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회
home
학생회 소개
home

식품영양학과

행정실 위치
222동 101호
분류
생활과학대학
행정실 전화번호
02-880-6831
위치: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222동 101호
행정실 전화번호: 02-880-6831

1. 전공 수업 규정

(1) 전공교과목목록

다른전공병행이수의 경우 주전공학점: 48학점 (15학번~)
학년
1학기
비고
1
M2174.001600  생활과학신입생세미나 (구 생활과학의 이해 / 생활대 1학년 전필) (1학점) M1460.000600 식품영양학의 이해 (1학점)
2
352.210 생화학 (4학점) 352.216 인체생리학 (3학점) 352.217B 식품화학 (4학점) M1460.000700 식품영양커뮤니케이션* (3학점)
*격년개설
3
352.302B 고급영양학 (3학점) 352.323A 식품분석실험 (3학점) 352.324B 단체급식관리 및 실습 (3학점) M0000.016800 실험조리 및 관능검사실습 (3학점)
4
352.419B 식품위생학 (3학점) 352.422 분자영양학* (2학점) M1460.001000 지역사회영양학 (3학점) M1460.001300 임상영양학 및 실험* (3학점) M1460.000300 식품영양산업연구 인턴십 1 (1학점)
*격년개설
방학기실시
352.325 영양사현장실습 (2학점)
[출처] 식품영양학과 홈페이지 > 학부안내 > 교과과정 > 교과과정 https://foodnutrition.snu.ac.kr/교과과정-2/#none (검색일: 2024년 7월 10일)
전공 필수과목으로는 생활과학신입생세미나(구 생활과학의 이해)를 이수해야 합니다.
학년
2학기
비고
1
352.209 유기화학 (3학점) M1460.001200 식생활문화 및 실습 (3학점)
2
352.213B 급식경영학 (2학점) 352.215 조리원리 및 실습 (3학점) 352.327B 기초영양학 (3학점)
3
352.306 식이요법 및 실험 (4학점) 352.326A 생애주기영양학 (3학점) 352.329A 식품미생물학 및 실험 (4학점) 352.351A 식품재료학 (3학점) M1460.002300 식품영양연구 (1학점)
4
352.401A 식생활관리학 및 실험* (3학점) 352.404A 식품가공 및 저장학* (3학점) M0000.016700 영양평가 및 실습 (3학점) M1460.000500 식품영양정책* (2학점) M1460.000400 식품영양산업연구인턴십 2 (1학점) M1460.002400 영양정보관리 및 상담* (2학점)
*격년개설
방학기실시
352.325 영양사현장실습 (2학점)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7월 15일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행정실의 이메일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주전공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입학연도를 기준으로 이수하면 됩니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7월 15일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행정실의 이메일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2) 타학과 개설 인정 교과목

유전학, 물리화학, 미생물학 등 타학과(부) 교과과정에 설정된 교과목을 식품영양학과 전공선택과목으로 인정 요청 시 학과장이 인정하는 교과목에 한하여 9학점 이내에서 전공선택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출처] 식품영양학과 홈페이지 > 학부안내 > 졸업요건 > 전공 이수 규정 https://foodnutrition.snu.ac.kr/전공-이수-규정/ (검색일: 2024년 7월 16일)
위 내용은 자유전공학부 진입생에게도 적용됩니다. 전공선택으로 인정을 원할 경우 학과 교수회의에서 승인을 받아야 하므로, 수강신청 전 수강 과목 정보를 학과에 알려야 합니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7월 15일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행정실의 이메일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3) 선이수/후이수

선이수가 강제되는 과목은 없습니다. 영양사를 이수하고자 하는 경우 영양사현장실습 신청 자격으로 식이요법 및 실험 교과목은 선이수해야 합니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7월 15일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행정실의 이메일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4) 로드맵

[출처] 식품영양학과 홈페이지 > 학부안내 > 교과과정 > 교과과정 https://foodnutrition.snu.ac.kr/교과과정-2/#none (검색일: 2024년 7월 10일)

