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정보학과

행정실 위치
64동(IBK커뮤니케이션센터)
분류
사회과학대학
행정실 전화번호
02-880-6466~7
위치: 64동(IBK커뮤니케이션센터)
행정실 전화번호: 02-880-6466~7

1. 전공 수업 규정

(1) 전공교과목목록

2024학년도 이후

전필 16학점 + 전선 23학점 → 총 39학점
학기/학년
1학기
2학기
정보문화학 권장 과목
1학년
커뮤니케이션의 이해(복,부전 전필)(200.113A*) 커뮤니케이션학 입문(주전공 전필)(M1312.002900*) 정보문화기술입문(정)(2114.304*) 저널리즘의 이해(211.202A) 사회과학 고전강독 9(M2170.007400)
커뮤니케이션의 이해(복,부전 전필)(200.113A*) 커뮤니케이션학 입문(주전공 전필)(M1312.002900*) 정보문화기술입문(정)(2114.304*) 저널리즘의 이해(211.202A) 사회과학 고전강독 9(M2170.007400)
2학년
언론정보문화특강(211.230*) 커뮤니케이션 양적연구방법론(M1312.004100*) 커뮤니케이션이론1(M1312.003000*)
언론정보문화특강(211.230*) 커뮤니케이션 양적연구방법론(M1312.004100*) 커뮤니케이션이론1(M1312.003000*)
설득커뮤니케이션(격)(211.225) 커뮤니케이션학사(211.228) 대인커뮤니케이션(격)(211.313) 디지털 미디어의 이해(211.320B) 탐사보도 분석과 기획(211.323B) 영상 문화 입문(M1312.001000)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분석(M1312.003100*)
한국미디어사(211.214A) 데이터 저널리즘(M1312.000800) 저널리즘 심층 글쓰기(M1312.001400) 미디어테크놀로지의 과거와 미래(M1312.002000) 미디어와 문화콘텐츠(M1312.002300) 한류와 글로벌 대중문화(M1312.003200)
3학년
미래뉴스실습 I(M1312.001500) 미래뉴스실습 II(M1312.001600)
미래뉴스실습 I(M1312.001500) 미래뉴스실습 II(M1312.001600)
정보문화세미나(정)(2114.420)
인터넷 시대의 읽기와 쓰기(격)(211.328) 현대문화의 이해(211.321A) 인터넷과 디지털문화(211.326A) 커뮤니케이션특강(211.408A) 영화론(M1312.001100) 미디어, 문화, 도시(M1312.002200) AI와 미디어(M1312.002800)
비판커뮤니케이션론(211.303) 정치커뮤니케이션(211.311) 커뮤니케이션, 문명, 사회변동(211.227A) 미디어법률과 제도(211.324A) 언론의 자유와 소통의 예절(M0000.016500) 커뮤니케이션 질적연구방법론(격)(M1312.004200) 헬스 커뮤니케이션의 이해(M1312.003300) 미디어 거버넌스(M1312.003800)
4학년
미디어 현장연습(211.423) 언론 현장 현습(211.424)
미디어 현장연습(211.423) 언론 현장 현습(211.424)
HCI이론 및 실습(정)(2114.408A) 비주얼라이제이션(정)(2114.411)
광고론(211.417) 현대 저널리즘 이론과 분석(211.412A)
컴퓨터매개커뮤니케이션(격)(211.420) 글로벌 커뮤니케이션(211.402A) 커뮤니케이션 효과연구(211.414A) PR론(211.418A) 기술비평(M1312.001800)
(*) 전공필수 교과목
(격) 격년개설 교과목
(정) 연합전공 정보문화학 개설 교과목
[출처]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공식 홈페이지 > 학부 > 교과과정 > 전공이수 표준형태 https://communication.snu.ac.kr/학부/교과과정/전공이수-표준형태/#none (검색일: 2024년 6월 25일)
이수 규정은 입학 연도를 기준으로 따르면 됩니다.
주전공으로 진입한 경우 주전공 이수 규정을 따르면 됩니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6월 25일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행정실 이메일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2) 타학과 개설 인정 교과목

타 학과(부) 개설 전공선택 인정 과목은 최대 9학점까지 인정한다.
단, 언론정보학 주전공 학생이 정보문화학 개설교과목을 수강하는 경우, 12학점 범위 내에서 전공으로 인정한다.
언론정보학 심화 전공시(단일 전공시), 전공 과목 60학점 이상을 이수해야 한다. 이때 타 학과(부) 개설 전공선택 인정 과목은 최대 18학점까지 인정하되, 이 중 연합전공 정보문화학을 제외한 다른 학과(부)의 과목은 최대 12학점까지 인정한다.

