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치 : 농업생명과학대학
•
행정실 전화번호 : 02-880-4763
1. 전공 수업 규정
•
전필 10학점 + 전선 32학점 => 총 39학점 이상
(1) 전공교과목목록
1학기 | 2학기 | |
2학년 | 300.253 기후학개론
457.203 도시계획
552.224 환경위생학
M1729.000500 기후경제의 이해 M1729.000700 산림환경과 식약용식물학 M1729.001300 환경경영을 위한 경제원론1 | 465.202 에너지환경기술경영
5271.225 경관생태 |
3학년 | 457.311 상수도공학 및 실험
465.319 신재생에너지
538.301 환경경영학(*) 3345.311 환경지구학
538.406 국제환경기구론
538.305 지구환경과 에너지문제
M1729.001400 개발경제학과 환경경영
519.203 토양학 538.304 환경심리학
5241.311 생태경제학 및 실습 | M1586.000100 토양환경생태공학
M1729.001100 환경경영과 지속가능성 분석
538.306 기업과 사회적 책임
M1698.001200 조림학 및 실습
5241.416 산림환경관리실습
538.302A 생태철학과 환경윤리
538.303 지구화시대의 환경과 사회
538.309 환경분석 및 계획 5241.311 생태경제학 및 실습 M1729.001200 지속가능교통체계 |
4학년 | 3346.415 생태학(*)
458.405 환경공학개론
465.435 에너지환경공학 538.401 기후변화협약과 환경기술
538.402 환경정책입문
538.403 생활속의 생태학
538.407 환경경영세미나(*)
M1708.000300 관계배수공학 및 실습 | 208.408 환경보전론
457.404 국토 및 지역계획
458.408 환경생물공학
538.404 환경경영 실습(*)
538.405 산업생태학
5201.404 환경경제학
5241.215A 보전생물학 및 실험
M1698.000600 산림정책학 및 실습M1729.000900 환경경영과 경관계획 |
•
(*)은 전공필수 과목입니다.
•
교과목 뒤 괄호 안 숫자는 해당 교과목의 학점을 의미하며, 따로 표기하지 않은 과목들은 모두 3학점입니다.
•
다음은 전공 필수 강의 수강 시 주의해야 할 점입니다. 환경경영실습은 인턴과정이며 환경경영학 2학기에 개설됩니다. 환경경영세미나는 1학기에 개설되며 생태학 교과목은 일반생태학을 수강해도 됩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연합전공 글로벌환경경역학 공식 홈페이지 > 교과과정 > 학사과정 전공과목 이수표준형태 gem.snu.ac.kr/site/curriculum (검색일: 2024년 6월 28일)
(2) 타학과 개설 인정 교과목
홈페이지에는 전공 인정 교과목이란 명칭으로 명시되어 있지만, 행정실에 문의해보니 표에 명시된 과목 중 타학과에서 개설된 교과목들도 있기 때문에 표에 명시된 과목들에 한해서 타학과 교과목이 인정된다고 합니다.
인문사회, 정책 및 경영 분야 교과목 | |
과목번호 | 과목 |
5201.404 | 환경경제학 |
465.202 | 에너지환경기술경영 |
M1594.002500 | 에너지와 기술의 경제학 |
941.581 | 기후변화정책 |
903.558B | 환경보건개론 |
903.561 | 기후변화특론 |
921.567 | 환경과 행정 |
M1698.000600 | 산림정책학 및 실습 |
5241.311 | 생태경제학 및 실습 |
M1592.000600(002) | 산업과 에너지환경전략 |
M2649.001100 | 경제원론1Ⓒ |
M2649.000600 | 개발경제학과 농업Ⓒ |
M2649.000700 | 국제개발과 농업 효과성평가Ⓒ |
과학기술 분야 교과목 | |
과목번호 | 과목 |
3346.415519.251 | 생태학일반생태학 |
457.316A | 지속가능교통체계Ⓒ |
457.404 | 국토 및 지역계획 |
208.408 | 환경보전론 |
300.253 | 기후학개론 |
457.311 | 상수도공학 및 실험 |
M1586.000100 | 토양환경생태공학 |
458.405 | 환경공학개론 |
458.408 | 환경생물공학 |
465.319 | 신재생에너지 |
465.435 | 에너지환경공학 |
519.203 | 토양학 |
552.224 | 환경위생학 |
3345.311 | 환경지구학 |
5241.215A | 보전생물학 및 실험 |
M1698.001200 | 조림학 및 실습 |
5241.416 | 산림환경관리실습 |
5271.225 | 경관생태학 |
M1708.000300 | 관개배수공학 및 실습 |
457.203 | 도시계획 |
400.024 | 에너지자원공학개론 |
903.509A | 환경영항평가특론 |
M1698.002600 | 산림경관보전계획Ⓒ |
M1698.002500 | 경관관리학 및 실습 |
M1698.002000 | 산림식약용식물학Ⓒ |
[참고] 2024년 업데이트 이전 수록 정보
(3) 선이수/후이수
선이수 및 후이수 과목은 각 강의에 따라 다릅니다. 강의계획서에 선이수 및 후이수 과목에 대한 내용이 있는 경우도 있으나, 만약 없다면 담당과목 교수님께 문의해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참고] 2024년 업데이트 이전 수록 정보
2. 졸업 교양 규정
자전 졸업 규정을 따르시면 됩니다.
[참고] 2024년 업데이트 이전 수록 정보
3. 추가 특별 규정
•
졸업 이전에 160시 이상의 인턴과정을 이수하여야 합니다. (이후에 전공필수 과목인 ‘환경경영실습(538.404)’을 이수할 수 있습니다.)
•
졸업 이전에 논문 작성 및 발표를 이행하여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연합전공 글로벌 환경경영학 홈페이지 졸업관련 안내 사항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http://gem.snu.ac.kr/site/notice?scene=read&contentNo=57)
•
연합된 각 전공별 이수 과목 또는 이수 학점 : 소속 전공이 자연계인 경우, 인문사회, 정책 및 경영 분야 과목 이수학점이 전공이수학점의 1/2 이상, 소속 전공이 인문사회계열인 경우 과학기술 분야 과목 이수학점이 전공이수학점의 1/2 이상이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서울대학교 글로벌 환경경영학 홈페이지에서 본인이 수강하고자 하는 교과목이 어느 계열에 해당하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위 사항은 전공필수과목인 ‘환경경영학(538.301)’, ‘생태학(3346.415)’, ‘환경경영실습(538.404)’ 과목을 포함하여 계산합니다.
4. 전탐 추천 교과목
•
‘환경경영학(538.301)’: 전공 내용을 가장 포괄적으로 알 수 있는 과목입니다.
[참고] 2024년 업데이트 이전 수록 정보
5. 전공 리뷰
•
글로벌 환경경영학은 정말 간학문적이다. 이수 전공의 스펙트럼이 넓은 만큼 학문적으로 깊게 들어가지는 않지만, 환경과 사회에 대한 다양한 분야의 관점을 살펴보면서 자신만의 환경관을 정리해나갈 수 있게 된다. (익명의 진입자)