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회
home
학생회 소개
home

연합전공 벤처경영학

행정실 위치
벤처경영기업가센터 59-1동 502호
분류
연합전공
행정실 전화번호
+82-2-880-2636 / 8087
위치: 벤처경영기업가센터 59-1동 502호
행정실 전화번호: +82-2-880-2636 / 8087

1. 전공 수업 규정

(1) 전공교과목목록

전필 15학점 + 전선 24학점 → 총 39학점
1학기
2학기
2학년
M1522.000600 컴퓨터프로그래밍 M1522.000700 논리설계 251.205 회계원리
273.205 상법총론 500.169 식품⋅동물생명공학개론 M1522.000900 자료구조 4190.210 프로그래밍의 원리
3학년
113.343 윤리학 113.352 인식론 113.365 언어철학 M1338.000200 벤처창업론* M1338.000700 제품기획론 M2836.000300 벤처창업웹프로그래밍 2 M2836.000600 신규비즈니스모델개발전략 1 M2836.000800 기술사업화실습 1 251.326 경영정보론 273.304 회사법 273.318 경제법 4190.307 운영체제
113.227 기호논리학 113.345 사회철학 113.463 과학철학 M2136.001500 창조와 혁신* M1338.000400 기술트랜드와 사업기회분석* M2836.000200 벤처창업웹프로그래밍 1 M2836.000700 신규비즈니스모델개발전략 2 M2836.000900 기술사업화실습 2 251.303 인사관리 251.321 마케팅관리 273.312 유가증권법
4학년
M2836.000100 창업론 실습 (1)* M1338.000600 사회적기업의 창업* M1338.000900 벤처사업 기회연구 273.432 산업재산권법 273.438 증권거래법 5252.409 사료학 및 실험 5251.404A 식품가공⋅저장학 1
M1338.000300 창업론 실습 (2) M1338.000800 창업론 특강 251.320 생산관리 251.322 국제경영 5251.407A 식품가공⋅저장학 2 5252.406 경제동물생산학 및 실험 M2836.001000 벤처경영학 특강
[출처] 서울대학교 홈페이지>교육>대학>교과과정>Undergraduate_Course_List_2022 https://www.snu.ac.kr/academics/undergraduate/curriculum (검색일: 2024년 06월 25일)
과목 이수규정
총 이수 전공학점: 39학점
이수규정: 전공필수 15학점, 전공선택 24학점
벤처경영 전필과목은 경영학과 전선과목으로 인정함.
경영학과에서 전공으로 인정하는 모든 교과목을 벤처경영학 전선으로 인정함.
전공선택 학점 중 9학점 이상을 연합전공 벤처경영학에서 개설한 교과목을 이수하여야함 (2020년 1학기 진입생부터 적용함)
[출처] 서울대학교 홈페이지>교육>대학>교과과정>Undergraduate_Course_List_2022 https://www.snu.ac.kr/academics/undergraduate/curriculum (검색일: 2024년 06월 25일)
위의 표와 이수규정은 2022년 자료임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2023년도 진입생부터는 후술된 것처럼 선택적 필수과목이 도입됩니다.
연합전공 벤처경영학 전공 교과목
전공필수
① 벤처 창업론 (Business Venture and Entrepreneurship)
② 창업론 실습 (Entrepreneurship Lab)
③ 기술 트렌드와 사업기회 분석 (Technology & Opportunities)
④ 창조와 혁신 (Creativity and Innovation)
⑤ 사회적 기업의 창업 (Social Entrepreneurship)
⑥ 창업론실습1 / 창업론실습2 (Entrepreneurship Lab 1, Entrepreneurship Lab 2)*
(⑥은 선택적 필수과목으로 두 과목 모두 이수한 경우 한 과목은 전공 선택으로 인정함. 본 이수규정은 2023학년도 연합전공 이수자로 선발된 학생부터 적용하며, 2023학년도 이전에 선발된 학생은 종전 이수규정 또는 해당 이수규정 중 선택하여 이수할 수 있음.)
전공선택
연합전공 벤처경영학 개설 교과목 : 9학점 이상 이수하여야 함
① 제품기획론 (Proof of Concept)
② 미래산업 전망과 이해 (Special Topics in Entrepreneurship)
③ 벤처사업 기회연구 (Exploring Opportunities in Business Venture)
④ 벤처창업 웹프로그래밍 1(Web Programming1 for Entrepreneurship Management)
⑤ 벤처창업 웹프로그래밍 2(Web Programming2 for Entrepreneurship Management)
⑥ 벤처경영학 특강 (Special Topics in Venture Management)
⑦ 벤처캐피탈 개론 (Introduction to Venture Capital)
⑧ 스타트업 해커톤 캠프 (Startup Hackathon Camp)
2023학년도 진입생부터 현재의 규정이 적용된다고 합니다. 그 이전 진입생의 경우, 종전 이수규정 또는 해당 이수규정 중 선택하여 이수할 수 있다고 합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벤처경영기업가센터> 연합전공 벤처경영학> 교과과정 https://ect.snu.ac.kr/venture/curriculum (검색일: 2024년 6월 25일)