2024학년도 이후

대학
학과
교과목 코드
교과목명저널
교과구분
학점- 이수시간- 실험
인문대학
언어학과
108.317
사회언어학
전선
3-3-0
인문대학
미학과
115.402
영상미학
전필
3-3-0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205.301
현대사회학이론
전선
3-3-0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205.334
정보사회와 사이버사회
전선
3-3-0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206.338
문화와 의사소통
전선
3-3-0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206.340
스포츠, 여가, 문화
전선
3-3-0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207.230
사회심리학 및 실험
전선
3-2-2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207.320A
조직심리학
전선
3-3-0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부(정치학전공)
216A.414
현대정치사상
전선
3-3-0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부(외교학전공)
216B.328A
정보세계정치론
전선
3-3-0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부(외교학전공)
216B.415
국제문화론
전선
3-3-0
사회과학대학
연합전공 정보문화학*
2114.304
정보문화기술입문
전필
3-2-2
사회과학대학
연합전공 정보문화학*
2114.305
문화컨텐츠의 이해
전필
3-3-0
사회과학대학
연합전공 정보문화학*
2114.403A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전선
3-3-0
사회과학대학
연합전공 정보문화학*
2114.407
가상현실입문
전선
3-3-0
사회과학대학
연합전공 정보문화학*
2114.408A
HCI이론 및 실습
전선
3-3-0
사회과학대학
연합전공 정보문화학*
2114.411
비주얼라이제이션
전선
3-3-0
사회과학대학
연합전공 정보문화학*
2114.412
인터넷과 지식기술
전선
3-3-0
사회과학대학
연합전공 정보문화학*
2114.420
정보문화세미나
전선
3-3-0
사회과학대학
연합전공 정보문화학*
M1313.000600
디지털 에쓰노그래피
전선
3-3-0
사회과학대학
연합전공 정보문화학*
M1317.000600
디자인 사고와 커뮤니케이션
전선
3-2-2
경영대학
경영학과
251.425
광고관리론
전선
3-3-0
미술대학
M1766.000200
미술과 문화이론
전선
3-3-0

2020 ~ 2023학년도

대학
학과
교과목코드
교과목명저널
교과구분
학점-이수시간-실험
인문대학
언어학과
108.307
사회언어학
전선
3-3-0
인문대학
미학과
115.402
영상미학
전필
3-3-0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205.218B
영상사회학
전선
3-3-0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205.301
현대사회학이론
전선
3-3-0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206.338
문화와 의사소통
전선
3-3-0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206.340
스포츠, 여가, 문화
전선
3-3-0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207.230
사회심리학 및 실험
전선
3-2-2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207.320A
조직심리학
전선
3-3-0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부(정치학전공)
216A.414
현대정치사상
전선
3-3-0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부 (외교학전공)
216B.328A
정보세계정치론
전선
3-3-0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부 (외교학전공)
216B.415
국제문화론
전선
3-3-0
사회과학대학
연합전공 정보문화학*
2114.304
정보문화기술 입문
전필
3-2-2
사회과학대학
연합전공 정보문화학*
2114.305
문화컨텐츠의 이해
전필
3-3-0
사회과학대학
연합전공 정보문화학*
2114.403A
인터렉티브 스토리텔링
전선
3-3-0
사회과학대학
연합전공 정보문화학*
2114.407
가상현실입문
전선
3-3-0
사회과학대학
연합전공 정보문화학*
2114.408A
HCI 이론 및 실습
전선
3-3-0
사회과학대학
연합전공 정보문화학*
2114.411
비주얼라이제이션
전선
3-3-0
사회과학대학
연합전공 정보문화학*
2114.412
인터넷과 지식기술
전선
3-3-0
사회과학대학
연합전공 정보문화학*
2114.420
정보문화세미나
전선
3-3-0
사회과학대학
연합전공 정보문화학*
M1313.000600
디지털 애쓰노그래피
전선
3-3-0
사회과학대학
연합전공 정보문화학*
M1317.000600
디자인 사고와 커뮤니케이션
전선
3-2-2
경영대학
경영학과
251.327
소비자행동
전선
3-3-0
경영대학
경영학과
251.425
광고관리론
전선
3-3-0
미술대학
M1774.007700
기초사진
전선
2-0-4
미술대학
M1766.000200
미술과 문화이론
전선
3-3-0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722.210C
스포츠와 미디어
전선
2-2-0