2. 졸업 교양 규정

교양 이수규정은 자유전공학부 규정을 따르면 됩니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7월 15일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행정실의 이메일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3. 추가 특별 규정

[학부 실적심사]
(1) 식품영양학과 전공자(편입, 전과, 복수전공자, 재입학자 등)은 학부 졸업 시 실적지도교수의 지도하에 실적물을 제출하여야 한다.
(2) 실적심사 신청서 제출: 졸업 학기 초(예: 2022년 2월 졸업예정자-2021년 9월 신청, 2022년 8월 졸업예정자-2022년 3월 신청)에 희망하는 실적심사지도교수를 과사무실에 신청, 취합된 명단을 토대로 교수회의에서 결정한다.
(3) 실적물 제출 : 주제선정(3월 또는 9월 마지막 주 금요일) → 실적물 초고 지도교수 제출(5월 또는 11월 둘째 주 금요일) → 실적심사용 포스터를 지도교수 및 학과 제출(6월 또는 12월 첫째 주 금요일)
(4) 실적심사 : 매학기 6월, 12월 중 실적심사발표회에서 심사용 포스터를 게시하고 평가를 받는다.
모든 학생은 졸업사정 대상자가 되는 학기에 발표함
개인 또는 공동(3인까지) 발표 가능함.
졸업사정 대상자가 되는 시기가 서로 다른 학생들이 공동 연구를 수행한 경우, 각각의 학생은 본인이 졸업사정 대상자가 되는 시기에 각자 공동 연구 결과물을 발표함.
졸업사정 대상자로서 발표를 수행했으나, 졸업이 미뤄진 학생의 경우 실제 졸업 학기에 다시 발표하지 않음.
재학 중 교과목 수강과 별개의 활동으로 이루어진 학술활동의 결과물(예, 학회의 포스터 또는 구두 발표, 각종 학술경연대회 수상 등)을 실적심사물로 제출 가능함.
최우수발표자는 해당 학기 발표자에 한해 수여함. (공동연구자로 참여했으나 실적 심사에 발표하지 않은 학생은 본인의 실적심사 발표 때 심사 대상자가 될 수 있음.)
※ 실적심사제도
포스터 발표 : 졸업학기 초에 관심분야별로 연구실을 배정한 후, 연구실 담당교수님의 지도를 받아 실적(실험, 조사, 리뷰 등)을 생산하여 학기말(6월 또는 12월)에 포스터로 작성 및 발표함.
개인 또는 공동(3인까지) 발표 가능
재학 중 교과목 수강과 별개의 활동으로 이루어진 학술 활동의 결과물 (예, 학회의 포스터 또는 구두 발표, 각종 학술경연대회 수상 등)을 실적 심사물로 제출 가능
[출처] 식품영양학과 홈페이지 > 학부안내 > 졸업요건 > 실적심사 https://foodnutrition.snu.ac.kr/실적심사/ (검색일: 2024년 7월 10일)
[외국어진행강좌 수강의무]
– 2009학번부터 : 영어진행강좌를 전공 1과목을 포함하여 3과목 이상 필수 이수함.
[출처] 식품영양학과 홈페이지 > 학부안내 > 졸업요건 > 전공 이수 규정 https://foodnutrition.snu.ac.kr/실적심사/ (검색일: 2024년 7월 16일)

4. 전탐 추천 교과목

식품영양학의 이해(M1460.000600) 과목 추천합니다.
현재 식품영양학과에서 진행되고 있는 각 분야의 연구를 소개하며, 최근 식품산업체 및 연구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연구 동향 및 국내외의 다양한 최신 이슈를 살펴보는 교과목 입니다.
앞으로 식품영양학을 전공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전공 전반에 대한 기초 지식과 전망을 제시합니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7월 15일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행정실의 이메일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5. 전공 리뷰

아직 작성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