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치: 자연과학대학 수리과학부 27동 119호
•
행정실 전화번호: 02-880-5857, 6530, 6531
1. 전공 수업 규정
(1) 전공교과목목록
2024학년도 이후
전필 7학점 + 전선 32학점 → 총 39학점
학년/학기 | 1학기 | 2학기 | 비고 |
1학년 | L0442.000900* 미적분학 1과
L0442.001000* 미적분학연습 1
(또는 L0442.000500 고급수학 1과
L0442.000600 고급수학연습 1)
M0444.000100 과학계산을 위한 컴퓨터 활용 | L0442.001100* 미적분학 2와
L0442.001200* 미적분학연습 2
(또는 L0442.000700 고급수학 2와
L0442.000800 고급수학연습 2)
M0444.000100 과학계산을 위한 컴퓨터 활용 | 미적분학 1⋅2와 미적분학연습 1⋅2 수강을 원칙으로 함 |
2학년 | 300.203A 선형대수학 1
3341.201 해석개론 1
3341.211 정수론
M1407.000600* 해석개론 및 연습 1 | 300.204 미분방정식 및 연습
300.206A 선형대수학 2
881.313 집합과 수리논리#
3341.202 해석개론 2
M1407.000700 해석개론 및 연습 2 | |
3학년 | 881.301* 현대대수학 1
881.303 미분기하학개론 1
881.320 수치해석개론
881.401 위상수학개론 1
3341.347 복소함수론 1
3341.348 다변수해석학
3341.353 과학계산개론
M1407.001200 심층신경망의 수학적 기초
M1407.002500 측도이론과 확률 | 881.302 현대대수학 2
881.304 미분기하학개론 2
881.319 수치선형대수
881.402 위상수학개론 2
881.431 푸리에해석과 응용#
3341.301A 복소함수론 2
3341.362 고속 프로그래밍 방법 및 실습
3341.451 금융수학 1
M1407.001000 확률미분방정식 | |
4학년 | 881.423 편미분방정식
881.425 실변수함수론
881.427 대수적 코딩이론
3341.445 수학특강 1
3341.452 금융수학 2
3341.453 수학적 모델링 및 전산실험
M1407.000100 수리과학졸업논문지도 | 881.410 대수기하학개론#
881.424 응용편미분방정식#
881.433A 암호론
881.434 카오스와 동역학계#
881.436 이산수학
881.437 호몰로지 대수#
3341.446 수학특강 2
3341.454 최적화의 수학적 이론 및 계산
M1407.000100 수리과학졸업논문지도 |
•
(*) : 필수 교과목
•
(#) : 격년 개설 교과목
① ‘해석개론 및 연습 1(M1407.000600)’, ‘현대대수학 1(881.301)’은 전공 필수 교과목이다.
② 2017 입학생부터 ‘해석개론 및 연습 1(M1407.000600)’을 전공필수 과목으로 이수하여야 하며, 2017년도까지 ‘해석개론 1(3341.201)’을 수강한 경우 ‘해석개론 및 연습 1(M1407.000600)’을 이수한 것으로 본다.
③ 2016 입학생까지는 ‘해석개론 1(3341.201)’을 전공필수 과목으로 이수하여야 하며, ‘해석개론 및 연습 1(M1407.000600)’을 수강한 경우 ‘해석개론 1(3341.201)’을 이수한 것으로 본다.
2022 ~ 2023학년도
학년/학기 | 1학기 | 2학기 |
2학년 | 300.203A 선형대수학 1
3341.201 해석개론 1
881.313 집합과 수리논리
3341.211 정수론
M1407.000600 해석개론 및 연습 1(*) | 300.204 미분방정식 및 연습
300.206A 선형대수학 2
3341.201 해석개론 2
M1407.000700 해석개론 및 연습 2 |
3학년 | 881.301 현대대수학 1(*)
881.303 미분기하학개론 1
881.319 수치선형대수
881.401 위상수학개론 1
3341.347 복소함수론 1
3341.348 다변수해석학
3341.353 과학계산개론 | 881.302 현대대수학 2
881.304 미분기하학개론 2
881.320 수치해석개론
881.402 위상수학개론 2
3341.301A 복소함수론 2
3341.362 고속 프로그래밍 방법 및 실습
M1407.001000 확률미분방정식 1
M1407.001200 심층신경망의 수학적 기초 |
4학년 | 881.423 편미분방정식
881.425 실변수함수론
881.427 대수적코딩이론
3341.445 수학특강 1
3341.451 금융수학 1
3341.453 수학적 모델링 및 전산실험
M1407.000100 수리과학졸업논문지도
M1407.001100 확률미분방정식 2 | 881.410 대수기하학개론(#)
881.424 응용편미분방정식
881.431 푸리에해석과 응용(#)
881.433A 암호론
881.434 카오스와 동역학계
881.436 이산수학
881.437 호몰로지대수(#)
3341.446 수학특강 2
3341.452 금융수학 2
3341.454 최적화의 수학적 이론 및 계산
M1407.000100 수리과학졸업논문지도 |
2021학년도
학년/학기 | 1학기 | 2학기 |
2학년 | 300.203A 선형대수학 1
3341.201 해석개론 1
881.313 집합과 수리논리
3341.211 정수론
M1407.000600 해석개론 및 연습 1(*) | 300.204 미분방정식 및 연습
300.206A 선형대수학 2
3341.201 해석개론 2
