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회
home
학생회 소개
home

아시아언어문명학부

행정실 위치
5동 313호
분류
인문대학
행정실 전화번호
02-880-6009
위치 : 서울대학교 5동 313호
행정실 전화번호 : 02-880-6009

1. 전공 수업 규정

주전공생 : 전필 6학점 (아시아문명론입문, 아시아연구지도) + 전선 33학점 → 총 39학점
복수전공생 : 전필 6학점 (아시아문명론입문, 아시아연구지도) + 전선 33학점 → 총 39학점
부전공생 : 전필 없음 + 전선 21학점 → 총 21학점
[출처]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 공식 홈페이지 > 학부 > 학부 규정 > 일본/동남아시아/인도/서아시아언어문명전공 이수규정 > 학번별 졸업이수규정표 학부규정 2 페이지 |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snu.ac.kr) (검색일: 2024년 6월 28일)

(1) 전공교과목목록

① 일본 언어문명전공
학년yr.\ 학기sem.
1
2
1
‘아시아문명론입문(1003.221)’** ‘일본문명의 이해(100.171)’<전공탐색> '집중일본어 1(1003.271)’
'집중일본어 2(1003.272)' '일본 근대 시각문화(M2169.009200)’
2
'일본문헌강독 1(1003.275)' '전후 일본 문화와 예술(M2753.000400)'<홀>
'아시아문명교류사(1003.321)'*<홀> '일본 전통 문화와 예술(1003.274)' '일본문헌강독 2(1003.276)'
3
'일본고전문학(1003.301)' '일본근대문학(1003.371A) '전후 일본사회와 영화(M2753.000200)’
'아시아문명연구의 시각(1003.421)'* '일본현대소설(1003.375)' '일본의 사상과 문명(1003.373A)’
4
'아시아연구지도(M2641.000300)'** ※ 아시아연구지도는 2023년도부터 1학기에만 개설될 예정임 '일본문헌 번역연습(1003.474)' '일본론 특강(M2753.000100)' (임시적 폐지 상태)
'일본문명특강(1003.473)’
[출처]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 공식 홈페이지 > 학부 > 교과 과정 > 일본 언어문명전공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snu.ac.kr) (검색일: 2024년 6월 28일)
** 표시는 전공필수, * 표시는 아언문 공통교과목입니다.
아시아문명론입문, 아시아연구지도는 전공필수교과목입니다.
권장교양교과목은 ‘고급일본어 1(032.065)’, ‘고급일본어 2(032.066)’입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 공식 홈페이지 > 학부 > 교과 과정 > 일본 언어문명전공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snu.ac.kr) (검색일 : 2024년 6월 28일)
부전공생의 경우, 2018-2학기 진입까지는 ‘아시아문명론입문(1003.221)’이 전공필수과목으로 존재하였으나, 2019-1학기 진입부터는 부전공생에 한하여 전공필수가 없습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 공식 홈페이지 > 학부 > 학부 규정 > 일본/동남아시아/인도/서아시아언어문명전공 이수규정 > 학번별 졸업이수규정표 학부규정 2 페이지 |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snu.ac.kr) (검색일: 2024년 6월 28일)
주전공생의 경우 입학연도를 기준으로하여 졸업 요건을 적용하고, 복수전공생과 부전공생의 경우 진입연도를 기준으로 졸업 요건을 적용합니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6월 28일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행정실의 이메일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② 동남아시아 언어문명전공
학년yr.\ 학기sem.
1
2
1
'아시아문명론입문(1003.221)'** '동남아시아 문학의 이해(M2751.000300)’
'동남아시아문명의 이해(100.170)'<전공탐색>
2
'동남아시아의 종교와 문명(1003.251)' '집중 타이어 1(1003.255)'<홀> '세계사 속의 동남아시아(1003.351)’
'아시아문명교류사(1003.321)’*<홀> '동남아시아 문학 특강(1003.254)' '집중 타이어 2(1003.256)'<홀> '동남아시아의 전통예술과 대중문화(M2751.000400)’
3
'말레이-인도네시아어 강독 1(1003.353)' '동남아시아의 사상과 문명(M2641.001900)' '대륙부 동남아시아의 사회와 문화(M2641.002000)
'아시아문명연구의 시각(1003.421)'* '동남아시아 디아스포라의 과거와 현재-지역과 세계(1003.352)' '말레이-인도네시아어 강독 2(1003.354)' '해양부 동남아시아의 사회와 문화(M2641.002100)’
