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회
home
학생회 소개
home

생명과학부

행정실 위치
504동 120호
분류
자연과학대학
행정실 전화번호
02-880-6685~7, 6698~9
위치: 자연과학대학 504동 120호
행정실 전화번호: 02-880-6685~7, 6698~9

1. 전공 수업 규정

19~23학번
전공필수 과목 (19학점 이상) + 전공선택 과목 (20학점 이상_ 아래 전공교과목 표에서 **표시된 것들 중 4개 교과목 [12학점] 이상은 반드시 선택해야 함) ⇒ 총 39학점 이상
24학번
전공필수 과목(13학점 이상) + 전공선택 과목 (26학점 이상_ 아래 전공교과목 표에서 각 분야별(분자세포 생물학, 개체생물학, 생물다양성) 3개 분야에서 최소 1개 교과목을 포함하여 12학점(4개 교과목) 이상 필수 이수) ⇒ 총 39학점 이상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7월 1일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행정실의 이메일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1) 전공교과목목록

학년
1학기
2학기
비고
2
3346.203 생물학야외실습 3346.205 세포생물학(*) M1410.000100 생명과학전공실험 1 3346.207A 미생물학 1(**) 3346.211 현대식물학(**) 3346.330 생물학자를 위한 전산학 개론(**) 3346.415 생태학(*)
300.310 유전학(*) M1410.000200 생명과학전공실험 2 3346.204 생물다양성과 환경 3346.208A 조직세포학(**) 3346.322A 미생물학 2(**) 3346.410 환경생물학 3346.206 유전공학개론(**)
3
300.312 생화학 1(*) 3346.324 생명과학연구실습 1 3346.321 동물생리학(**) 3346.328 생명과학특수연구 1 3346.210B 현대생물학의 이해 1 M1410.003000 계통분류학 및 실험(**)
300.319 분자생물학(*) 300.313 생화학 2(*) 3346.320 식물생리학(**) 3346.414 생명과학연구실습 2 3346.227 생물물리학실험 300.317 생물물리학(**) M1410.003100 생물분류학(**)
생명과학연구 실습 선수과목: 생명과학전공실험 1, 2
4
3346.325A 생명과학연구실습 3 3346.412A 생명과학학위논문연구(*) 3346.402 발생생물학(**) 3346.403 면역학(**) 3346.404 신경생물학(**) 3346.408 생물공학(**)
3346.218 생물정보학개론 3346.329A 생명과학연구실습 4 3346.412A 생명과학학위논문연구(*) 3346.401 진화생물학(**) 3346.407 바이러스학(**) M1410.002800 시스템 신경과학개론
생명과학학위논문연구 이수를 위해 생명과학연구실습 혹은 연구실 인턴 2개학기 이상 참여 필수
(*) 표시는 전공필수 교과목으로 모두 이수해야 하며, (**) 표시는 필수전선 교과목으로 4과목(12학점) 이상 이수해야 합니다. 미표기 교과목은 전공선택 교과목입니다. (⇒ 필수 전선 관련 사항은 2019~2023학번, 2024학번이 다르니 반드시 아래 추가 특별 규정 확인바랍니다)
‘생명과학학위논문연구(3346.412A)’ 과목의 경우 1, 2학기 중 한 번만 들으면 됩니다.
‘세포생물학(3346.205)’ 과목은 1학기에는 영어강의를 제외하면 생명과학부 전공생만 수강할 수 있고, 2학기에는 타과생만 수강할 수 있습니다. 전공탐색 시에 유의하세요.
‘생명과학연구실습 1~4(3346.324, 3346.414, 3346.325A, 3346.329A)’ 과목의 경우 전부 들을 필요는 없습니다. (생명과학학위논문연구 수업을 듣기 위해서는 생명과학연구실습 1~4을 두 과목 듣거나 연구실 인턴 2개 학기 이상 참여를 필수적으로 해야 하는데, 자세한 내용은 ‘(3)선이수 / 후이수’에서 설명드리겠습니다.)
※ 변경 사항
2019학년도 입학생부터 ‘생물학 야외실습(3346.203)’ 과목이 전필 해제 되었습니다.
2022학년도부터 필수전선 과목인 ‘동물 계통분류학 및 실험(3346.217)’, ‘미생물 계통분류학 및 실험(3346.215)’, ‘식물 계통분류학 및 실험(3346.216)’ 이 ‘계통분류학 및 실험(M1410.003000)’으로 통합되었습니다. 앞선 세 과목을 이미 수강한 경우 ‘계통분류학 및 실험(M1410.003000)’ 과목의 이수가 불가합니다.
2023학년도 입학생부터 ‘생물다양성과 환경(3346.204)’ 과목이 전필 해제 되었습니다. 대신 필수전선이던 ‘생태학(3346.415)’ 과목이 전필로 편입되었습니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7월 1일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행정실의 이메일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2) 타학과 개설 인정 교과목

자연과학대학 개설 전공 교과목 20학점까지 생명과학부 전공선택으로 인정 가능(연계전공 과학기술학도 자연과학대학 개설 교과목인 경우에만 인정 가능)
3학년 이상 학부생의 경우 자연과학대학 개설 대학원 과목 이수시 6학점까지만 생명과학부 전선으로 인정
[출처]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공식 홈페이지 > 교육안내 > 교과과정 > 학부 https://www.snu.ac.kr/academics/undergraduate/curriculum (검색일: 2024년 6월 29일)