M1407.000700 해석개론 및 연습 2 |
3학년 | 881.301 현대대수학 1(*)
881.303 미분기하학개론 1
881.319 수치선형대수
881.401 위상수학개론 1
3341.347 복소함수론 1
3341.348 다변수해석학
3341.353 과학계산개론 | 881.302 현대대수학 2
881.304 미분기하학개론 2
881.320 수치해석개론
881.402 위상수학개론 2
3341.301A 복소함수론 2
3341.362 고속 프로그래밍 방법 및 실습
M1407.001000 확률미분방정식 1
M1407.001200 심층신경망의 수학적 기초 |
4학년 | 881.423 편미분방정식
881.425 실변수함수론
881.433A 암호론
881.434 카오스와동역학계
3341.445 수학특강 1
3341.451 금융수학 1
3341.453 수학적 모델링 및 전산실험
M1407.000100 수리과학졸업논문지도
M1407.001100 확률미분방정식 2 | 881.427 대수적코딩이론
881.410 대수기하학개론(#)
881.424 응용편미분방정식
881.431 푸리에해석과 응용(#)
881.436 이산수학
881.437 호몰로지대수(#)
3341.352 확률미분방정식입문
3341.446 수학특강 2
3341.452 금융수학 2
3341.454 최적화의 수학적 이론 및 계산
M1407.000100 수리과학졸업논문지도 |
•
(*) : 필수 교과목
•
(#) : 격년 개설 교과목
[출처]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공식 홈페이지 > 교과과정 > 학사과정 > 전공이수표준형태 https://www.math.snu.ac.kr/board/index.php?mid=bbs_101 (검색일: 2024년 6월 26일)
•
졸업 규정은 입학 연도를 기준으로 따르면 됩니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6월 25일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행정실 이메일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2) 타학과 개설 인정 교과목
•
자연과학대학 및 공과대학이 개설하는 전공교과목은 최대 12학점까지 전공선택으로 인정함. (부전공 제외)
•
학사과정 3학년 학생으로서 석사과정의 교과목을 이수하고자 할 때에는 학부장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이 때 취득한 학점은 학사과정 졸업학점에 포함하거나(이 경우 전공선택과목으로 인정) 석사과정 입학 후 석사과정 졸업(수료)학점에 포함 할 수 있으나 중복 인정되지 않음.
•
기타 학부장이 인정하는 과목
[출처]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공식 홈페이지 > 교과과정 > 학사과정 > 전공선택인정교과목 https://www.math.snu.ac.kr/board/index.php?mid=bbs_104&document_srl=445671 (검색일: 2024년 6월 26일)
(3) 선이수/후이수
없습니다. 강좌에 1, 2가 있는 경우는 당연히 순서대로 수강해야 합니다.
[출처] 위 답변은 2024년 6월 28일 수리과학부 행정실 메일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4) 로드맵
[출처]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학생회 Notion > 학과 소개 및 전공 로드맵 > All about 자연대 https://snucns.notion.site/S-N-U-C-N-S-368ed6cd2089493289055d2636580b6c?pvs=4 (검색일: 2024년 7월 20일)
2. 졸업 교양 규정
자전 교양 규정만 이수하면 됩니다. (미적분학 1⋅2와 미적분학연습 1⋅2는 수강하지 않아도 됩니다.)
[출처] 위 답변은 2024년 6월 28일 수리과학부 행정실 메일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3. 추가 특별 규정
•
졸업 논문을 제출해야 합니다.
•
외국어진행강좌 수강의무
2016년 8월 졸업예정자부터 1과목 이상의 영어진행강좌 수강(필수). 단, 대학영어 강좌 제외
[출처]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공식 홈페이지 > 교과과정 > 학사과정 > 외국어진행강좌 수강의무 > 수리과학부 외국어진행강좌 수강의무 변경공지 https://www.math.snu.ac.kr/board/index.php?mid=bbs_113&document_srl=763252 (검색일: 2024년 6월 26일)
•
전공진입전 수강한 ‘타전공 및 타학과 학생을 위한 과목’의 전공 학점 불인정
수리과학부 내규: 2015학년도 2학기부터 타전공 및 타학과 학생을 위한 과목은 수강금지하고 졸업사정 시 졸업학점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주전공, 복수⋅부전공, 전과 포함)
대상 과목: 응용해석 1, 미분방정식, 복소변수함수론, 선형대수학, 해석개론, 현대대수학
시행 시기: 2024년 하계 계절학기 수강부터 ‘타전공 및 타학과 대상학생 과목’의 이수에 대한 교과구분변경(일선→전선) 불인정. #일선으로 수강 가능하나 전공선택으로 변경 불가.
