양자물리) 과 중복하여 인정하지 않는다. 또한 단학기 역학, 단학기 전자기학 및 단학기 양자물리는 타 학과(부)학생들을 위한 과목으로서 물리학을 주전공 또는 복수전공으로 하는 학생이 이수할 경우 일반선택 과목의 이수로 처리한다.
•
자연과학대학의 타 전공(학과) 및 공과대학에서 제공하는 교과목 중에서 15학점 까지 인정한다. (예: 선형대수학, 복소변수함수론, 미분방정식, 천체물리학개론 1,2, 분석화학실험, 세포생물학, 회로이론1,2 등)
•
물리학 전공(대학원)에서 개설한 석사 및 석·박사 교과목(단, 이 때 취득한 학점은 학사과정 졸업과정에 포함하거나(이 경우 전공선택과목으로 인정) 석사과정 입학 후 석사과정 졸업(수료)학점에 포함할 수 있으나 중복 인정되지 않음)
•
기타 학부장이 인정하는 과목(학생이 근거자료(1. 교과목 정보 2. 강의계획서 3. 과제 및 강의노트 4. 중간고사, 기말고사 시험지, 5. 이수과목 담당교수 첨언)를 행정실에 제출하면, 학부장의 승인을 받아 물리 전공선택 과목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6월 25일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행정실의 이메일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3) 선이수/후이수
수강에 제약을 두는 선이수/후이수는 별로 없는 편입니다. 하지만 과 특성상 학년이 올라갈수록 내용이 심화되니 표준이수를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합니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6월 25일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행정실의 이메일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4) 로드맵
[출처]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학생회 Notion > 학과 소개 및 전공 로드맵 > All about 자연대 https://snucns.notion.site/S-N-U-C-N-S-368ed6cd2089493289055d2636580b6c?pvs=4 (검색일: 2024년 7월 20일)
2. 졸업 교양 규정
•
교양규정의 경우는 자전 교양규정만 준수하면 됩니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6월 25일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행정실의 이메일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3. 추가 특별 규정
•
졸업논문제출이 필수입니다. 학사과정에 필요한 학점(130학점) 취득후 졸업 희망 학년 초에 논문지도교수를 선정하고, 논문 지도 교수의 지도에 따라 학사 학위 논문을 작성합니다. 졸업 희망학기 초에 졸업신청서를 제출하고, 졸업논문심사에 통과하여야 합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공식 홈페이지 > 학사 > 학부 > 교과과정 https://physics.snu.ac.kr/academics/undergraduate/curriculum (검색일: 2024년 6월 29일)
4. 전탐 추천 교과목
•
[3342.201A 현대물리학의 기초]를 추천합니다. 그리고 [M1419.001300 양자물리]를 수강할 때 034.016 화학1을 공부해두면 시너지 효과가 커서 훨씬 재밌게 공부하실 수 있으니, 교양과목으로 수강하기 추천드립니다. (15학번 허지원 진입자)
5. 전공 리뷰
•
물리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재밌어지는 전공입니다. 다만 저학년 때 기초를 탄탄히 잘 다져두는 것이 도움이 많이 됩니다. 1학년 때 너무 놀지 마시고 수학 및 연습(19학번부터 수학1, 수학2 과목)와 물리학을 열심히 공부하시길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이렇게 두 가지만 제대로 해두어도 전공과목 듣는 것이 훨씬 수월해집니다. (15학번 허지원 진입자)
•
다른 자연과학과 공대전공이 15학점까지 전공으로 인정되어 자신이 잘하고 좋아하는것을 취사선택하여 졸업가능합니다. (15학번 진입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