4
'아시아연구지도(M2641.000300)’** ※ 2023년도부터는 1학기에만 개설될 예정임 '동남아시아 문명 특강(1003.452)' '베트남어 강독 1(1003.454)'<짝> '타이어 강독(M2751.000200)’
'베트남어 강독 2(1003.455)'<짝> '동남아시아의 국가와 사회(M2751.000500)’
[출처]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 공식 홈페이지 > 학부 > 교과 과정 > 동남아시아 언어문명전공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snu.ac.kr) (검색일: 2024년 6월 28일)
** 표시는 전공필수, * 표시는 아언문 공통교과목입니다.
아시아문명론입문, 아시아연구지도는 전공필수교과목입니다.
권장교양교과목은 ‘말레이-인도네시아어 1(032.071)’, ‘말레이-인도네시아어 2(032.072)’, ‘베트남어 1(032.075)’, ‘베트남어 2(032.076)’입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 공식 홈페이지 > 학부 > 교과 과정 > 동남아시아 언어문명전공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snu.ac.kr) (검색일: 2024년 6월 28일)
부전공생의 경우, 2018-2학기 진입까지는 ‘아시아문명론입문(1003.221)’이 전공필수과목으로 존재하였으나, 2019-1학기 진입부터는 부전공생에 한하여 전공필수가 없습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 공식 홈페이지 > 학부 > 학부 규정 > 일본/동남아시아/인도/서아시아언어문명전공 이수규정 > 학번별 졸업이수규정표 학부규정 2 페이지 |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snu.ac.kr) (검색일 : 2024년 6월 28일)
주전공생의 경우 입학연도를 기준으로하여 졸업 요건을 적용하고, 복수전공생과 부전공생의 경우 진입연도를 기준으로 졸업 요건을 적용합니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6월 28일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행정실의 이메일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③ 인도 언어문명전공
학년yr.\ 학기sem.
1
2
1
'아시아문명론입문(1003.221)'** '인도의 신화와 예술(1003.111)’
'인도문명의 이해(100.168)'<전공탐색><홀>
2
'인도문학의 이해(1003.211)'<홀> '인도사 1(1003.212)'<짝>
'아시아문명교류사(1003.321)'*<홀> '인도사 2(1003.213)'<짝> '인도의 사상과 종교(1003.312)’
3
'인도고전문학(1003.311)'<짝> '남아시아의 언어(1003.313)' '힌디어강독(1003.315)'<홀> '근·현대 인도의 사회와 문화(M2750.000200)'<홀>
'아시아문명연구의 시각(1003.421)'* '인도현대문학(1003.214)'<짝> '인도 근현대 문화와 예술(1003.314)'<홀>
4
'아시아연구지도(M2641.000300)'** ※ 2023년도부터는 1학기에만 개설될 예정임 '산스크리트어강독 1(1003.411)' '인도문명특강(1003.414)’
'산스크리트어강독 2(1003.412)' '인도사상특강(1003.415)’
[출처]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 공식 홈페이지 > 학부 > 교과 과정 > 인도 언어문명전공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snu.ac.kr) (검색일: 2024년 6월 28일)
** 표시는 전공필수, * 표시는 아언문 공통교과목입니다.
아시아문명론입문, 아시아연구지도는 전공필수교과목입니다.
권장교양교과목은 ‘인도의 전통과 현대(L0547.002700)’<짝수년도 2학기 개설>, ‘산스크리트어 1(032.063)’, ‘산스크리트어 2(032.069)’, ‘힌디어 1(032.070)’, ‘힌디어 2(032.070)’입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 공식 홈페이지 > 학부 > 교과 과정 > 인도 언어문명전공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snu.ac.kr) (검색일: 2024년 6월 28일)
부전공생의 경우, 2018-2학기 진입까지는 ‘아시아문명론입문(1003.221)’이 전공필수과목으로 존재하였으나, 2019-1학기 진입부터는 부전공생에 한하여 전공필수가 없습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 공식 홈페이지 > 학부 > 학부 규정 > 일본/동남아시아/인도/서아시아언어문명전공 이수규정 > 학번별 졸업이수규정표 학부규정 2 페이지 |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snu.ac.kr) (검색일: 2024년 6월 28일)