(3) 선이수/후이수

주전공 및 복수전공의 경우 →
M1410.000100 생명과학전공실험 1 (2-0-4)
M1410.000200 생명과학전공실험 2 (2-0-4)
※ 위 과목은 생명과학연구실습(인턴)을 위한 선수과목임. 전공 선택이라고 구분되어 있지만 꼭 이수해야 하는 교과목입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공식 홈페이지 > 교육안내 > 교과과정 > 학부 https://www.snu.ac.kr/academics/undergraduate/curriculum (검색일: 2024년 6월 29일)

(4) 로드맵

[출처]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학생회 Notion > 학과 소개 및 전공 로드맵 > All about 자연대 https://snucns.notion.site/S-N-U-C-N-S-368ed6cd2089493289055d2636580b6c?pvs=4 (검색일: 2024년 7월 20일)

2. 졸업 교양 규정

교양과목은 자유전공학부 기준으로 이수하되 생물학1, 2(실험)포함은 꼭 이수해야함. (단학기 생물학 및 실험을 이수했더라도, 생물학 1, 2(실험)은 반드시 이수해야함.)
[출처]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공식 홈페이지 > 교육안내 > 교과과정 > 학부 https://www.snu.ac.kr/academics/undergraduate/curriculum (검색일: 2024년 6월 29일)

3. 추가 특별 규정

※ 전 학번 공통: 복수전공, 부전공, 연계전공 등 다전공 학생은 모두 본인 학번 기준으로 학점을 이수해야 합니다.
주전공
부전공
2019~2023학번 필수 전선 관련 사항
2024학번 필수 전선 관련 사항
타학과 개설 이수권장과목: 유기화학 1⋅2, 생물통계학
부가설명:〈표 1〉의 * 교과목은 전공필수 교과목으로 원칙적으로는 전공선택 교과목으로 인정되지 않음. 다만 전공필수 교과목을 4개 이상 초과하여 수강할 경우, 초과하여 이수한 교과목에 한해서만 전공선택 교과목 이수로 인정함. 예를 들면 전공필수 교과목인 생화학 1(분자세포생물학 분야), 생화학 2(분자세포생물학 분야), 유전학(개체생물학 분야), 생태학(생물다양성 분야) 4과목을 이수한 경우 전공필수 교과목으로만 인정되며, 전선으로는 동시 인정 불가, 반드시 추가적으로 전공선택 교과목을 이수해야 함. 이때 추가로 세포생물학(분자세포생물학 분야)을 이수한 경우는 세포생물학은 전공선택으로 인정됨. 즉, 이미 전공필수 교과목 4개를 초과하여 이수한 경우부터 전공선택으로 인정이 된다.
일반적인 이수 예시: 면역학(분자세포생물학 분야) + 미생물학 1(개체생물학 분야) + 진화생물학(생물다양성 분야) + 신경생물학(개체생물학 분야) 총 4과목을 이수한 경우 전공 선택 분야별 12학점이 모두 채워짐
2. 생명과학부 졸업논문 제출규정
1) 학부 졸업 대상자는 졸업을 위해 실험 논문과 리뷰 논문을 선택하여 제출할 수 있다.2) 졸업논문 제출을 위해서는 생명과학학위논문연구을 반드시 수강해야 한다.3) 생명과학학위논문연구 이수 이전에 생명과학연구실습 1,2,3,4(연구실 실험 강좌) 2과목또는 학생 개별 연구실 지정을 통한 실험 연구 (2개 학기) 선행되어야 한다. (주전공, 복수전공)
[출처]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공식 홈페이지 > 교육안내 > 교과과정 > 학부 https://www.snu.ac.kr/academics/undergraduate/curriculum (검색일: 2024년 6월 29일)

4. 전탐 추천 교과목

기초생물학1.2/생물학/ 생물학1/생물학2
: 기초생물학이나 생물학보다는 필수 교과목인 생물학 1.2를 더 추천합니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7월 1일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행정실의 이메일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5. 전공 리뷰

교수님이 수업 때 전공 단어를 영어로 말하는데 ‘생물학 1, 2(034.027~8)’를 배우지 않으면 전공 수업을 듣는데 무리가 있어용 ㅠ (익명의 진입자)
생명과학은 전적으로 외우는 게 아니라 원리 중심이기 때문에 외워서 공부한다는 생각으로 수업을 들으면 듣기 싫어져요. 애초에 전공 선택할 때 정말 생명과학을 사랑해야 합니다. 생명과학의 장점은 기타 과학이나 뭐 인문학 사회학이랑 잘 결합될 수 있다는 겁니다! 생명 선택하면 다른 주전공 선택의 폭이 넓어요 ㅎㅎ 실험 잘 안 된다구 좌절하지 마세요. 레포트가 중요하답니다. (익명의 진입자)
생명과학은 아름답습니다,,, 이과 중에 비교적 문과적인 전공이니 교양 생물학 들어보시고 잘 맞으셨다면 누구든 추천합니다! (익명의 진입자)
생명과학은 외울 것도 많고 실험도 많이 하지만 우리 삶과 가까이 연관되어 있다고 느껴지는 부분을 공부하는 학문인 것 같아요. 누구나 조금쯤은 생명의 신비에 대해 호기심이 있다고 생각하는데, 그 호기심을 발전시키고 다른 분야에 적용하고 싶다면 추천드립니다. 전공탐색과목은 ‘생물학 1, 2(034.027~8)’, ‘세포생물학(3346.207A)입니다. (19학번 진입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