2014 ~ 2019학년도

대학
학과
교과목코드
교과목명저널
교과구분
학점-이수시간-실험
인문대학
언어학과
108.307
사회언어학
전선
3-3-0
인문대학
미학과
115.402
영상미학
전필
3-3-0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205.218B
영상사회학
전선
3-3-0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205.301
현대사회학이론
전선
3-3-0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206.338
문화와 의사소통
전선
3-3-0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206.340
스포츠, 여가, 문화
전선
3-3-0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207.230
사회심리학 및 실험
전선
3-2-2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207.320A
조직심리학
전선
3-3-0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구(정치학전공)
216A.414
현대정치사상
전선
3-3-0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부(외교학전공)
216B.328A
정보세계정치론
전선
3-3-0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부(외교학전공)
216B.415
국제문화론
전선
3-3-0
사회과학대학
연합전공 정보문화학
2114.303B
디지털영상실습1
전선
3-2-2
사회과학대학
연합전공 정보문화학
2114.304
정보문화기술입문
전필
3-2-2
사회과학대학
연합전공 정보문화학
2114.309
게임의 이해
전선
3-3-0
사회과학대학
연합전공 정보문화학
2114.403A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전선
3-3-0
사회과학대학
연합전공 정보문화학
2114.408A
HCI이론 및 실습
전선
3-3-0
사회과학대학
연합전공 정보문화학
2114.412
인터넷과 지식기술
전선
3-3-0
경영대학
경영학과
251.327
소비자행동
전선
3-3-0
경영대학
경영학과
251.425
광고관리론
전선
3-3-0
미술대학
M1774.007700
사진
전선
2-0-4
미술대학
600.309
사진의 역사와 이론
전선
3-3-0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722.210C
스포츠미디어
전선
2-2-0
[출처]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공식 홈페이지 >학부 >교과과정 >인정과목 https://communication.snu.ac.kr/학부/교과과정/인정과목/ (검색일: 2024년 6월 25일) [출처]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공식 홈페이지 > 학부 > 교과과정 > 이수규정 https://communication.snu.ac.kr/학부/교과과정/이수규정/ (검색일: 2024년 6월 25일)

(3) 선이수/후이수

데이터 저널리즘(M1312.000800) 선수과목: 정보문화기술입문(2114.304)
커뮤니케이션이론 1(M1312.003000) 선수과목: 교양 - 사회과학글쓰기, 말하기와 토론
[출처]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공식 홈페이지 > 학부 > 교과과정 > 전공이수 표준형태 https://communication.snu.ac.kr/학부/교과과정/전공이수-표준형태/#none (검색일: 2024년 6월 25일)

(4) 로드맵

[출처]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공식 홈페이지 > 교육·학생지원 > 예비대학 > 예비대학 수강가이드 > 언론정보학과 https://ctl.snu.ac.kr/didimdol/social_media.html (검색일: 2024년 7월 18일)

2. 졸업 교양 규정

자전 교양 규정만 이수하면 됩니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6월 25일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행정실의 이메일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3. 추가 특별 규정