주전공생의 경우 입학연도를 기준으로하여 졸업 요건을 적용하고, 복수전공생과 부전공생의 경우 진입연도를 기준으로 졸업 요건을 적용합니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6월 28일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행정실의 이메일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④ 서아시아 언어문명전공
학년yr.\ 학기sem.
1
2
1
‘아시아문명론입문(1003.221)’** ‘서아시아문명의 이해(100.169)’<전공탐색>
‘서아시아 문학의 이해(M2752.000400)’
2
‘고대서아시아문명(1003.231)’ ‘집중페르시아어 1(1003.234)’ ‘이슬람세계 예술의 이해(M2752.001200)’<짝>
‘아시아문명교류사(1003.321)’*<홀> ‘이슬람문명의 기원과 전개(1003.232)’ ‘고대서아시아 신화와 문학(1003.233)’ ‘집중페르시아어 2(1003.235)’
3
‘중급 아랍어 1(M2169.007700)’ ‘중급 터키어 1(M2752.001500)’ ‘이슬람 고전 강독(M2752.000300)’ ‘이슬람 사상과 근현대 서아시아(M2752.001100)’
‘아시아문명연구의 시각(1003.421)’* ‘중급 아랍어 2(M2752.001400)’ ‘중급 터키어 2(M2752.001600)’ ‘이슬람의 다양성:순니와 시아(M2641.000200)’ ‘서아시아 언어의 세계(M2752.001000)’
4
‘아시아연구지도(M2641.000300)’** ※ 2023년도부터는 1학기에만 개설될 예정임 ‘페르시아어강독 1(1003.433)’ ‘서아시아 문명 특강(M2752.000500)’ ‘고급 아랍어 1(M2752.000600)’ ‘고급 터키어 1(M2752.000800)’
‘중동현대사의 쟁점들(1003.432)’ ‘페르시아어강독 2(1003.434)’ ‘고급 아랍어 2(M2752.000700)’ ‘고급 터키어 2(M2752.000900)’ ‘이슬람 사상 특강(M2752.001300)’
[출처]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 공식 홈페이지 > 학부 > 교과 과정 > 서아시아 언어문명전공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snu.ac.kr) (검색일: 2024년 6월 28일)
** 표시는 전공필수, * 표시는 아언문 공통교과목입니다.
아시아문명론입문, 아시아연구지도는 전공필수교과목입니다.
권장교양교과목은 ‘아랍어 1(032.067)’, ‘아랍어 2(032.068)’, ‘터키어 1(032.073)’, ‘터키어 2(032.074) ’입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 공식 홈페이지 > 학부 > 교과 과정 > 서아시아 언어문명전공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snu.ac.kr) (검색일: 2024년 6월 28일)
부전공생의 경우, 2018-2학기 진입까지는 ‘아시아문명론입문(1003.221)’이 전공필수과목으로 존재하였으나, 2019-1학기 진입부터는 부전공생에 한하여 전공필수가 없습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 공식 홈페이지 > 학부 > 학부 규정 > 일본/동남아시아/인도/서아시아언어문명전공 이수규정 > 학번별 졸업이수규정표 학부규정 2 페이지 |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snu.ac.kr) (검색일: 2024년 6월 28일)
주전공생의 경우 입학연도를 기준으로하여 졸업 요건을 적용하고, 복수전공생과 부전공생의 경우 진입연도를 기준으로 졸업 요건을 적용합니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6월 28일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행정실의 이메일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공통 교과목
‘아시아문명론 입문(1003.221)’ - 전필, 1학년, 매년 1학기 개설
‘아시아문명교류사(1003.321)’ - 전선, 2학년, 홀수해 2학기 개설
‘아시아문명연구의 시각(1003.421)’ - 전선, 3학년, 매년 2학기 개설
‘아시아연구지도(M2641.000300) ’ - 전필, 4학년, 1학기 개설
[출처]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 공식 홈페이지 >학부 > 교과과정 > 공통 교과목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snu.ac.kr) (검색일: 2024년 6월 28일)