(2) 타학과 개설 인정 교과목

인문대학 철학과
① 113.227 기호논리학
② 113.343 윤리학
③ 113.345 사회철학
④ 113.352 인식론
⑤ 113.365 언어철학
⑥113.463 과학철학
경영대학 경영학과
① 251.326 경영정보론
② 251.303 인사관리
③ 251.321 마케팅관리
④ M1338.003000 생산서비스운영
⑤ 251.322 국제경영
⑥ M1338.005200 벤처창업과 투자
위 추천 과목 외에도 경영대학에서 전공으로 인정하는 모든 교과목
공과대학 컴퓨터공학부
① M1522.000600 컴퓨터프로그래밍
② M1522.000700 논리설계
③ M1522.000900 자료구조
④ 4190.210 프로그래밍의 원리
⑤ 4190.307 운영체제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동물생명공학부
① 5251.404A 식품가공·저장학 1
② 5251.407A 식품가공·저장학 2
③ 500.169 식품·동물생명공학개론
④ M1702.000600 경제동물생산학 및 실습
⑤ 5252.409 사료학 및 실험
[출처] 서울대학교 벤처경영기업가센터> 연합전공 벤처경영학> 교과과정 https://ect.snu.ac.kr/venture/curriculum (검색일: 2024년 6월 25일)

(3) 선이수/후이수

특별한 선이수/후이수 관계가 있는 과목은 없다고 합니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6월 26일 서울대학교 연합전공 벤처경영학 행정실의 전화 문의에 대한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2. 졸업 교양 규정

자전 교양 규정만 이수하면 됩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홈페이지>교육>대학>교과과정> Explanation_kor_2022 https://www.snu.ac.kr/academics/undergraduate/curriculum (검색일: 2024년 06월 25일)

3. 추가 특별 규정

졸업논문 심사
졸업논문(보고서): 창업사례실적 보고서 or 창업계획서 1부
실적 심사: 합격/불합격(S/U)
평점기준: 전공과목 성적 2.0 이상
[출처] 서울대학교 벤처경영기업가센터> 연합전공 벤처경영학> 교과과정 https://ect.snu.ac.kr/venture/curriculum (검색일: 2024년 6월 25일)