•
교과목 강좌번호 001을 제외한 나머지 강좌는 수강금지(주전공, 복수, 부전공 포함)입니다. 진입 전 수강한 002 강좌는 진입 후 전선으로 인정됩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공식 홈페이지 > 교과과정 > 학사과정 > 주의사항 > 전공진입전 수강한 ‘타전공 및 타학과 학생을 위한 과목’의 전공 학점 불인정 안내 https://www.math.snu.ac.kr/board/index.php?mid=bbs_110&document_srl=1229120 (검색일: 2024년 6월 26일)
[출처] 위 답변은 2024년 6월 28일 수리과학부 행정실 메일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4. 전탐 추천 교과목
•
(1) 해석개론 및 연습 1(M1407.000600)
전필이기도 하고 가장 중요한 개념인 수학적 엄밀성에 대해 배워볼 수 있습니다.
(2) 집합과 수리논리(881.313)
비수학과 역시 들을 수 있는 수업으로 마찬가지로 수학적 엄밀성의 기초를 다루는 수업입니다.
[참고] 2024년 업데이트 이전 수록 정보로, 수리과학부 행정실에 해당 내용 검토를 부탁드린 결과, 2024년 7월 2일 전탐 추천 교과목을 그대로 두어도 된다고 답변하셨습니다.
•
(1) 집합과 수리논리
(2) 선형대수학 1
수리과학부 과목 중에서 노베이스로 수강할 수 있는 과목들이기 때문입니다. 현실적으로 이 두 과목을 제외한 다른 과목들은 노베이스로 듣기 어렵거나 별로 바람직하지 않다고 느꼈습니다. (23학번, 2024-1 진입자, 2024.07 작성)
5. 전공 리뷰
•
수학을 좋아한다면 진입해서 후회하지는 않습니다. (23학번, 2024-1 진입자, 2024.07 작성)
•
저는 문과에서 교차로 수리과학부에 진입하였습니다. 전공으로서의 수학에 대한 생각을 처음 하게 된 것은 자전 문과 학생들이 필수로 듣게 되는 수학의 기초와 응용 수업을 수강하면서였습니다. 물론 이때 진입을 확정지은 것은 아니고, 오랜 고민과 망설임 끝에 3학년이 되어서야 진입하게 되었네요.
수학을 전공으로 삼아도 괜찮을지 고민하는 문과 출신 자전인들께서도 저와 비슷한 고민과 걱정, 막연한 두려움을 겪고 계실 거라 생각이 됩니다. 이과 출신 친구들, 특히 고등학교 때부터 대학 수준 이상의 수학을 섭렵해 온 친구들과 함께 경쟁한다는 것은 분명 두려운 일입니다. 내가 이 경쟁 안에서 잘 해낼 수 있을까, 내용을 못 따라가서 중도포기하게 되지는 않을까 하는 걱정이 들게 마련이고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학 전공이 자꾸만 '하고 싶은 것'으로서 의식에 떠오른다면, 또 남들보다 많은 시간을 써서라도 쉽지만은 않을 - 또 이 익숙치 않은 ㅜㅜ - 공부를 해 나갈 각오가 있으시다면 한번쯤 도전해보시라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사실 저의 경우 운이 굉장히 좋은 편이라고 생각하지만, 이 좋은 운은 여러분이 저와 같은 자전인인 이상 여러분 또한 가지고 계신 것이기도 합니다 : 제 주변에는 수학 공부 일반에 대해서, 또 심지어는 수학 전공수업 수강과 관련하여 조언과 도움을 아끼지 않는 고마운 이과 출신 친구들이 있었고, 문과 출신이었던 저는 이러한 친구들을 '자전인으로서' 알게 되고 사귈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 친구들이 아니었다면 저는 결국 수학 전공을 선택하지 못했을 거에요.
그러니 수학 전공을 고민하는 문과 출신 자전인 여러분! 스스로를 믿고, 친구들에게도 과감히 조언과 도움을 구하고, 한번 질러 보세요ㅎㅎ 대학에서 수학을 공부한다는 멋진 경험은 살면서 한 번쯤 정말 해볼 만한 것이라 생각합니다. (22학번, 2024-1 진입자, 2024.07 작성)
•
수학을 정말 좋아하는 사람만 들어오세요. (익명의 진입자)
•
수리과학부는 문제를 푼다기보다는 논리적인 사고를 통해 결론을 도출하는 연습을 많이 합니다. 오히려 그런 면에선 철학과와 더 비슷한 것 같아요. (익명의 진입자)
•
재능 있는 친구들이 많아서 성적이 생각대로 안 나오는 경우가 많긴 합니다. 그리고 수리과학부 내부의 네트워킹이 생각보다 강해서 적응하는 게 조금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익명의 진입자)
※ 참고사항
•
전필이 7학점으로 매우 적은 편이라 자유로운 수강이 가능할 것 같지만 선이수 후이수 관계가 그 어느 과보다 복잡하여서 이를 고려하여 수강계획을 짜야 합니다. 특히, [해석개론, 미분방정식, 선형대수학]은 거의 모든 3, 4 학년과목의 선이수과목이니 사실상 전필이라고 보아도 무방합니다.
•
과목별로 교수님에 따라 선이수 교과목이 다른 경우가 있어서 이는 직접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참고] 2024년 업데이트 이전 수록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