(2) 타학과 개설 인정 교과목

① 일본언어문명전공
3과목 이내로만 전공 인정 가능
학과
교과목
고고미술사학과
‘일본의 미술(M1265.000100)’
역사학부
‘개관일본사(M3545.002400)’
역사학부
‘일본근현대사 1(M3545.000500)‘
역사학부
‘일본근현대사 2(M3545.000600)’
역사학부
‘일본고중세사(M3545.000800)’
역사학부
‘일본사 특강(M3545.000700)’
역사학부-연합전공 동아시아비교인문학
‘동아시아비교문학론(M3563.000100)’
역사학부-연합전공 동아시아비교인문학
‘동아시아비교인문학특강(M3563.000500)’
종교학과
‘일본종교(114.325)’
사회학과
‘일본과 동아시아(205.345A)’
정치외교학부
‘일본과 국제관계(216B.341)’
정치외교학부
’일본정치론(216A.207)’
인류학과
‘일본문화의 이해(206.219B)’
인류학과
‘일본학입문(M3236.000100)’
[출처]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 공식 홈페이지 >학부 > 교과과정 > 일본 언어문명전공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snu.ac.kr) (검색일: 2024년 6월 28일)
② 동남아시아언어문명전공
3과목 이내로만 전공 인정 가능
학과
교과목
역사학부
‘동남아시아의 역사와 해상무역(M3545.001500)’
역사학부
‘개관베트남사(M3545.001600)’ - 2019-2부터 적용
역사학부
‘동남아시아 및 주변의 역사와 기억(M3545.001700)’ - 2020-2부터 적용
인류학과
[206.229A] 동남아문화의 이해(Understanding Southeast Asian Culture)
아시아언어문명학부 서아시아언어문명전공
‘이슬람세계 예술의 이해(M2752.001200)’ - 2016년 2학기 이수내역부터 인정
정치외교학부
‘동남아의 정치와 외교(216B.427)’ - 2016년 2학기 이수내역부터 인정
[출처]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 공식 홈페이지 >학부 > 교과과정 > 동남아시아 언어문명전공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snu.ac.kr) (검색일: 2024년 6월 28일)
③ 인도언어문명전공
3과목 이내로만 전공 인정 가능
학과
교과목
고고미술사학과
‘인도의 미술(116.217B)’
철학과
‘인도불교철학(100.146A)’
종교학과
‘인도종교(114.204)’
작곡과
‘인도음악(6522.3425 )’
아시아언어문명학부 서아시아언어문명전공
‘이슬람세계 예술의 이해(M2752.001200)’ - 2016년 2학기 이수내역부터 인정
[출처]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 공식 홈페이지 >학부 > 교과과정 > 인도 언어문명전공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snu.ac.kr) (검색일: 2024년 6월 28일)
④ 서아시아언어문명전공
3과목 이내로만 전공 인정 가능
학과
교과목
역사학부
‘근세무슬림제국과 그 유산(M3545.001800)’
역사학부
‘서아시아사 특강(M3545.001900)’
종교학과
‘이슬람교개론(114.214)’
종교학과
‘고대종교(114.412)’
정치외교학부
’중동/아프리카 지역연구(216B.345)’
[출처]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 공식 홈페이지 >학부 > 교과과정 > 서아시아 언어문명전공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snu.ac.kr) (검색일: 2024년 6월 28일)