4. 전탐 추천 교과목

1.
벤처 창업론 (Business Venture and Entrepreneurship)
2.
벤처사업 기회연구 (Exploring Opportunities in Business Venture)
3.
제품기획론 (Proof of Concept)
4.
벤처캐피탈 개론 (Introduction to Venture Capital)
5.
미래산업 전망과 이해 (Special Topics in Entrepreneurship)
6.
창업론 실습 (Entrepreneurship Lab)
4는 캐피탈 쪽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6은 시간적인 여유가 되신다면 추천하신다고 합니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6월 26일 서울대학교 연합전공 벤처경영학 행정실의 전화 문의에 대한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벤경 전공 과목들에 대한 코멘트 벤경 수업은 자유도가 매우 높은 편이라, 어떤 교수님께서 과목을 담당하시는지에 따라 수업 구성과 로드가 많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제가 들었을 당시의 교수님 성함을 기입해둘 테니 같은 교수님이라면 유사하다고 생각해주시면 되고 다른 교수님이 담당하신다면 에타 수강평을 참조하시면 좋겠습니다. 반대로 같은 교수님께서 다른 이름의 수업을 개설하셨다면 그 수업은 제가 남긴 코멘트의 방향성과 유사할 수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1) 벤처창업론(배종훈 교수님): 팀을 이루어 초반에는 교수님께서 제시하시는 창업 관련 질문에 대한 솔루션을 만들어나가는 자잘한 과제들이 많이 있습니다. 수업 중반부부터는 하나의 창업 아이템을 확정해서 기말 발표까지 준비하게 되는데요, 창업 아이템에 대한 교수님의 선호도가 뚜렷하시고 개성적이신 편이라 그 니즈를 맞추기 쉽지 않습니다. 2) 창업론 실습1(오정석 교수님): 매우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팀을 이루어 한 학기 동안 하나의 아이템을 기획, 구체화, 발표하게 됩니다. 교수님께서 굉장히 자유롭게 학생들의 프로젝트를 허용하시는 편인데, 반대로 말하면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제시되지 않아 약간 방향성을 잡기 어려우실 수 있습니다. 3) 창업론 실습2(허가엘 교수님): 린 스타트업, 비즈니스 모델 설계, 고객 인터뷰 등 창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필수적인 이론과 배경지식을 "강의"해주십니다. 3시간 통강 중 1시간 반 정도는 교수님께서 강의를 해 주시고, 1시간 반 정도는 자율적으로 팀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됩니다. 창업 교육 경험이 굉장히 굉장히 많으시고 개별 질문에도 매번 친절하고 전문적으로 응답해주시니, 실제 창업을 염두에 두고 있는 학우님이시라면 교수님께 자주 질문 드려보시면 큰 도움 받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4) 창조와 혁신(노현정 교수님): 무난한 벤경 수업인 것 같습니다. 5) 사회적 기업의 창업(조영정 교수님): 사회적 기업의 개념과 사례에 대한 이론 수업이 대부분 진행되며 팀 프로젝트와 기말 발표도 있습니다. 자잘한 개인 과제가 상당히 많은 편입니다. 6) 미래산업 전망과 이해 / 벤처사업 기회연구(윤영석 교수님): 제가 수업을 들었을 당시에는 다양한 분야의 스타트업 대표님들께서 직접 오셔서 강연을 해주시는 형태로 진행되었고, 3분 가량의 짧은 중간, 기말 아이템 발표가 있는 수업이었는데요, 지금은 다른 교수님께서 수업을 진행하시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20학번 김헌중, 2024-1 진입자, 2024.07 작성)

5. 전공 리뷰

연합전공 벤처경영학이란? 연합전공 벤처경영학은 주로 직접 창업을 하거나 스타트업에서 근무하고 싶은 경우, 혹은 VC쪽 진로를 희망하는 경우에 선택하는 전공입니다. 벤경 수업의 개요 대부분의 벤경 수업은 4~6명 가량의 학우님들과 팀을 이루어 창업 아이템을 기획하고, 사업계획서를 작성하고, 최종적으로 IR 발표를 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창업"이라고 하면 굉장히 어렵고 힘든 과정이라는 느낌이 드실 수 있는데요, 사실 실전에서 사업자를 내고 고객을 유치하고 매출을 내는 "진짜 창업"과 교내 수업에서 진행하는 "팀 프로젝트"는 부담감과 로드 차이가 많이 나니까 처음 수강을 고려하실 때 너무 큰 부담을 갖지 않으셔도 괜찮고, 반대로 너무 큰 기대를 갖지는 않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처음 벤경 수업을 들어보면 '내가 진짜 이 아이템으로 사업을 해야 할 것 같고, 이 팀으로 끝까지 추진해야 할 것 같고...' 하는 생각이 드실 수 있지만 실제로 그렇게 진행되는 확률은 극히 희박하니 조금은 가벼운 마음으로 "약간 빡센 팀플" 정도로 생각하고 도전해보시면 좋겠습니다. (20학번 김헌중, 2024-1 진입자, 2024.07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