졸업논문을 제출해야 합니다.
입학 연도별로 전공필수 과목에 차이가 있습니다. 입학 연도보다 늦은 년도의 규정을 선택하여 이수가 가능합니다.
2024학년도 이후: 전공필수 과목은 커뮤니케이션학 입문(M1312.002900), 커뮤니케이션이론1(M1312.003000), 커뮤니케이션 양적연구방법론(M1312.004100), 언론정보문화특강(211.230),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분석(M1312.003100), 그리고 연합전공 정보문화학 개설교과목인 정보문화기술입문(2114.304)으로, 총 16학점이다.
2021~2023학년도: 전공필수 과목은 커뮤니케이션학 입문(M1312.002900), 커뮤니케이션이론1(M1312.003000), 커뮤니케이션양적방법론(M1312.000900), 언론정보문화특강(211.230),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분석(M1312.003100), 그리고 연합전공 정보문화학 개설교과목인 정보문화기술입문(2114.304)으로, 총 16학점이다.
2020학년도: 전공필수 과목은 커뮤니케이션의이해(200.113A), 커뮤니케이션이론1(M1312.003000) (구 커뮤니케이션이론(211.301)), 커뮤니케이션양적방법론(M1312.000900), 언론정보문화특강(211.230), 그리고 연합전공 정보문화학 개설교과목인 정보문화기술입문(2114.304) 등 네 과목으로, 총 13학점이다.
2016~2019학년도: 전공학점 39학점 중 전공 필수과목 13학점(커뮤니케이션의이해(200.113A), 커뮤니케이션이론(211.301), 커뮤니케이션양적방법론(M1312.000900), 언론정보문화특강(211.230), 정보문화기술입문(2114.304))을 포함하여 언론정보학과 개설 교과목을 30학점 이상 이수해야 한다.
2012~2015학년도: 전공학점 39학점 중 전공 필수과목 10학점(커뮤니케이션의이해(200.113A), 커뮤니케이션이론(211.301), 커뮤니케이션연구방법(211.315), 언론정보문화특강(211.230))을 포함하여 언론정보학과 개설 교과목을 30학점 이상 이수해야 한다.
[출처]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공식 홈페이지 > 학부 > 교과과정 > 이수규정 https://communication.snu.ac.kr/학부/교과과정/이수규정/ (검색일: 2024년 6월 25일)

4. 전탐 추천 과목

커뮤니케이션학 입문 (’커뮤니케이션의 이해’는 복수/부전공생 대상 교과목으로, 주전공생은 ‘커뮤니케이션학 입문’을 수강해야 합니다. 진입 전에 ‘커뮤니케이션의 이해’를 수강하는 경우 진입 후 전선으로 인정됩니다.)
저널리즘의 이해
디지털 미디어의 이해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6월 25일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행정실 이메일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매주 다른 언론정보학과 교수님께서 수업을 해주시는데 관심있는 커뮤니케이션 분야를 찾을 수 있고 S/U라 부담도 없을 뿐더러, 시험이 각 교수님이 내신 총 문제 중에서 3개 골라 맘에 드는 거 푸는 거라 매우 easy 함 (23학번, 2024-1 진입자, 2024.07 작성)

5. 전공 리뷰

음.. 내가 진짜 언정을 사랑하고 이론적이고 철학적인 것이 좋고 모든 말에 태클걸면서 비판할 점 찾는 것을 좋아하는 것이 아닌 이상 정보문화학에 진입하는 것을 추천드려요 ㅎㅎ (23학번, 2024-1 진입자, 2024.07 작성)
교수님들의 관심분야나 수업방식이 다양하기 때문에 호불호가 확실히 갈려요!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과목에서 13명의 교수님이 들어오셔서 수업을 진행하는데, 이때 자신의 관심분야나 선호 교수님을 결정하는 것도 좋을 것같아요! 수업이 항상 꾸준히 열리는 것이 아니다 보니 자신이 듣고 싶은 과목이 언제 열리는지, 교수님께서언제 강의를 여시는 지 등을 미리미리 알아보고 계획을 짜는 것이 필요해요! (익명의 진입자)
(21년 전공교육국 첨언: ‘커뮤니케이션의 이해’는 복부전생용 강좌로 전환되었고, 주전공생은 ‘커뮤니케이션학입문’을 수강해야 합니다.)
언론정보학은 사회대 중에서도 양적연구, 질적 연구들의 특성이 혼재되어 있는 학문이기에 자신이 정말로 원하는 학업인지 고민해보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익명의 진입자)
교수님들이 정말 아는 게 많으세요! (수업과 무관한 말씀을 정말 많이 하세요.) (익명의 진입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