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치: 25-1동 318A호
•
행정실 전화번호: 02-885-6756
1. 전공 수업 규정
(1) 전공교과목 목록
전필 18학점 + 전선 21학점 → 총 39학점
1학기 | 2학기 | |
2학년 | 계산과학의 이해(3349.201A*)
계산과학이론 및 실습 1(3349.203*)
계산과학의 기초와 역사(3349.205A) | 계산과학이론 및 실습 2(3349.204*)
계산과학 모델과 데이터 1(3349.206) |
3학년 | 수치선형대수(881.319)
과학적 가시화의 기초 및 실습(3349.308)과학계산개론(3341.353*)
자료구조(4190.204) | 수치해석개론(881.320)
선형 및 비선형 계산모델(4190.313)
알고리즘(4190.407)
데이터과학(3349.309*) |
4학년 | 언어와 정보처리(108.417)
컴퓨터 애니메이션(4190.417) | 언어와 정보처리(108.417)
응용 계산과학(3349.406)
계산과학 주제연구(3349.401)
계산과학 종합설계(3349.404*) |
•
전공필수 교과목의 경우, 교과 번호 뒤에 * 표시를 해두었습니다.
•
‘계산과학 종합설계(3349.404)’는 4학년 1, 2학기 모두 개설됩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연합전공 계산과학 홈페이지 > 교과과정 > 전공과목 http://uipcs.snu.ac.kr/menu04_curriculum/curriculum_sub01.php (검색일: 2024년 6월 25일)
(2) 타학과 개설 인정 교과목
타학과 개설 인정 교과목이 100개 이상 되는 관계로 이 페이지에 싣지 않았습니다.
서울대학교 연합전공 계산과학 > 교과과정 > 학점인정 페이지로 들어간다면 더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연합전공 계산과학 > 교과과정 > 학점인정 http://uipcs.snu.ac.kr/menu04_curriculum/curriculum_sub02.php (검색일: 2024년 6월 25일)
(3) 선이수/후이수
딱히 정해져 있는 선이수, 후이수 과목은 없습니다. 전공표준이수형태를 참고하셔서 강의들을 수강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참고] 2024년 업데이트 이전 수록 정보
2. 졸업 교양 규정
•
자전 교양 규정만 이수하면 됩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홈페이지>교육>대학>교과과정> Explanation_kor_2022 https://www.snu.ac.kr/academics/undergraduate/curriculum (검색일: 2024년 06월 25일)
3. 추가 특별 규정
•
졸업논문을 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다만, 졸업논문까지는 아니지만, 전공필수 과목인 ‘계산과학 종합설계(3349.404)’를 들으면, 졸업논문을 쓴 것으로 간주하신다고 하셨습니다.
[참고] 2024년 업데이트 이전 수록 정보
4. 전탐 추천 교과목
•
계산과학의 이해(3349.201A)
[참고] 2024년 업데이트 이전 수록 정보
5. 전공 리뷰
•
수학과에서 하는 일을 컴퓨터 코딩으로 하는 작업이 많은 것 같아요! 그리고 파이썬을 주로 사용하고, 선형대수학이 엄청 필수적이에요. 응용계산과학 느낌으로 실제 데이터 분석이나 게임 제작 같은 것도 하기는 하는데, 그렇게 많이 하는 편은 아니에요. 그리고 연합전공이다 보니까 잘 안 열리는? 전공과목들이 많아서 다른 수학 수업들을 듣고 과사에서 인정신청을 개별적으로 부탁해야 하는 경우가 있어서 조금 번거로울 수는 있어요 :) 정말 복잡한 데이터의 “계산”을 위한 프로그램 제작의 느낌이랄까요. (17학번 김유연 진입자)
•
수학에서 증명보다는 컴퓨터를 통해서 방정식의 해를 찾는데 관심을 갖는 계산과학학과 수학과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두루두루 배워볼 수 있어요. (09학번 최필준 진입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