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회
home
학생회 소개
home

의류학과

행정실 위치
222동 101호
분류
생활과학대학
행정실 전화번호
(교무) 02-880-6897 (서무) 02-880-6841
위치: 생활과학대학 222동 101호
행정실 전화번호: (교무) 02-880-6897 (서무) 02-880-6841

1. 전공 수업 규정

(1) 전공교과목목록

전필 4학점 + 전선 44학점 → 총 48학점
1학기
2학기
1학년
생활과학신입생세미나(350.101A) 패션과 컬러(M1461.000600) 패션문화사(M1461.000700) 의류소재 기초화학 및 실험(M2174.000400)
패션드로잉(353.213A) 의류소재섬유(353.228) 복식사회심리(353.416A)
2학년
패션일러스트레이션(353.214) 의류소재구성(353.216B) 인체와 의복구성설계(353.226) 패션마케팅(353.333)
의복과 건강(353.227) 3D 패션스튜디오(M1461.002600) 인체공학적 의복 디자인 설계의 기초(M1461.004100) 의복구성실습(353.223A) 의류소재평가(M1431.004300)
3학년
패션머천다이징(353.336) 의류소재염색가공 및 실험(353.332A) 패션산업리더십개발(353.739) 패션디자인발상(M1461.002700) 3D패턴 CAD 및 가상착의 1(M1461.003500) 테일러링(M2174.000900)
의류소재관리 및 실험(353.328) 패션소비자분석(353.337) 테크니컬 디자인(353.435) 패션 컬렉션(M1461.000900) 3D패턴 CAD 및 가상착의 2(M1461.003400) 의복생리학 및 개인보호복 실험(M1461.004000) 패션 테크놀로지(M2174.000700)
4학년
글로벌패션비즈니스(353.335) 한복구성학 및 실습(353.331A) 패션리테일링(353.429A) 패션트렌드 및 디자인기획(353.431D) 스마트의류제조기술(M1461.001400) 우주복의 이해 및 실험(M1461.003800) 액티브웨어 개발(M1461.003900)
한국복식문화사(353.430) 패션산업인턴십(353.434) 패션 e-비즈니스(M1461.000100) 패션마케팅 커뮤니케이션(M2174.000500) 패션과 비주얼머천다이징(M0.009700)
계절 수업
패션디자인 CAD(M2174.001200)
교과목번호 뒤에 * 표시가 된 과목은 전공필수입니다.
계절 수업은 계절 학기에만 개설되는 교과목입니다. 계절 수업은 2~4학년 과정에 들을 것을 권장합니다.
[출처] 의류학과 홈페이지 > 학부안내 >교과과정 https://clothing.snu.ac.kr/교과과정/ (검색일: 2024년 6월 26일)

(2) 타학과 개설 인정 교과목

타학과 개설 인정 교과목이 없다고 합니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7월 9일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행정실의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3) 선이수/후이수

따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7월 9일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행정실의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4) 로드맵

[출처]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공식 홈페이지 > 학부안내 > 교과과정 https://clothing.snu.ac.kr/교과과정/ (검색일: 2024년 7월 20일)

2. 졸업 교양 규정

자전 교양 규정을 따르시면 됩니다.
[출처] 위 내용은 2024년 7월 9일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행정실의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3. 추가 특별 규정

(1) 전공교과목 1과목을 포함하여 3과목 이상의 영어진행강좌를 수강해야 합니다. (교양 수업은 포함하지 않습니다.)
(2) 졸업논문 관련
의류학과 전공 24학점 이상 수료 후 논문 신청 가능합니다.
주/복수 전공자는 3월/9월에 졸업논문작성을 신청하면 의류학과 교수회의를 통해 논문작성 팀과 지도교수가 배정됩니다.
팀과 지도교수 배정 후 지도교수와 면담을 통해 주제를 결정합니다.
졸업논문을 적어도 1년 전에 반드시 구성하여야 하며, 휴학 중에도 작성은 가능합니다.
졸업논문을 신청, 조 편성 및 지도교수 선정한 학기에 바로 졸업논문 발표를 할 수 없습니다.
(3) 생활과학신입생세미나(구:생활과학의 이해)(1학점) : 전과, 편입생 포함 주전공생은 필수로 이수해야 함(전필).
[출처]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홈페이지 > 학과게시판 > 학사과정 > 의류학과 내규 (2024-05)학부 https://clothing.snu.ac.kr/학사과정/document/9424/?keyword=내규 (검색일: 2024년 6월 26일)

4. 전탐 추천 교과목

의류학과 전공 패션문화사(M1461.000700), 의류소재섬유(353.228) 과목 수강을 권장합니다. 또한 지도교수와의 상담을 통해 전공 및 선택과목에 대해 논의할 것을 권장합니다.
[참고] 2024년 업데이트 이전 수록 정보

5. 전공 리뷰

미대 소속이 아닌 만큼 패션디자인이나 미술보다는 머천다이징, 의복설계 관련 교과목들이 더 많습니다. 요구 학점이 많아서 결국 졸업하려면 패션디자인이나 머천다이징 관련 교과목만 골라들을 수는 없다는 점을 아셔야 합니다…! 그래도 손으로 직접 만들고 완성하는 걸 좋아하시는 분들이라면 과제도 정말 즐겁게 할 수 있을 거예요ㅎㅎ (22학번, 2023-1 진입자, 2024.07 작성)
의류학과는 소재, 머천다이징, 패션 디자인과 같은 옷에 있어서의 다양한 분야들에 대해 탐구하는 학과입니다. 소재 관련 수업은 주로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는데, 이론은 소재와 관련된 구조적이고 화학적인 내용을 다루기도 하며 실습 수업에는 화학 실험 혹은 직조 등의 실습을 진행합니다. 머천다이징 쪽 수업은 주로 마케팅을 공부하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디자인 수업은 주로 실습 수업이며, 패턴을 이용하거나 드레이핑을 통해 직접 옷을 만들어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의류학과는 굉장히 좁은 학과라고 생각되기 쉽지만, 사실 그 안에서도 다양한 방면으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학과입니다. 패션과 옷에 관심이 있다면 누구든지 환영합니다! (17학번 차지현 의류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