(3) 선이수/후이수

일본문헌강독을 제외한 어학 수업의 경우 1수업을 2수업보다 먼저 들어야 합니다. 그 외에는 별다른 선이수/후이수 규정이 없습니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6월 28일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행정실의 이메일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2. 졸업 교양 규정

소그룹고전원전읽기 1회 이상 수강, 제2외국어 1과목 C 이상의 성적으로 이수, 교내 외국어 진행 강의 3과목 이상 수강의 조건이 아시아언어문명학부에 진입한 자유전공학부 학생에게 적용됩니다.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학부규정 1 페이지 |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snu.ac.kr) 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글쓰기와 영어 교양은 자유전공학부 기준을 따릅니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6월 28일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행정실의 이메일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2020-1학기부터 외부학점(국내외 타대학, 타과부 개설 교과목)이 총계 주·복전 13학점까지, 부전 10학점까지 인정됩니다.
아래는 2024-1학기부터 주전공, 복수전공생에게 해당되는 내용입니다.
⓵ 주전공을 제외한 3개 세부전공 중 1과목 필수 이수
⓶ 주전공을 제외한 3개 세부전공 중 최대 2과목까지 전선으로 인정
⓷ ⓵,⓶는 아시아언어문명학부 개설 교과목에 한함. (타과부 개설 전선인정 교과목 불인정)
[출처]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 공식 홈페이지 > 학부 > 학부 규정 > 일본/동남아시아/인도/서아시아언어문명전공 이수규정 학부규정 2 페이지 |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snu.ac.kr) (검색일: 2024년 6월 28일)

3. 추가 특별 규정

주전공생, 복수전공생의 경우 졸업 논문 제출 필수입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 공식 홈페이지 > 학부 > 학부 규정 > 일본/동남아시아/인도/서아시아언어문명전공 이수규정 > 학번별 졸업이수규정표 학부규정 2 페이지 |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snu.ac.kr) (검색일: 2024년 6월 28일)
아시아언어문명학부의 각 전공은 단일전공(심화전공) 이수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아언문 주전공생은 아언문 내 다른 전공을 부전공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규정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 공식 홈페이지 > 학부 > 학부 규정 > 학부 내 세부전공간 부전공 관련 내규 일본/동남아시아/인도/서아시아언어문명전공 이수규정 > 학번별 졸업이수규정표 학부규정 2 페이지 |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snu.ac.kr) (검색일: 2024년 6월 28일)

4. 전탐 추천 교과목

‘일본문명의 이해(100.171)’, ‘동남아시아문명의 이해(100.170)’, ‘인도문명의 이해(100.168)’, ‘서아시아문명의 이해(100.169)’는 학부에서 지정한 전공 탐색용 과목입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 공식 홈페이지 > 학부 > 교과 과정 > 일본/동남아시아/인도/서아시아 언어문명전공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snu.ac.kr) (검색일: 2024년 6월 28일)

5. 전공 리뷰

아시아언어문명학부는 서아시아 전공, 동남아시아전공, 일본 전공, 인도 전공의 총 4개의 세부전공으로 나뉜다. 주로 각 문화의 역사, 정치, 종교 등의 문화 전반에 대해 배우며, 지역학에 가까운 전공이라고 할 수 있겠다. 또한 서구 중심의 오리엔탈리즘 시각에서 벗어나 아시아의 정체성에 대해 공부한다. (익명의 진입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